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풀 추출물의 식용 나노입자화를 통한 면역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o-modulatory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with Edible Polymer through Nano-encapsulation Proces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7 no.4, 2009년, pp.257 - 265  

하지혜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권민철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김영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김승섭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정명훈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황백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이현용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osphatidylcholine was used to encapsulate aqueous extracts of Centella asiatica, and its biological activity was compared with another aqueous extracts. Nanoparticle of C. asiatica was made by encapsulation to w/o type spherical liposome which of aqueous extracts seized with oil phase as 78.2 n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따라서 높은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천연물 소재로부터 가장 일반적인 추출을 통해 유용성분을 얻고, 이에 나노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생체활용성 증진이 가능한 BT-NT fusion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 면역 및 생체면역 증강에 높은 활성이 기대되는 병풀 수용성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나노입자화 공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면역증진 활성을 탐색함으로써 병풀 추출물의 면역 기작 구명은 물론 체내에서 수용성 물질의 생체활용성 증진이 가능한 공정을 모색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병풀의 수용성 추출물 나노입자가 면역 증진을 위한 공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위의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 기존의 알려진 활성 및 제품화 공정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병풀의 알려진 활성 중 하나인 피부보호 효과와 연관이 있는 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Hyalurondase는 피부 보습 및 탄력 유지에 기여하는 hyaluronic acid의 분해효소로 피부면역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풀을 전량 국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이유는? , 2002). 이와 같이 병풀은 피부치료제, 상처치료제, 기억력 증강제 및 강장제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약용식물로서 국내에서도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주요 서식지역이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국한되고 국내에서는 재배 및 채취에 어려움이 있어 상용 원료는 전량 국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병풀 및 그 주요성분에 대한 효용이 널리 인식되어 왔음에 도 이의 효율적인 활용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병풀의 주요성분인 asiaticoside의 효과는? 또한 이들 물질은 Mycobacterium leprae의 waxy capsule을 용해하기 때문에 나병 치료에도 사용되었는데 (Vogel et al., 1990), 그중에서도 특히 asiaticoside는 항박테리아 및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상처, 위궤양은 물론 다양한 피부질환, 정신질환, 결핵, 정맥질환, 치매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02).
병풀의 주요성분은? 병풀은 인도 및 아시아 지역의 전통요법을 통해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Brinkhaus et al., 2000), 주요성분인 asiaticoside와 madecassoside는 α-amyrin-ursolic acid group에 속하는 pentacyclic triterpene glycoside로 피부 상처 및 만성 궤양 치료 활성 등을 나타낸다 (Bonte et al.,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nte F, Dumas M, Chaudagne C and Meybeck A. (1993). Influence of asiatic acid, madecassiac acid, and asiaticoside on human collagen I syntheses. Plant Medica. 60:133-135 

  2. Brinkhaus B, Linder M, Schuppan D and Hahn EG. (2000). Chemical,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rofile of the east asian medical plant Centella asiatica. Phytomedicine. 7:427-448 

  3. Doll R and Peto R. (1983).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1:512-513 

  4. Cho JY, Park JS, Yoo ES, Baik Ku, Park MH and Han BH. (1998) Effect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TNF- $\alpha$ production and T cell proliferation.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42:296-301 

  5. Hausen BM. (1993). Centella asiatica (Indian pennywort), an effective therapeutic but a weak sensitizer. Contact Dermatitis. 29:175-179 

  6. Heurtault B, Saulnier P, Pech B, Proust JE and Benoit JP. (2003).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colloidal lipid particles. Biomaterials. 24:4283-4300 

  7. Jeong HS, Han JG, Ha JH, Jin L,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and Lee H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at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83-89 

  8. Jung IM, Shin JE, Yun SH, Huh K, Koh JY, Park HK, Jew SS and Jung MW. (1999.) Protective effects of asiaticoside derivatives against beta-amyloid neurotoxicity.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58:417-425 

  9. Kim OT, Kim MY, Kim SJ, Kim YJ, Kim KS, Ahn JC, Kim SW and Hwang B. (2002). Seasonal variations of triterpene glycosides contents in the leaf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375-378 

  10. Kwon MC, Han JG, Ha JH, Oh SH, Ling J, Jeong HS, Choi GP, Hwang B and Lee HY. (2008). Immuno-regulatory effect on Centella asiatica L. Urban extraction solvent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294-300 

  11.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oi GP, Park UY, You SG and Lee HY. (2007).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233-240 

  12.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and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36-42 

  13. Lee MK., Lee SH, Choi GP, Yu CY, Lee JH and Lee HY. (2003). Screening of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osa rugosae Radix.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13-18 

  14. Mainardes RM and Silva LP. (2004). Drug delivery systems: past, present, and future. Current Drug Targets. 5:449-455 

  15. Seo DS, Kim JC, Sohn HH, Cho WG, Lee SU, Kim EY, Tae GY, Kim JD, Lee SY and Lee HY. (200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gelatin microcapsules containing triclosa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73:596-603 

  16. Sharma A and Sharma US. (1997). Liposomes in drug delivery : progress and limi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154:123-140 

  17. Vogel HG, De Souza NJ and D'sa A. (1990). Effects of terpenoids isolated from centella asiatica on granuloma tissue. Acta Therapeutica. 16:285-296 

  18. Yueran Z, Rui S, You L, Chunyi G and Zhigang T. (2003). Expression of leptin recrptors and response to leptin stimulation of human natural killer cell lin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00:247-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