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강나무 추출물의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 억제 효과
Anti-wrinkle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5 no.4, 2009년, pp.317 - 323  

박금주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박승희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김재기 (정산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사람의 피부에 주름 형성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생강나무 추출물이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형성의 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생강나무 추출물의 세포증식과 타입 I 콜라겐의 생합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강나무 추출물에 의한 세포증식과 타입 I 콜라겐의 생합성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3.8 %와 91.8 % 증식함을 보였다. 동물실험에서는 SKH-1 무모쥐에 일주일에 3번 UV를 조사하면서 5 % 생강나무 추출액을 국부적으로 도포하였다. 10주 후에는 각각의 무모쥐의 피부 모사판을 제작하여 관찰하였다.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UVB를 무모쥐의 피부조직에 조사한 후 생강나무 추출액을 도포하여 피부 상태를 관찰하였다. 모사판을 접사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5 % 생강나무 추출액의 도포는 생강나무가 포함되지 않은 도포액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 UV에 의해 생성되는 주름 형성 억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생강나무 추출액의 도포는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onic exposure of solar ultraviolet (UV) light to human skin results in photoaging with wrinkle form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wrinkle effects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LO) on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We first measured cell proliferation and type I pN collage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생강나무 추출물과 대표적인 항산화제 물질인 ascorbic acid (이하 AA로 표기)의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는 생강나무 추출물이 피부 주름 형성에 미치는 효능을 검증해 보고자 실시 되었다. 생강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항산화 및 콜라게네이즈 효소 억제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라디컬 소거능의 IC50은 30 μg/mL, 콜라게네이즈 효소의 억제 IC50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노화는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피부노화는 유전적인 요소, 자외선, 이물질과 역학적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인 노출, 호르몬변화, 물질대사 과정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피부노화는 지속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와 생리학적 노화에 의한 내인성 노화로 구분되며, 특히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노화가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3].
피부노화에서 피부 탄력저하와 주름은 무엇에 의한 것인가? 피부노화는 지속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와 생리학적 노화에 의한 내인성 노화로 구분되며, 특히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노화가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3]. 피부노화는 피부 탄력저하와 주름을 유발하는데, 이는 피부 진피 조직의 교원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감소에 의해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은 피부의 장력과 강도를 부여하기 때문에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과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4-7].
생강나무의 줄기껍질, 잎, 가지는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는가? 줄기껍질을 삼찬풍(三鑽風)이라고 하며, 활혈, 산어(散瘀), 소종(消腫), 서근(舒筋)의 효능이 있고, 타박상, 어혈종통을 치료한다. 줄기껍질, 잎, 가지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Yaar and B. A. Gilchrest, Aging versus photo aging : postulated mechanisms and effectors, J. Investing Dermatol. Symp. Proc., 3, 47 (1998) 

  2. H. B. Lee, C. Y. Lee, and E. K. Kim, Trend of Depigmenting Research Based on Patent Analysi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 209 (2007) 

  3. L. Rittie and G. J. Fisher, UV-light-inducde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earch Reviews, 1, 705 (2002) 

  4. J. J. Li, Z. Dong, M. I. Dawson, and N. H. Colburn, Inhibition of tumor promoter-induced transformation by retinoids the transrepress AP-1 without transactivation retinoic acid response element, Cancer Research, 56, 483 (1996) 

  5.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m J. Path., 107, 397 (1982) 

  6. K. J. A. Davies,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 (1987) 

  7. C. S. Foote, Photosensitized oxidation and singlet oxygen; consequences in biological systems, Pryor. WA. (1976) 

  8. S. N. Park,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1989) 

  9.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50, 329 (1997) 

  10.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0 (2003) 

  11.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 657 (2003) 

  12. W. Meinhard, T. P. Iliana, N. Lale, M. Wenjian, A. S. Lars, R. W. Ziba, S. I. Jutta, and S. K. Karin,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63, 41 (2001) 

  13. S. K. Karin, B. Peter, W. Jutta, H. Gernot, M. Weijan, N. Lale, M. Christian, and W. Meinhard, Photoaging of the skin from phenotype to mechanisms. Exp. Gerontol., 35, 307 (2000) 

  14.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 874 (2007) 

  15. J. Y. Seo, H. R. Choi, G. E. Rhie, C. S. Youn, W. W. Choi, J. A. Kim, J. H. Chung, K. H. Cho, and H. C. Eun, The effect of retinoic acid and vitamin C on the expression of the procollagen a1(I), tropoelastin, an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 Kor. J. Invest. Dermtaol., 8, 23 (2001) 

  16. K. H. Bae, Korean medicinal plant, 87, Gyohak Co., Seoul (2008) 

  17. C. Y. Bang, E. K. Won, W. K. Park, G. W. Lee, and S. Y. Chou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Yakhak Hoeji, 52, 355 (2008) 

  18.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19. C. J. Han and S. M. Kang. The Effect of collagen supplementation from pork skin on serum collagen, serum sex steroid hormone, serum lipid and skin crack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912 (2008) 

  20. J. P. Kim, D. H. Kim, G. E. Kim, J. H. Kim, S. H. Chung, S. G. Kim, and W. K. Whang, Ac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Yakhak Hoeji, 50, 351 (2006) 

  21. Y. G. Kim, M. Sumiyoshi, M. Sakanaka, and Y. Kimura, Effects of ginseng saponins isolated from red ginseng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aging in hairless mice, Er. J. Pharmacol., 602, 14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