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실 주조 청동활자의 복원과 과학적 분석
Restor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Casting Bronze Type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2, 2009년, pp.207 - 217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승철 (청주고인쇄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동활자의 평균 조성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을해자의 평균 성분조성(Cu: 86.7%, Sn: 9.7%, Pb: 2.3%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와 주석, 납의 합금 비율을 구리 87%, 주석 15%, 납 8%로 정하였다. 주요 금속활자를 복원하기 전에 모합금을 제작한 후 다시 모합금을 용융하여 활자를 복원하였다. 1차로 복원한 계축자의 성분조성은 Cu 85.81~87.63%, Sn 9.27~10.51%, Pb 3.05~3.19%의 범위를 보였다. 2차로 복원한 계축자는 1차 주조 후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주조한 것으로서 성분조성은 Cu 87.21~88.09%, Sn 9.06~9.36%, Pb 2.80~3.05%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1차로 복원한 활자에 비하여 주석과 납의 함량이 소량 감소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을해자의 평균조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한 계축자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청동의 전형적인 주조조직인 수지상(dendrite)조직이 잘 발달해 있으며, 납편석물들이 조직 내에 산재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1차 주조 후 관찰한 미세조직과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2차로 활자를 제작한 후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 1차로 주조한 것에 비하여 2차로 주조한 것이 일부 공석상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조직별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복원 실험을 통해 활자 주조방법의 기준 및 합금조성의 비율 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활자 복원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replicating 10 bronze types such as Gyemija, Gyeongjaja, Eulhaeja, etc. before the Imjin war, we studied the change of microstructure from each casting process, method, and alloy ratio by Gyechukja replicated from "Donggukyeojiseungnam". We selected the average of compositions of Eulhaeja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또한 이번에 수행된 복원 금속활자의 과학분석을 통하여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복원을 위한 금속활자의 합금비율을 산정하고, 주조방법의 기준 마련, 마지막으로 복원 된 금속 활자의 성분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청동 금속활자의 합금 조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6,7.
  • 청동활자에 대한 분석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각 단계별 성분조 성은 ICP-AES를 이용하였으며, 복원한 활자의 내부 구조는 X선 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복원한 활자의 금속 조직별 차이점은 금속현미경과 SEM-EDS 분석 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Table 1은 이번에 분석한 시료목록을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官鑄活字) 중계미자(癸未字;1403)를 시작으로 임란 전 주조되어 사용된 금속활자 10종 복원 및 이와 관련한 조선 초기의 주조 및 조판기술을 복원하고자 하였다.1) 또한 이번에 수행된 복원 금속활자의 과학분석을 통하여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복원을 위한 금속활자의 합금비율을 산정하고, 주조방법의 기준 마련, 마지막으로 복원 된 금속 활자의 성분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청동 금속활자의 합금 조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05%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1차로 복원한 활자에 비하여 주석과 납의 함량이 소량 감소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을해자의 평균조성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원한 계축자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청동의 전형적인 주조조직인 수지상(dendrite)조직이 잘 발달해 있으며, 납편석물들이 조직 내에 산재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1차 주조 후 관찰한 미세조직과 남은 가지쇠를 용융하여 2차로 활자를 제작한 후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 1차로 주조한 것에 비하여 2차로 주조한 것이 일부 공석상 영역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조직별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조선왕실 금속활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복원 실험을 통해 활자 주조방법의 기준 및 합금조성의 비율 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활자 복원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무엇인기? 이러한 기술의 축적과 시대적인 여건의 토대 위에 드디어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기록상)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1232년 이전)』 의 인쇄가 진행 되었으며, 1234년경에는 주자(鑄字)를 사용한 『고금상정 예문(古今詳定禮文)』 이 간행되었다. 더 나아가 고려말에 이르러서는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를 지방인 청주 흥덕사에서 주조할 정도로 인쇄기술의 발전이 이루 어지고 있었다.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엔 무엇이 있는가? 임진왜란 이전의 청동활자인 계미자, 경자자, 을해자 등 10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계축자인 동국여지승람의 복원 활자를 통하여 주조할 당시의 합금비율, 주조방법과 각 주조 단계 별 미세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청동활자의 평균 조성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을해자의 평균 성분조성(Cu: 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청주고인쇄박물관, "금속활자 주조 및 인쇄기술사 복원 연구 결과 보고서". (2006). 

  2. 이승철, "금속활자 주조기술 규명을 위한 복원 실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 청주고인쇄박물관, "갑인자와 한글활자-2007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사업 결과보고서". (2007). 

  4. 윤용현,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활자의 과학분석". 서지학연구, (2007). 

  5. 윤용현,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활자의 과학분석". 갑인자와 한글활자-2007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사업 결과보고서, 청주고인쇄박물관, (2007). 

  6. 청주고인쇄박물관, "조선전기 한국의 금속활자-2008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사업 결과보고서". (2008). 

  7. 윤용현, "조선시대 금속활자의 복원을 위한 과학분석". 조선전기 한국의 금속활자, 청주고인쇄박물관, (2008). 

  8. 이재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에 대한 일고찰". 서지학연구, 29, (2004). 

  9. 이재정,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속활자의 과학적 분석". 서지학연구, 33, (2006). 

  10. 이재정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글금속활자의 고증 및 성분분석". 서지학연구, 3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