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침과 입자크기를 달리한 쌀가루와 쌀 만주제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Preparation of Rice Manju and Rice Flour with Soaking and Different Particle Siz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4, 2009년, pp.427 - 434  

이승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rice consumption and substitute rice flour for wheat flour to make gluten-free bakery products, the physicochem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from raw and soaked rices passed through different size screens were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manju dough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쌀 소비를 촉진하고, 제과 적성에 적합한 쌀가루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쌀의 수침과 쌀가루 입자크기가 만주 제조 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쌀과 수침한 쌀을 건식 제분하고 일정 크기의 체를 통과하여 입자크기가 다른 쌀가루를 제조, 이화학적 및 호화특성을 측정하였고 이 쌀가루로 만주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쌀은 어떤 식량자원이라고 말하는가? 쌀은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아시아의 많은 국가에서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세계 3대 식량자원 중의 하나이다. 취반용 쌀 품질의 고급화와 친환경 재배의 증가는 국내 생산량 증가를 둔화시키고 있지만 수입쌀 물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1990년의 119.
글루텐이 없는 쌀 제품 제조과정에서 수침을 병행하여 쌀가루를 제조하고 일정한 크기의 체를 통과한 쌀가루의 이화학적 및 호화특성을 측정하였고, 만주를 제조하여 일반 밀가루 만주와 비교한 결과는? 이 쌀가루로 만주를 제조하였으며 만주의 품질 특성을 밀가루로 만든 만주와 비교하였다. 생쌀가루(DMFRR) 보다 수침쌀가루(DMFSR)의 회분과 조지방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쌀가루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L값은 증가한 반면 b값은 감소하였으며 입자크기가 작은 경우물 결합능력과 손상전분이 증가하였다. 수침쌀가루는 최고점도(P), 냉각점도(C), breakdown 점도가 증가하였다. 쌀가루에 따라 적합한 수분 양을 조절하여 만든 만주는 수침쌀가루의 만주 반죽 경도가 낮아 앙금 싸기가 수월하였다. 밀가루와 쌀가루로 만든 만주는 표면의 매끄러움, 경도, 씹은 후의 거칠음성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p<0.05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표면의 매끄러움은 DMFSR 모두와 DMFRR-200으로 만든 경우 밀가루제품보다 더 좋았으며 경도는 밀가루와 DMFRR-200, DMFSR 모두 낮은 값을 보였으며 거칠음성은 밀가루 만주가 가장 낮고 DMFRR-200과 DMFSR-170과 DMFSR200이 낮아 입자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였다.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밀가루와 DMFSR-120, DMFRR-200와 DMFSR170으로 만든 것이 5.0 이상의 점수를 얻고 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쌀가루로 만주를 만들 때 생쌀가루는 200 mesh를 통과한 쌀가루로 수침쌀가루는 120~170 mesh를 통과한 쌀가루로 대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밀가루 대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공용 쌀가루는 어디에 영향을 받나? 전통적으로 쌀가루로 만든 떡이나 한과는 습식제분을사용하였으나 최근 여러 처리방법을 포함하여 건식, 반 습식과 습식제분으로 가루를 제조하고 있다. 가공용 쌀가루는 쌀의 품종, 도정도, 수침시간(Kim MH 등 1993, Kim BK와 Bang JB 1996, Chiang PY와 Yeh AI 2002, Lee MK 등 2004), 수침 온도(Choi EJ와 Kim HS 1997), 쌀가루의 입자 크기(Kum JS와 Lee HY 1999, Choi CR 등 2001), 제분방법과 제분기의 종류(Park YK 등 1988, Kum JS 등 1993, Kim HY 등 1999)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었다. 쌀을 수침하면 수침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성분, 전분입자의 구조나 손상도 등이 달라지며(Kim MH 등 1993, Kim BK와 Bang JB 1996), 쌀가루의 입자 크기는 색도, 호화특성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um JS 등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박근성. 2003. 화과자 대계. 비앤씨 월드. 서울. pp 34-53 

  2. 통계청. 2008 양곡년도 가구부문 양곡소비량 조사결과, http://www.nso.go.kr/nso2006/k04_0000/k04b_0000/k04ba_0000/k04ba_0000.html. accessed Jan 29, 2009 

  3.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4. Bean MM, Elliston-Hoops EA, Nishita KD. 1983. Rice flour treatment for cake baking applications. Cereal Chem 60(6):445-449 

  5. Chiang PY, Yeh AI. 2002. Effect of soaking on wet-milling of rice. J Cereal Sci 35(1):85-94 

  6. Choi CR, Kim JO, Lee SK, Shin MS. 2001.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waxy rice flour classified with particle size. Food Sci. Biotechnol 10(1):54-58 

  7. Choi EJ, Kim HS. 1997. Physicochemical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flour and starch steeped at differ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17-24 

  8. Evers AD, Stevens DJ 1985. Starch damage in advances in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Vol. II: pp 321-349 

  9.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Inte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and retrogradation of rice bread during col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5):886-891 

  10.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Inte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and retrogradation of rice bread during col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5):886-891 

  11. Kim BK, Bang JB.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ffected by steep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1026-1032 

  12. Kim HY, Lee BY, Choi JK, Ham SS. 1999. Milling and rice flour properties of soaking in water time on moisture content of ric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71-75 

  13. Kim K, Lee YH, Kang KJ, Kim SK. 1993. Effects of steep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535-540 

  14. Kim MH, Park MW, Park YK, Jang MS. 199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s as influenced by soaking time of rice. Korean J Soc Food Sci 9(3):210-214 

  15. Kim SM, Kim KO, Kim SK, 1986. Effect of defatting on gelatinization of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of Akibare (Japonica) and Milyang 30 (J/Indica) mill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8(3):393-397 

  16. Kum JS, Lee HY. 1999.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1542-1548 

  17. Kum JS, Lee SH, Kim KH, Kim YI. 1993.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541-545 

  18. Lazaridou A, Duta D, Papageorgiou M, Belc N, Biliaderis CG. 2007. Effects of hydrocolloids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parameters in gluten-free formulations. J Food Engineering 79(3):1033-1047 

  19. Lee MK, Kim JO, Shin MS. 2004.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s with different soaking time and particle siz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268-275 

  20. Lee MK, Shin MS. 2006.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s prepared by moisture-heat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2(2):147-157 

  21. Medcalf F, Gilles KA. 1965.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6):558-568 

  22. Park YK, Seog HM, Nam YJ, Shin DH. 198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504-510 

  23. Pruska-Kedzoir A, Kedzior Z, Goracy M, Pietrowska K, Przybylska A, Spychalska K. 2008. Comparison of rheological, fermentative and baking properties of gluten-free dough formulations. Eur Food Res Technol 227(5):1523-1536 

  24. Renzetti S, Dal Bello F, Arendt EK. 2008. Microstructure, fundamental rheology and baking characteristics of batters and breads from different gluten-free flours treated with a microbial transglutaminase. J Cereal Sci 48(1):33-45 

  25. Shin MS, Kim JO, Lee MK. 2001. Effect of soaking time of rice and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on the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s soaking at room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4):309-314 

  26. Sivaramakrishnan HP, Senge B, Chattopadhyay PK. 2004.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dough for making rice bread. J Food Eng 62(1):37-45 

  27. Song JY, Shin M. 2007. Effects of soaking and particle sizes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gluten-free rice bread. Food Sci Biotechnol 16(5):759-764 

  28. Williams PC, Kuzina FD, Hlynka I. 1970. A rapid colorimetric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amylose content of starches and flours. Cereal Chem 47(4):411-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