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류충돌 문제와 관련 규정의 고찰
Investigation of Regulations and Bird Strike Problems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17 no.4, 2009년, pp.85 - 93  

최연철 (한서대학교 헬리콥터조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rd strike is big issue in aviation. Because a bird strike causes not only an aircraft damage but also a fatality, aviation societies are gearing up to prevent a bird strike. However, the accidents is not going down yet. Annal average of bird strikes in Korea is 1.15 accidents per ten thousand of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조류충돌의 발생빈도는 어떻게 보고되는가? 1912년 세계최초의 조류충돌 인명사고가 발생한 이후 세계적으로 조류충돌로 인하여 약 300여명이 사망하였고 현재 세계적으로 항공기 운항 1만회 당 5회의 조류충돌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Dolbeer, R.
조류충돌로 인한 최초의 인명손상 사례는 무엇인가? 최초의 조류충돌은 Wright형제가 1905년 9월7일 Ohio 주 Dayton 인근 4,751m의 구간비행 중 옥수수밭에서 4회의 이착륙과 경로비행을 하면서 2회에 걸쳐 조류와 조우하여 깃털과 붉은 자국이 날개에 묻었으나 충돌조류의 종류나 항공기의 파손 및 피해는 기록되지 않았다. 최초 인명손상은 1912년 최초 미국횡단을 시도했던 Cal Rogers가 갈매기와 충돌하여 비행조종계통 손상으로 발생된 사고이며, 이후 조류충돌은 민간항공은 물론 특히, 군용기에서도 크게 증가되어 항공기 안전을 저해하는 큰 요소로 대두되었다.(CAA, 2008)
미국에서 1990년에서 2008년까지 조류충돌 및 야생동물 충돌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가? 1%를 차지하였다.(FAA, 2009) 이로 인하여 약 9,800대의 항공기에 손상을 주었으며 2,700건이 항공기의 운항이 불가능한 중대한 영향을 야기하였다.(Richard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통안전공단, "조류충돌방지 연구," 2008. 

  2. 교통안전공단, "조종사를 위한 조류충돌예방과 회피", '항공안전시리즈' 2호, 1994. 

  3. 국토해양부, "공항안전운영기준", 2008. 

  4.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조류충돌 현황, 2008. 

  5. 국토해양부, "국회감사자료, 2008. 

  6. 항공안전본부,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예방 관리 기준"(안전본부고시 2008-67), 2008. 

  7. 한국공항공사 자체보고서, 2000. 

  8. CAA, "2007 Summary Report Wildlife Strikes to Canadian Aircraft", 2008. 

  9. Cleary, E. C., R. A. Dolbeer, and S. E. Wright. 2005. Wildlife strikes to civil aircraft in the United States, 1990-2004. 

  10. Dolbeer, R. A., and S. E. Wright. "Wildlife strikes to civil aircraft in the United States, 1990-2008." 

  11. FAA, Advisory Circular, 150/5200-33. 1997. 

  12. FAA, Advisory Circular 150/5200-32A, 2004. 

  13. FAA, Advisory Circular 150/5200-33A.2004. 

  14. FAA, Advisory Circular 150/5200-34. 2000. 

  15. FAA, Advisory Circular 150/5200-36, 2006. 

  16. FAA, "WILDLIFE STRIKES TO CIVIL AIRCRAFT IN THE UNITED STATES 1990-2008, FAA & USDA, 2009. 

  17. ICAO "Bird Control and Reduction", Doc 9137-AN/898 Part3, 1991. 

  18. Richard A. Dolbeer & Sandra E. Wright, "2009. Safety management systems", 2009. 

  19. Transport Canada, "Wildlife Control Procedures Manual", 2002. 

  20. Transport Canada, "Sharing the Skies An Aviation Industry Guide to the Management of Wildlife Hazards", 2000. 

  21. FAA, "Wildlife Hazard Management(14 CFR Part 139.337)", 2009. 

  22. William A. Erickson, "A Review of Falconry as Bird-Hazing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Fourteenth Vertebrate Pest Conference, 1990, 

  23. Wright, S. E, Some significant wildlife strikes to civil aircraft in the US, 1990-2008. FAA Wildlife Strike Database, FAA, U.S.D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