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차량중량분포를 이용한 차량하중모형 개발(II) - 연행차량 효과 분석 및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Vehicular Load Model using Heavy Truck Weight Distribution (II) - Multiple Truck Effects and Model Development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구조공학, 원자력공학, 콘크리트공학, v.29 no.3A, 2009년, pp.199 - 207  

황의승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신뢰도기반 도로교설계기준을 위한 새로운 활하중모형을 개발하였다. 합리적 하중모형과 함께 하중의 통계적 특성의 구축은 신뢰도기반 설계기준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이전 논문에서는 WIM 또는 BWIM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국내 8개 지역의 자료를 분석하여 교량수명기간동안의 예상최대중량을 구하였다. 차종별 총중량의 확률분포는 상위 20%의 자료를 이용하여 극한분포(Gumbel분포)로 가정되었으며 이 확률분포를 사용하여 교량수명기간동안의 최대중량을 예측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교량상에 두 대 이상의 차량이 동시에 재하되는 경우를 분석하였다. 여러 자료를 이용하여 동시재하의 확률을 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동시재하차량의 총중량을 이전 논문과 같은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10-200 m까지의 지간별로 예측된 하중효과를 모사할 수 있는 공칭하중모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하중모형은 기존의 하중모형 뿐만 아니라 국외의 여러 기준들과 비교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new vehicular load model is developed for reliability-based bridge design code. Rational load model and statistical properties of loads are important for developing reliability-based design code. In the previous paper, truck weight data collected at eight locations using WIM or BWIM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Video 촬영은 일반국도(PH지역, BB지역)와 고속국도(SW지역)에서 수행되었다. PH지역과 BB지역은 이전 연구에서 차량중량자료가 수집된 지역이며, SW지역은 중량자료는 수집되지 않았으나 타지역에 비해 교통량이 많고 정체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어서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선정되었다. 또한 Nowak(1993)의 연구 자료도 참고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 각 차종별 총중량의 확률분포는 상위 20%만의 자료를 이용하여 극한분포로 가정하고, 선형회귀선을 이용하여 100년 최대중량을 예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 논문에서 예측된 차량의 최대중량과 두 대 이상의 차량이 교량상에 동시에 재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최대하중효과를 계산하고 이에 적합한 설계활하중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기반 도로교설계기준을 위한 새로운 활하중모형을 개발하였다. 신뢰도기반의 설계기준을 위해서는 합리적 하중모형과 함께 하중의 통계적 특성의 구축이 중요하다.
  • 두 경우 모두 두 대 이상의 차량이 교량에 재하될 확률을 고려하여, 두 대 이상의 차량의 중량을 구하고 이를 반영한 차량활하중모형이 정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렬의 차량효과를 고려한 하중모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병렬의 차량효과는 포함하지 않았다. 기존의 WIM이나 BWIM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차량도착시간이 있으나 연행의 확률을 구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시간을 잴 수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직접 Video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 설정

  • 이전 논문에서는 WIM(Weigh-In-Motion)시스템 및 BWIM(Bridge WIM)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국내 8개 지역의 자료를 분석하여 대표적인 차량의 종류를 구분하였으며 각 차종별 대표적인 크기 및 중량분포를 구하였다. 각 차종별 총중량의 확률분포는 상위 20%만의 자료를 이용하여 극한분포로 가정하고, 선형회귀선을 이용하여 100년 최대중량을 예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 논문에서 예측된 차량의 최대중량과 두 대 이상의 차량이 교량상에 동시에 재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최대하중효과를 계산하고 이에 적합한 설계활하중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수집된 자료로부터 대표적인 차량의 종류를 구분하였으며 각 차종별 대표적인 크기 및 중량분포를 구하였다. 각 차종별 총중량의 확률분포는 상위 20%의 자료를 이용하여 극한분포로 가정되었으며 이 확률분포를 사용하여 100년 최대중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차량이 직렬로 동시에 재하되는 확률을 분석하여 그 중량을 예측하였으며 이에 따른 하중효과를 분석하였다.
  • 공칭 하중모형은 그림 10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림 10은 교량의 수명(100년)동안 발생할 수 있는 최대하중효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공칭하중에 하중계수를 곱한 값(계수하중 또는 극한하중)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그림 10의 값을 가정한 활하중계수로 나눈 값과 같은 모멘트비를 갖도록 공칭하중모형을 결정하였으며, 또한 공칭하중모형은 상위 20% 차량자료의 평균중량을 갖는 차량에 의한 효과와 가능한 유사하도록 결정하였다.
  • 선행논문의 결과로부터 3장에서 중차량의 최대중량은 극한 제1분포인 Gumbel분포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활하중의 중량에 대한 확률분포함수는 Gumbel분포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와 같은 계산에 의하여 4대까지의 연행차량에 대하여 각 지역별로 계산한 최대중량의 평균값은 표 2와 같으며, 그림 3에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실제 연행의 확률은 차종 구분없이 구한 값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같은 차종끼리의 연행의 확률로 가정하였다.
  • 그림 5는 Code70과 Code91의 두 대의 직렬차량에 의한 단순지지된 보의 중앙점 휨모멘트이다. 여기서 휨모멘트 계산시 차량의 간격은 기존의 연구(김상효 등, 1991)에서 제안된 정체시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범퍼간 최소간격 1.2 m임을 고려하여 선행차량의 마지막 축과 후행차량의 첫번째 축간의 거리를 5 m로 가정하였다. 세로축은 모멘트비로서 차량에 의한 중앙점 최대휨모멘트를 현재 도로교설계기준(2005)의 1등교 활하중인 DB24/DL24에 의한 중앙점 최대휨모멘트로 나눈 것이다.
  • 충격하중계수의 평균값은 약 10%정도인데, Nowak(1999)의 연구에 의하면 충격하중의 변동계수는 약 70%정도이다. 이를 활하중의 값으로 환산하여 충격하중의 변동요인을 약 10%로 가정하였다. 네 번째로 구조해석에 관계된 변동요인을 들 수 있다.
  • 총중량에 대한 확률분포는 이전 논문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위 20%의 자료를 Gumbel분포로 가정하여 구하였다. PH지역의 두 대의 Code 91에 대하여 완전무관확률 1/50을 적용하여 최대중량을 추정하는 계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그림 10의 값을 가정한 활하중계수로 나눈 값과 같은 모멘트비를 갖도록 공칭하중모형을 결정하였으며, 또한 공칭하중모형은 상위 20% 차량자료의 평균중량을 갖는 차량에 의한 효과와 가능한 유사하도록 결정하였다. 활하중계수는 일반적으로 하중의 통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본 연구에서 결정된 하중의 통계치는 3.2에 기술되어 있으며, 활하중계수는 1.75로 가정하였다. 제안된 하중모형은 그림 1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량에 의한 활하중의 효과는? 차량에 의한 활하중의 효과는 일반적인 중소지간 규모의 교량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설계기준에서 이러한 활하중의 모형은 교량이 위치한 지역 또는 국가의 차량, 특히 중차량의 제원, 중량 및 통행특성을 반영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제안된 하중모형은 설계트럭하중, 설계탠덤하중 및 설계차로하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설계트럭하중의 특징은? 제안된 하중모형은 설계트럭하중, 설계탠덤하중 및 설계차로하중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계트럭하중은 현재 도로교설계 기준(2005)의 DB24 트럭하중과 동일하며 설계탠덤하중은 간격 1.2 m의 두 개의 145 kN의 힘이다. 설계차로하중은 등분포하중으로 그 크기는 9.
설계기준에서의 활하중의 모형의 특징은? 차량에 의한 활하중의 효과는 일반적인 중소지간 규모의 교량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설계기준에서 이러한 활하중의 모형은 교량이 위치한 지역 또는 국가의 차량, 특히 중차량의 제원, 중량 및 통행특성을 반영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에 도로교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5)의 차량 활하중모형으로 DB/DL하중이 도입된 이후 물동량의 증가와 중차량의 대형화 등으로 새로운 하중모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건설교통부(2005)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 고현무 등(1998) 도로교 차량 활하중 및 피로하중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R&D/96-0013 최종보고서, 서울대학교 

  3. 고현무 등(2005)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연차보고서.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4. 김상효 등(1991) 도로교 설계하중의 확률론적 분석, 최종보고서 91-SE-113-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 심재수, 황의승, 하준수(1996) 도로교 차량 활하중의 최대단면력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1-4호 pp. 387-397. 

  6. 황학주, 김상효(1993) 도로교 최대차량하중효과 분석을 위한 모의해석기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4호 pp. 77-86. 

  7. 日本道路協會(2002) 道路橋示方書.同解說, 일본도로협회 

  8. AASHTO (1994)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9. AASHTO (1996)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ay Bridges, 

  10. Ang, A. H-S. and Tang, W. (1975)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11. CEN (2002) Eurocode 1. Actions on Structures, European Committee 

  12. CSA (2001) Canadi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Canadian 

  13. Moses, F. (2001) Calibration of Load Factors for LRFR Bridge 

  14. MOTC (1983) Ontario Highway Bridge Design Code, Ministry of 

  15. Nowak, A.S., Nassif, H., and DeFrain, L. (1993) Effect of truck 

  16. Nowak, A.S. (1999) Calibration of LRFD Bridge Design Code. 

  17. Turkstra, C.J. and Madsen, H. (1980) Load combinations for codifi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