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가 안성천 유역의 유출모의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on Streamflow Simulation Using Semi-distributed Hydrologic Model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29 no.1B, 2009년, pp.11 - 22  

김보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권현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유출 해석은 저수지와 댐의 용량 결정, 가뭄대책 수립, 하천유지유량 결정 등의 이수계획과 용수공급을 위한 댐 및 저수지의 물 관리, 수리권의 허가 및 조정, 용수 분쟁 조정 등의 하천 물 관리 실무와 하천, 호소의 수질예측 등에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수문학자들은 수자원관리를 목적으로 강우-유출 모형을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으나 실제 유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댐과 저수지 등과 같은 인위적 저류시설물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각 저류시설물의 수용 및 방류 능력은 국부적으로는 저수지 하류에, 광역적으로는 유역 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해석 시 유역 내 포함된 저수지나 댐과 같은 시설물을 고려하여 모형을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집중호우 등으로 홍수피해를 경험한 바가 있으며 농업용 저수지가 다수 위치한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 저수지가 유출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홍수조절 능력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안성천 유역의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하여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LURP 모형을 구성하고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 효과에 따른 하류 지역에 대한 영향성을 검토하였으며, 유출해석 시 모형 내 저수지 반영 여부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 내 저수지를 고려하여 모의한 결과, 강우가 집중되지 않는 봄과 가을철에는 저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가 매우 집중되는 시기에는 하류로의 유출이 더 크게 모의되어 저수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차이를 보였으며, 유황분석을 통해 저수지 유무에 따른 유량변동이 풍수량(95일)과 갈수량(355일)에서 특히 크게 분석되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단,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기흥, 이동, 고삼금광 저수지의 자료는 안성천홍수예보시스템 개선(건설교통부, 2007b)에서 조사된 내용에 의거하여 각 저수지별 최대방류량을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으므로 실제 저수지 운영에 따른 유출과 유황변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히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rainfall-runoff modeling is a key element in the Earth's hydrological cycle, and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aspects such as dam design, drought management, river management flow, reservoir management for water supply, water right permission or coordinate, water quality prediction.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 내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흥, 이동, 고삼과 금광 저수지를 포함하여 일 유출량 모의를 실시하였다. 이 저수지 들은 현재 규칙적인 운영 규칙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방류량 자료 확보에 무리가 있는 상태로 저수지 수위-면적/체적 곡선과 최대방류량과 제원을 이용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 4.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저수지를 SLURP모형에 적용여부에 따른 유량 변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확률에 대한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과 갈수량에 대한 비교 결과, 평수량, 저수량과 갈수량 (355일, 97.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수문모형을 이용한 유출 모의 시 유역 내 포함된 저수지나 댐과 같은 시설물을 반영하고 실제와 같은 상태에서 유역 전반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집중호우로 큰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저수지가 다수 위치한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현재 저수지 수용 및 방류 능력을 평가하고 실제와 비교함으로써 실제 저류 효과와 하류 지역에 대한 영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선행연구로부터 유출 모의 적용성이 검토된 바 있는 SLURP모형을 이용하여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가 하천유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성천 유역을 47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TOPAZ로부터 지상학적, 물리적 매개변수를 추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황분석을 통하여 SLURP모형 내 저수지 반영 여부에 따른 유량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림 11은 각 지점별 유황곡선으로 그래프의 횡축은 확률(%), 종축은 저수지 유무에 따라 모의된 유량(cms)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를 SLURP모형에 반영하고 유역 특성에 따라 매개변수를 보정 하였다. 본 절에서는 유출 모의를 위하여 수문모형 적용 시저수지 반영 여부에 따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농업용 저수지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SLURP모형은 강수량, 증발산량, 유출량 등 모형 입/출력 값의 시공간적 분포를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김병식등, 2004).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에 큰 피해를 주었던 2006년에 대한 강우량과 유출량의 공간적 분포를 도시하였다. 그림 12는 2006년 여름철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8월보다 6, 7월 특히, 7월 강우량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6월 7월 강우량(그림 12(a)와 (b))은 유역 전반에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된 것으로 나타나 8월(그림 12(c))과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 순환과정의 핵심적 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은 어떤 측면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가? 물 순환과정의 핵심적 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은 용수 공급 및 가뭄재해에 대한 이수, 홍수 대비 및 관리를 위한 치수와 하천 생태계 유지를 위한 환경 측면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박성우, 1995). 통상 하천 유출량은 관측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으나, 실제 유량자료를 산정할 수 있는 수문관측소의 수가 제한적이거나 관측 자료의 신뢰성이 낮고 (김현준, 2001), 관측기록이 짧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박성우, 1995).
SLURP모형 어디에 사용하기 위하여 1975년에 개발됐는가? SLURP모형은 SSARR모형과 같은 복잡한 모형의 대안으로 중규모 유역에 사용하기 위하여 1975년 개발되었으며, 초기 집중형 모형 SLURP(Simple LUmped Reservoir Parametric)에서 현재 준분포모형인 SLURP(Semi-distributed Land Use-based Runoff Processes)으로 개선되었다(Kite, 2007).
국내외의 선행연구로부터 유출 모의 적용성이 검토된 바 있는 SLURP모형을 이용하여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가 하천유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 내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류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흥, 이동, 고삼과 금광 저수지를 포함하여 일 유출량 모의를 실시하였다. 이 저수지 들은 현재 규칙적인 운영 규칙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방류량 자료 확보에 무리가 있는 상태로 저수지 수위-면적/체적 곡선과 최대방류량과 제원을 이용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단, 이 방법은 저수지가 지닌 최대방류량을 초과하는 경우, 일정량을 방류하게 되어 실제와는 차이가 있다. 2. 모형 내 저수지 반영여부에 따른 동연교 지점(기흥과 이동 저수지)에서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 저수지를 고려하여 모의를 실시한 경우 강우가 집중되지 않는 봄철(4, 5월)과가을철(9, 10월)에는 저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가 매우 집중되었던 시기에는 하류로의 유출이 더 큰것으로 모의되었다. 3. 고삼저수지와 금광저수지를 모형 내 반영하여 이들 저수지하류에 위치한 공도 지점을 분석한 결과 동연교 지점과 마찬가지로 강우가 집중되는 시기에 오히려 저류 효과를 상실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특히, 제방 붕괴 및 유실로 큰피해를 야기한 2006년 집중호우 사상에 대한 모의 결과에서도 저수지를 반영한 모의 결과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하류로의 유출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4.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저수지를 SLURP모형에 적용여부에 따른 유량 변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확률에 대한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과 갈수량에 대한 비교 결과, 평수량, 저수량과 갈수량 (355일, 97.3%)에서 저수지를 고려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작게 나타났으며 특히, 갈수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풍수량(95일, 26.1%)의 경우에는 저수지를 고려한 경우의 유량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가정한 저수지 모의에 따르면 안성천 유역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가 설계강우량보다 적을 때에는 저류 효과를 보였으나 집중호우 또는 홍수로 유역 내 유출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저류지로 인하여 하류에 유량을 집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 SLURP모형을 이용하여 안성천 유역에 집중호우와 큰 피해가 발생하였던 2006년 7월 28일 강우량과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강우는 안성천 본류와 평택, 동연교 부근에서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유출량의 경우, 실제 저수지의 역효과로 피해가 컸던 일부 상류 저수지 부근과 평택, 동연교 지점에서의 유출량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건설교통부(2007a) 강우레이더에 의한 돌발홍수예보시스템 개발(3차년도). 

  2. 건설교통부(2007b) 안성천 홍수예보시스템 개선. 

  3. 과학기술부(2004)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지표수 수문 성분 해석기술개발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권형중, 임혁진, 김성준(2007)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농촌용수구역 단위의 가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1호, pp. 22-34. 

  5.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6) SWAT을 활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0호, pp. 833-843 

  6. 김남원, 이정은, 이병주(2007)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 및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1B호, pp. 53-63. 

  7.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2005)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7호, pp. 517-526. 

  8. 김대근, 정재웅, 박재현, 박창근(2007) 적설 및 융설의 영향을 고려한 장기유출모의, 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제21권 제3호, pp. 265-272. 

  9. 김병식, 김경탁, 박정술, 김형수(2006) 준 분포형 수문모형에서의 원격탐사자료의 적용 및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2호, pp. 144-158. 

  10.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2004) SLURP 모형의 증발산 모형에 대한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45-758. 

  11. 김병식, 서병하, 김형수, 김남원(2003) SLURP 모형을 이용한 하천유출량 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B호. pp. 289-303. 

  12. 김주훈, 김경탁, 신사철(2003) 원격탐사 및 GIS에 의한 잠재증발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200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512-2515. 

  13. 김현준(2001) 2매개변수 쌍곡선형 일유출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박민지, 박근애, 김성준(2007) 농업용 저수지 운영을 고려한 SLURP모형의 수문학적 거동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15-523. 

  15. 박성우 외(1995) 응용수문학. 향문사. 

  16.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17. 윤용남(2001) 공업수문학, 청문각 

  18. 이도훈, 조성일(2002) 토양 수리 특성의 관측 및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 대한토목학회, pp. 264-267. 

  19. 임혁진, 권형중, 배덕효, 김성준(2006) CA-Markov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강댐 유역의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5호, pp. 453-466. 

  20. 정건희, 김태웅(2007) 저수지와 수계운영을 통한 물배분모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0호, pp. 38-43. 

  21. Dingman, S.L. (1994) Physical hydrologic.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pp. 575. 

  22. Kite, G.W. (1978)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model for a Canadian watershed.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5, No. 1, pp. 126-134. 

  23. Kite, G.W. (1993) Application of a land class hydrological model to climatic chang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7, pp. 2377-2384. 

  24. Kite, G.W. (1994)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Trends in Hydrology by J. Menon (ed.), 191-208, CSRI, Trivandrum, India. 

  25. Kite, G.W. (2000) Using a basin-scale hydrological model to estimate crop transpiration and soil evapo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29, pp. 59-69. 

  26. Kite, G.W. (2001) Modelling the mokong: hydrological simul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Vol. 253, pp. 1-13. 

  27. Kite, G.W. (2007) Manual for the SLURP Hydrological Model Version 12.7. 

  28. Sabourin, J.F. and Associates (1996) Implementation of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using SLURP on the Carp watershed. CCRS, Ottawa, 43 pp. 

  29. Shin, H.J. and Kim, S.J. (2007)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snowmelt in the two mountainous watersheds Using CCCma CGCM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1, No. 6, pp. 31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