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9 no.1D, 2009년, pp.111 - 120  

박세훈 (국토연구원 도시연구실) ,  손동욱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이진희 (국토연구원 도시연구실)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공간구조를 자동차 중심형 에너지 다소비형에서 대중교통과 보행을 우선하는 형태로 재편하여 대중교통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에너지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는 미국과 유럽의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로 개발되어 있고 대중교통서비스도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구조로의 발전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선진국의 주요도시들에 비해 대중교통수송분담률이 낮고 도시환경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 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여 토지이용밀도, 토지이용복합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연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로 전환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tructuring urban land use patterns from the motor-oriented to transit-oriented ones is a contemporary trend in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It is expected that transforming urban land use patterns to be transit and walking friendly would resolve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heavy energy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건은 무엇인가? 도시공간구조를 자동차 중심형·에너지 다소비형에서 대중교통과 보행을 우선하는 형태로 재편하여 대중교통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에너지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도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는 뉴어바니즘(new urbanism), 컴팩트시티(compact city), 어반빌리지(urban village), 지속가능한 도시(sustainable city) 등 최근의 도시계획·설계이론들은 모두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 구축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은 무엇을 말하는가?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는 일반적으로 ‘대중교통결절점(transit center)’을 중심으로 고밀도의 복합적 토지이용, 중심기능의 집중배치, 보행환경의 개선 등을 통해 자동차이용보다는 대중교통이용과 보행을 유도하는 도시개발전략을 말한다.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를 알기위해 무엇을 분석 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여 토지이용밀도, 토지이용복합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연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로 전환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국무총리실(2008) 기후변화대책기획단.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2. 박소현(2006)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국토연구원. 

  3. 서울특별시(1995) 서울교통특별대책, 교통백서. 

  4.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19-30. 

  5. 성현곤, 박지형, 김동준(2007)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교통연구원. 

  6. 임희지(2007) 서울시 대중교통 역중심 생활권 형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Cervero, R. and Gorham, R. (1995).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 2, pp. 210-225. 

  8. Calthrope, P.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9. Dittmar and Poticha (2004) Defin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The New Regional Building Block. in The New Transit Town: Best Practices i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Washington : Island Press. 

  10. European Un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Parliament COM(90) 218. 

  11. Frank, L. and Pivo, G. (1995) Impact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466, pp. 44-52 

  12. Messenger, T. and Ewing, R. (1996)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sun bel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552, pp. 145-153. 

  13. Sung, H.G. (2005) Lessons from experiences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국토계획, Vol. 40, No. 5. pp. 205-223. 

  14. The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Transit Development Corporation (2004) Th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Report 102. Tcrp Oversight and Project Selection Committee (as of Januar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