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강나무 추출물의 알레르기성 염증반응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3 = no.158, 2009년, pp.233 - 237  

김상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손준호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이승호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dera obtusiloba has been used for centuries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and recently known to have an anti-fibrotic effect.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L. obtusiloba (WELB)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and studied its possible m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비만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히스타민 및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 하는 물질을 발굴하고 작용기전을 밝히는 일은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치료에서 중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WELB가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하고, NF-κB와 JNK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을 시사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에서 비만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에 효과가 있는 생강나무를 시료로 하여 히스타민 유리와 염증유발성 사이토카인 억제에 대한 효과 및 작용기전을 실험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어떤 물질을 분비하는가 1)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유리는 알레르기 반응의 병리적 진행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인데, 비만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수용체인 FcεRI에 항원이 결합하여 유발되는 비만세포 활성화에 의해 히스타민이 유리된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비만세포는 탈과립 되고 또한 아라키돈산 대사물질과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2, 3)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염증 유발물질 중 히스타민은 즉시형 과민성 반응을 유발하는 가장 강력한 생리 활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비만세포는 피부, 호흡기, 림프관 주위, 혈관 주위, 위장관의 점막, 뇌 등 전신의 장기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세포이다.1)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유리는 알레르기 반응의 병리적 진행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인데, 비만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수용체인 FcεRI에 항원이 결합하여 유발되는 비만세포 활성화에 의해 히스타민이 유리된다.
생강나무의 성분은? 민간에서는 열매, 잎, 가지 등을 해열, 강심제, 학질, 건위제 등으로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가지에 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erol 등이, 가지와 잎에는 방향유가 0.4-0.6%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l-borneol이다. 잎은 탄소수 16-33개의 파라핀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유 중에는 car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etcalfe, D. D., Kaliner, M. and Donlon, M. A. (1981) The mast cell. Crit. Rev. Immunol. 3: 23 

  2. Miyajima, I., Dombrowicz, D., Martin, T. R., Ravetch, J. V., Kinet, J. P. and Galli, S. J. (1997) Systemic anaphylaxis in the mouse can be mediated largely through IgG1 and Fc gammaRIII. Assessment of the cardiopulmonary changes, mast cell degranulation, and death associated with active or IgE- or IgG1-dependent passive anaphylaxis. J. Clin. Invest. 99: 901 

  3. Church, M. K. and Levi-Schaffer, F. (1997) The human mast cell. J. Allergy Clin. Immunol. 99: 155 

  4. Petersen, L. J., Mosbech, H. and Skov, P. S. (1996) Allergeninduced histamine release in intact human skin in vivo assessed by skin microdialysis technique: characterization of factors influencing histamine releasability. J. Allergy Clin. Immunol. 97: 672 

  5. Ennis, M., Pearce, F. L. and Weston, P. M. (1980) Some studies on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stimulated with polylysine. Br. J. Pharmacol. 70: 329 

  6. Alfonso, A., Cabado, A. G., Vieytes, M. R. and Botana, L. M. (2000) Functional compartments in rat mast cells for cAMP and calcium on histamine release. Cell Signal. 12: 343 

  7. Beaven, M. A., Rogers, J., Moore, J. P., Hesketh, T. R., Smith, G. A. and Metcalfe, J. C. (1984) The mechanism of the calcium signal and correlation with histamine release in 2H3 cells. J. Biol. Chem. 259: 7129 

  8. Botana, L. M. and MacGlashan, D. W. (1994) Differential effects of cAMP-elevating drugs on stimulus-induced cytosolic calcium changes in human basophils. J. Leukoc. Biol. 55: 798 

  9. Galli, S. J., Gordon, J. R. and Wershil, B. K. (1991) Cytokine production by mast cells and basophils. Curr. Opin. Immunol. 3: 865 

  10. Galli, S. J., Kalesnikoff, J., Grimbaldeston, M. A., Piliponsky, A. M., Williams, C. M. and Tsai, M. (2005) Mast cells as 'tunable' effector and immunoregulatory cells: recent advances. Annu. Rev. Immunol. 23: 749 

  11. Azzolina, A., Bongiovanni, A. and Lampiasi, N. (2003) Substance P induces TNF-alpha and IL-6 production through NF kappa B in peritoneal mast cells. Biochim. Biophys. Acta. 1643: 75 

  12. Kim, S. H., Jun, C. D., Suk, K., Choi, B. J., Lim, H., Park, S., Lee, S. H., Shin, H. Y., Kim, D. K. and Shin, T. Y. (2006)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Sci. 91: 123 

  13. 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