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 양전동암각화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분석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Aspect of the Goryeong Yangjeondong Petroglyph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2, 2009년, pp.131 - 145  

최기주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이상헌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 양전동암각화는 녹색 사암으로 구성된 너비 6m 높이 3m의 암반의 절리면에 겹동그라미(3점)와 방패무늬(30점)의 그림들이 있다. 구성암석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 및 녹니석이며, 교질물인 점토광물 중 녹니석이 대부분이나 일라이트와 소량의 방해석도 산출된다. 이들 점토광물들은 구성광물을 피복 및 성분을 교대하거나 공극을 충진하는 양상으로 산출된다. 수용성 염과 암석의 풍화현상과의 관계를 포함한 훼손양상과 암각화가 그려진 암반의 사면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훼손양상은 주로 표면박리, 입자박락, 균열 및 파손 등이다. 그리고 절리와 균열이 발달한 암반은 낙석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보존을 위해서는 균열 및 파손 부위에 대한 접착처리와 약해진 표면층에 강화처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ryeong Yangjeondong Petroglyph on the joint face of the bedrock (6m in width, 3m in height) composed of the green sandstone has circles and shield pattern sculptures. The rock is mainly composed of quartz, feldspar, chlorite, illite and calcite with the clay minerals. These clay minerals occur 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각화란 무엇인가? 암각화는 원시신앙 유적인 점에서 다른 어떤 유적과 유물보다도 선사인들의 정신세계가 고도로 농축되어진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처음으로 등장하며, 1970년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발견을 시작으로 모두 16곳에서 다양한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양전동 암각화가 위치한 곳은 어디인가? 양전동 암각화는 1976년에 지정된 보물 제605호로 1971년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조사 보고 되었다. 이 암각화는 경북 고령군 개진면 양전동에 위치하며, 위도상으로는 북위 35˚ 42′ 48″, 동경 128˚ 16′ 53″에 해당된다. 암각화가 새겨진 곳은 경북 내륙 깊숙이 위치한 고령읍의 외곽 회천(낙동강지류)기슭의 구릉 끝자락이다.
암각화의 주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처음으로 등장하며, 1970년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발견을 시작으로 모두 16곳에서 다양한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이들 암각화의 분포는 주로 한반도의 동남부 지역에 편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장명수, "고령지역 암각화의 보존 실태". 한국암각화학회, 9, p59-73, (2006). 

  2. 고인석, 신영식, "한국 남동부 고령지역 백악기 사암의 화학 조성". 지구과학회지, 16, (1995). 

  3. 노진환, 박현수, "고령지역 경상누층군 사암의 속성작용 및 속성광물". 지질학회지, 26, p371-392, (1990). 

  4. Pettijohn, F. J. "Sedimentary Rocks". 3rd. Ed. Harper and Row, New York, 628, (1975). 

  5. Suttner, L.J. and Dutta, P.K. "Alluvial sandstone composition and Paleoclimate, 1. framswork mineralogy". Jour. Sed. Petrology, 56, p329-345, (1986). 

  6. 도진영, 임권웅, "수용성 염이 석조문화재 표면박리현상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22, p121-134, (2008). 

  7. 도진영, "네브라 사암의 강화처리에 미치는 염의 영향". 보존과학회지, 18, p89-96, (2006). 

  8. 이상헌, "국내 석조문화재의 보전 대책수립을 위한 지질학적 고찰". 보존과학회지, 9, p9-18, (1998). 

  9. 이상헌, "석굴암을 이루는 암석의 풍화현상". 보존과학회지, 8, p1-9, (1999). 

  10. 이상헌, "나주동문외석당간 구성암석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보존과학회지, 19, 57-66(2006). 

  11. 이정은, 이찬희, 이명성, "경주 분황사석탑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존과학적 진단". 보존과학회지, 18, p19-32, (2006). 

  12. Nesbitt, H.W. and Young, G.M.,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utes". Nature, 299, p715-717,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