$\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배양이 청국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4 = no.206, 2009년, pp.399 - 404  

주경은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남순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 subtilis 균주와 L. plantarum 균주를 혼합배양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B. subtilis 균주와 L. plantarum을 혼합배양할때 L. plantarum의 생육은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배양시 L. plantarum의 생육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먼저 L. plantarum을 배양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B. subtilis를 접종하면 L. plantarum의 생균수가 $2{\times}10^7$ CFU/g에서 48시간 후에 $6{\times}10^8$ CFU/g까지 증가하였다. 혼합배양시 L. plantarum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B. subtilis의 초기 접종량을 $3.9{\times}10^2$CFU/g, L. plantarum의 접종량을 $2{\times}10^7$ CFU/g으로 조절하여 동시에 접종하였을 때 24시간 배양 후 B. subtilis의 생균수는 $9{\times}10^8$ CFU/g까지 증가하였으며 L. plantarum의 생균수도 $2{\times}10^7$ CFU/g에서 $6{\times}10^8$ CFU/g으로 증가하였다. 즉, 배양방법의 최적화를 통하여 B. subtilis균주와 L. plantarum 균주의 생육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의 생균수가 증가된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단일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청국장과 유사하였으며, 암모니아 불쾌취가 적었으며, 풍미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국장 제조시 L. plantarum 균주를 혼합배양함으로써 기존 청국장의 이취 개선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by the optimization of the inoculation methods of the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strains. In order to optimize the mixed cultivation of B. subtilis and L. plantarum, the B. subtilis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산균종 중 Lactobacilli속 균주들은 동서양의 발효식품에서 발견되는 주요한 발효균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김치 등 채소류의 주발효 균주로 많이 알려진 Lactobacillus plantarum(L. plantarum) 균주를 청국장의 품질개선용 균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즉, B.
  • 특히, 발효 또는 조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특유한 이취는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청국장의 이취를 제거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녹차, 유카추출물, 홍삼 등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에 대한 연구(7,8)와 쑥 추출물을 사용하여 청국장의 향을 개선(9)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국장의 품질적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청국장의 제조에 유산균주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유산균은 인간이 오랫동안 이용해온 유익한 미생물로 김치, 발효유제품 등의 식품에서 중요한 발효작용을 수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은 증자한 콩에 무엇을 배양시켜 만든 음식인가? 청국장은 증자한 콩에 Bacillus subtilis(B. subtilis)를 배양시켜 만든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장류식품으로 다른 장류와는 달리 단기간에 제조하여 식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및 지방산 등이 풍부한 식물성 고영양식품이다.
청국장은 어떤 생리적 기능성들을 가지고 있는가? 청국장은 혈전용해효소능(1,2), 고혈압방지효과(3), 콜레스테롤저감능(4), 항돌연변이성(5), 항암성(6) 등의 생리적 기능성들을 가지고 있으나, 식생활의 변화와 주거문화의 서구화로 인하여 청국장의 소비는 점차 감소되고 있다. 특히, 발효 또는 조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특유한 이취는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청국장의 이취를 제거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녹차, 유카추출물, 홍삼 등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에 대한 연구(7,8)와 쑥 추출물을 사용하여 청국장의 향을 개선(9)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청국장의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청국장은 혈전용해효소능(1,2), 고혈압방지효과(3), 콜레스테롤저감능(4), 항돌연변이성(5), 항암성(6) 등의 생리적 기능성들을 가지고 있으나, 식생활의 변화와 주거문화의 서구화로 인하여 청국장의 소비는 점차 감소되고 있다. 특히, 발효 또는 조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특유한 이취는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청국장의 이취를 제거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녹차, 유카추출물, 홍삼 등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에 대한 연구(7,8)와 쑥 추출물을 사용하여 청국장의 향을 개선(9)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국장의 품질적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청국장의 제조에 유산균주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eonggukjang. Food Sci. Ind. 38: 69-78 (2005) 

  2. Kim WK, Choi KH, Kim YT, Park HH, Choi JY, Lee YS, Oh HI, Kwon IB, Lee SY.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p. strain CK 11-4 screened from cheonggukjang. Appl. Environ. Microb. 62: 2482-2488 (1996) 

  3. Heo S, Lee SK, Joo HK.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1: 119-124 (1998) 

  4. Cho YJ,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eongguk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3: 247-252 (2000) 

  5. Park HG, Lee MH, Yoon SH. Effect of cheonggukjang on lipid contents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Hyg. Sci. 12: 1-6 (2006) 

  6. Kim JI, Kang MJ, Kwon TW. Antidiabetic effect of soybean and cheonggukjang. Korea Soybean Digest 20: 44-52 (2003) 

  7. Kim JH, Kim SI, Kim JK, Im DK, Park JH, Lee JU, Byun MW.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eongg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82- 486 (2006) 

  8. In JP, Lee SK, Ahn BK, Chung IM, Jang CH. Flavor improvement of cheonggukjang by addi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7-64 (2002) 

  9. Park WJ, Park HY, Yoo JH, Rhee MS. Effect of Artmisia asiatica Nakaki extract on the flavor of cheonggukjang. Food Eng. Prog. 5: 115-124 (2001) 

  10. Rhee YH, Kang M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a$ -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Agr. Chem. Biotechnol. 39: 54-59 (1996) 

  11. Ha CG, Cho JK, Chai YG, Heo KC.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ontaining superior activity of bile salts deconjugation. Korean J. Food Sci. Anim. Res. 24: 164-170 (2004) 

  12. Rhim KH, Kim JG, Han JH. Effect of fermented milk on rats fed by hypercholesterolemic diet. Kor. J. Env. Hlth. Soc. 19: 77-89 (1993) 

  13. Yoon TJ, Yoo YC, Kang TB, Lee KH, Kwak JH, Baek YJ, Huh CS, Kim JB. Fermented extracts of Korean mistletoe with Lactobacillus (FKM-110) stimulate macrophage and inhibit tumor metasta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38-847 (1999) 

  14. Eum BW, Kwak BY, Kim SY, Shon DH, Lee KH. Enhancement of chitooligosaccharides in doenjang (soybean paste) and kanjang (soy sauce) using Bacillus subtilis koji and Rhizopus oryzae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91-296 (2003) 

  15. Choi KS, Chung YG, Choi C, Chung HC, Im MH, Choi JD, Lee CW. Microbiology fermentation biotechnology: Lactic acid and alcoholic fermentation of low-salted raw kanjang digestion liquor made from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and Scopulariopsis brevicaulis inoculated me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1: 405-409 (1998) 

  16. Choe JS, Yoo SM, Kim HR, Kim JS, Chang CM. Microbiology fermentation biotechnology: Volatile compounds of Chonggug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 and soybean cultivar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2: 111-115 (1999) 

  17. Prestige L, Gage V, Spizizen J. Protease activitives during the course of sporulation on Bacillus subtilis. J. Bacteriol. 107: 815-823 (1971) 

  18.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Food code. Moonyongsa Co., Seoul, Korea. pp. 319-320 (2009) 

  19. Official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Water Contamin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pp. 195-197 (2000) 

  20. Oh SJ. Characteristics of class II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Dairy Technol. Sci. 19: 133-146 (2001) 

  21. Ko HS, Cho DH, Hwang SY, Kim YM.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cheonggukjang's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12: 1-6 (1999) 

  22. Lee BY, Kim DM, Kim K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99-604 (1991) 

  23. Allagheny N, Obanu ZA, Campbell-Platt G, Owens JD. Control of ammonia formation during Bacillus subtilis fermentation of legumes. Int. J. Food Microbiol. 29: 321-33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