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폐기물처리시설 민영화 정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의사 분석
An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Intentions for Privatization Polic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8 no.5, 2009년, pp.257 - 270  

구자건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강미연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서용칠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선종근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윤보라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  김병훈 (환경부 자원순환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has pursued a policy to privatize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financial management in recent years.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local governments on this policy,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s on 37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정부의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의 민영화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의사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특히, 중앙정부의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민영화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의사를 분석하기 위해 환경부의 환경기초시설 민영화 지침(환경부, 1997)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선행 연구(문현주, 1994) 등을 검토하고, 10년간의 지자체 의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기복과 정 호선이 시행했던 선행 연구(1997)와 동일한 문항을 포함하는 설문을 설계·작성함으로써 지자체의 민영화 의사 현황과 그 변화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영화란 무엇인가? ‘민영화’(privatization)는 1980년대 초부터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개념으로 정부 활동이나 자산소유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을 줄이고 민간부문의 역할을 증대시켜 공공조직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한 활동이다(Aktan, C. S.
공공서비스란 무엇인가?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s)란 행정 현상의 하나로서 주민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한 사회 내에서 편익을 배분하는 정부의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지자체의 공공서비스(local public services)는 지역이라는 공간적 단위에서 생산·전달·소비되는 서비스중 공공성을 띠는 것으로써 폐기물 처리, 상·하수도, 도로·교통 서비스 등은 주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수익자부담원칙에 의해 요금을 징수 하여 공급하는 생활기반 서비스이다(배용수, 1998).
중앙정부의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의 민영화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의사를 6개 정책 분야별 비교·분석한 연구의 결론은 무엇인가? 첫째, 지자체들의 생활폐기물처리 서비스 관련 재무 상태는 충분하지 않은 수준이지만, 1997년에 비해 재무 상태가 개선되었으며 장래의 재무 상태에 대해서도 1997년에 비해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재정 여건이 열악하다고 응답한 지자체의 비율이 1997년에 비해 15.4% 감소하고, 장래의 재정 여건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한 지자체의 비율이 24.2% 감소한 결과를 통해 확인된다. 그러나 자체의 재원 조달만으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이 충분하거나 추가 시설에 투자할 여력이 있다고 응답한 지자체는 없어서, 별도의 재원 조달 방안이 마련되지 못할 경우 생활 폐기물 처리시설의 신규 설치가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07년 이후 전국 지자체들이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신규 설치시 민간자본을 활발히 유치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현실적인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지자체들은 직영하고 있는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중 매립시설(46.2%)과 소각시설(40.0%)에 대해 높은 만족율을 보인 반면, 재활용시설과 음식물 자원화시설에 대해서는 매립시설과 소각시설에 비하여 만족율이 낮았다.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한 운영관리 만족도는 1997년에 비해 소각시설의경우 21.5%, 매립시설의 경우 28.0% 증가한 결과이며, 매립시설의 경우“불만”또는“매우 불만”응답의 비율이 27.2%에서 3.8%로 23.4%나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매립지 운영·관리 기술의 발전과 2005년 시행된 음식물 폐기물의 직매립 금지로 인한 악취 발생 요인의 감소 등의 효과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음식물자원화시설과 재활용시설에 대한 불만족 비율이 높은 이유는 지자체들이 이들 시설에 대한 운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민영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어서, 민영화 정책 추진시 지자체의 선호 성향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경우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매립시설에 대해서 지자체들은 민영화를 거의 고려하고 있지 않은 반면 음식물자원화시설 (76.2%), 소각시설(63.6%), 재활용시설(53.9%)에 대한 민영화 의사는 높은 편이며, 민영화 추진율이 가장 높은 시설은 음식물자원화시설이었다. 지자체들이 민영화를 검토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정적 이유(59.7%)로써 환경민원 등 서비스 질 개선 사유 (16.4%)보다 월등히 높았다. 매립시설에 대한 민영화 의사가 낮은 이유는 매립 부지 조성 및 운영 등 투자비에 비해 수익성이 현저히 낮아 민간자본의 투자 유인 효과가 낮기 때문이다. 생활폐기물과 달리 매립이 어려운 음식물 폐기물의 경우 법적인 요구 수준을 충족시켜야 하는 현실적 수요 때문에 음식물자원화시설에 대한 민영화 추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민영화를 검토하는 이유로‘민간사업자의 제안 때문’이라는 응답이 1997년에는 없었으나 2007년에는 10.4%를 차지해서 특기할 만 했다. 넷째, 지자체들은 민영화 대상 시설로 기존 및 신규시설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은 1997년 조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업자 선정방식은 공개경쟁 입찰에 대한 선호도 감소(15.9%)와 턴키방식에 대한 선호도 증가(8.4%)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민간업체 선정 기준으로 턴키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 이유는 지자체가 환경민원이 발생할 여지가 많은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운영에 대해 전문성을 갖추고 시설의 설계 및 시공, 관리까지 일괄해 처리할 수 있는 대형업체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째,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민영화로 인해 지자체들은 소폭 또는 대폭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환경목표 달성이 민영화 이전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특히 소각시설의 경우 비용 절감 효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소각시설이 대부분 대형 전문업체들에 의해 설계-시공-운영되는 측면을 반영한 결과로 생각된다. 지자체들이 민영화를 통해서 운영관리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있을 것이란 전망은 1997년 조사결과와 유사했다. 환경적 목표 달성에 대한 전망역시 긍정적 역할을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여,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민영화 정책 추진 여건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할수 있다. 여섯째,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민영화의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요소로 지자체들은 중앙정부 인센티브 확대, 점진적 민영화를 꼽았으며, 방해가 되는 요소로 파업 등 서비스 차질 가능성과 실무 공무원들의 반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민영화의 성공 여부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민간기업의‘수익성’이며, 이 수익성은 생활폐기물 처리의 광역화 또는 재정적 인센티브와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의 민영화 정책은 2009년 이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광역 행정구역개편과 연계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진영, 2002, 민영교도소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 논문 

  2. 김한승, 2007, 물산업 육성방안과 상하수도 민영화, 대한환경공학회지(특별호) 

  3. 문현주, 1994, 폐기물 처리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박생기, 1999, 공항 운영의 민영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배용수, 1998, 지방자치단체 기능의 민영화 방안, 한국행정연구, 7(1) 

  6. 이계원, 2001,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생활폐기물 수거처리 민간위탁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14(1) 

  7. 이재웅 외 5인, 2000, 우리나라 환경기초시설의 민영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지, 8(4) 

  8. 이정임 외 4인, 2001, 경기도 폐기물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9. 이홍직, 2007, 해외사례를 통한 교정시설 민영화에 관한 고찰, 교정연구, 36권 

  10. 장기복, 정호선, 1997, 민간기업의 환경기초시설 운영제고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 전황수, 2008, 일본의 우정사업 민영화 요인 분석, 아시아연구, 10(3) 

  12. 조임곤, 2008, 우정사업 민영화 방안:우편과 금융통합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 22(3) 

  13. 조계근, 2001, 지방자치시대의 효율적인 공공서비스 공급방안-강원도 생활폐기물 수거서비스 효율성을 중심으로, 응용경제, 3(2) 

  14. 조창현, 2005, 한국 철도산업의 민영화에 관한 비교연구 : 일본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15. 한국환경경제학회, 2001, 경기도내 광역시설의 입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경제적 가치 추정, 경기개발연구원 

  16. 한상우, 2006, 포츠담(Potsdam)시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사례 및 시사점, 한독사회과학논총, 15(2) 

  17. 환경부, 1997, 환경기초시설 민영화 업무처리지침 

  18. Aktan, C. S., 1998,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Privatization, Journal of Social and Economic Studies, 20(2) 

  19. Dijkgraaf, E. and Gradus, R. H., 2003, Cost Savings of Contracting Out Refuse Collection, Empirica 30 : 149~161,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Mustafa Eyyuboglu, E., 2006, Effects of Privatization: A Case Study from Cayirhan Coal District, Turkey, Energy Policy, 34 

  21. Sandra C. L. and Coad A., 2000,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wiss Center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Technology and Management, SKAT 

  22. US EPA, 2000, Guidance on the Privatization of Federally Funded Wastewater Treatment Works 

  23. Weizsacker, E. U., Young O. R., and Finger, M., 2005, Limits to Privatization, Earthscan 

  24. 日本內閣府民間資??等活用事業推進室, 2005, 地方公共團體におけるPFI 事業導入の手引き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