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재분석 : CAN-Pro 3.0 식품영양가표의 활용
Reanalysis of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KNHANES) Results by CAN-Pro 3.0 Nutrient Database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6, 2009년, pp.577 - 595  

심연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백희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7 KNHANES 식이섭취자료를 우리나라 일반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CAN-Pro 3.0 NDB를 이용하여 재분석함으로써, NDB 차이에 따른 영양소 섭취결과의 차이를 평가하고 지금까지 계산되지 않았던 아연,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 섭취량과 급원식품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과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두 NDB를 사용하여 계산한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 < 0.001) 일부 영양소를 제외하고 0.75$\sim$0.99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p < 0.001). 2) 두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의 차이가 섭취량의 5% 이내인 것은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B$_2$, 비타민 C, 철분이었으며 일곱 개의 영양소가 5$\sim$10%, 4가지 영양소가 10% 이상의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두 방법 간의 차이에 대해서 6가지 영양소에서 연령 군, 성별, 혹은 연령과 성의 교호작용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본 연구에서 CAN-Pro 3.0 NDB를 이용하여 2007 KNHANES 대상자들의 아연,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성별, 연령군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결과 여러 성별, 연령 군에서 아연,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E의 평균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이나 충분섭취량에 비하여 낮았으며 그 내용은 영양소에 따라 달랐다. 콜레스테롤은 일부 계층에서 섭취가 과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아연,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의 공급에 중요한 식품군과 식품들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이섭취조사 자료를 CAN-Pro 3.0 NDB를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재계산하여 비교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식이섭취조사에서 영양소 데이타베이스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영양소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많은 정보 교환 및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 연구자들이 영양소 데이터베이스의 호환성 검증과 함께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추정 및 식생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reanalyze energy and nutrient intakes of 2007 Korean Nutrition and Health Examination Survey (KNHANES) using CAN-Pro 3.0, a commonly used nutrient analysis software in Korea. Food items and their codes were selected from 2007 KNHANES dietary intake file and converted to food co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이 현재 KNHANES에서 사용되고 있는 NDB와 연구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NDB가 서로 다르므로 이러한 차이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07 KNHANES 식품 섭취 자료를 CAN-Pro 3.0 NDB로 재분석하여 그 결과를 원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NDB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평가하고, 현재까지 분석되지 않은 일부 미량영양소 (아연, 비타민 B6, 비타민E, 엽산,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표적인 식생활 조사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일반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CAN-Pro NDB로 다시 계산한 것으로, 앞으로 다른 연구 결과들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결과들과 비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을 CAN-Pro NDB로 전환하여 계산한 결과만을 비교하였을 뿐, 실제 DB를 비교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7 KNHANES 식이섭취자료를 CAN-Pro 3.0 NDB를 이용하여 재분석함으로써, NDB 차이에 따른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평가하고 지금까지 계산되지 않았던 아연,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 섭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0 NDB로 재분석함으로써 영양소데이타베이스에 따른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영양소 섭취량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두 데이터베이스에서 나온 결과로부터 주요 영양소 섭취에 기여도가 높은 기여 식품과 이들 식품이 총 영양소 섭취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양소 섭취 기여식품의 항목은 대체로 유사하고 각 식품으로부터의 섭취량과 총 섭취량의 비율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큰 차이를 보이는 식품은 없었다 (자료 제시 안 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KNHANES에서는 식품섭취량을 영양소로 환산하기 위해 무엇을 활용하고 있는가? 국민건강영양조사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한 부분으로 실시되는 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표샘플에서 1일의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영양소 및 주요 식품 섭취실태를 평가하는 국가적인 조사로 우리 국민들의 식생활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이며 1998년 이후 주기적으로 실시되다가 2007년부터 상시 조사로 실시되고 있다.5) 현재 KNHANES에서는 식품섭취량을 영양소로 환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부설 농촌생활연구소에서 발간한 식품성분표와 보건산업진흥원에서 구축한 가공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영양소 데이터베이스란?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Nutrient DataBase: NDB)는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와 성분을 포함하는 자료로 식이섭취 조사에서 영양소 섭취를 계산하는 기본 도구로서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식이섭취 조사에서 각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과 식품들은 NDB에 들어있는 내용에 따라 영양소 섭취 결과가 다르게 계산될 수 있다.
농촌생활연구소에서 발간한 식품성분표 7차 개정판의 1부에는 무엇이 수록되어 있는가? 농촌진흥청은 1970년에 식품 성분표 초판을 발행한 이후로 국내외에서 새로 분석하였거나 편집 발간된 식품 분석 치를 5년마다 개정해오고 있으며, 2006년도에 발간된 식품성분표 7차 개정판에는 1부에 2,505종의 식품의 일반성분, 주요 무기질과 비타민이 수록되어 있고, 2부에는 일부 식품에서 1부에 포함되지 않은 7가지 비타민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판토텐산, 엽산)과 아미노산,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식이섬유소, 기타 미량 성분 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모든 NDB의 기본 자료가 된다. 그러나 2부에 수록되어 있는 식품이 한정되어 있어 현재 KNHANES에서는 에너지와 총 15종의 성분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섬유소,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비타민 A, 레티놀, 베타카로틴, 칼륨, 칼슘, 인, 나트륨, 철)만이 계산되고 있으며 이중 섬유소는 조섬유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zzano LA, He Jiang, Ogden LG, Loria CM, Vupputuri S, Myers L, Whelton PK. Agreement on Nutrient Intake between the Databases of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ESHA Food Processor. Am J Epidemiol 2002; 156: 78-85 

  2. Matsuda-Inoguch N, Nakatsuka H, Watanabe T, Shimbo S, Higashikawaw K, Ikeda M. Estimation of Nutrient intake by the new version of Japanese food composition tables in comparison with that the previous version. Tohoku J Exp Med 2001; 194: 229-239 

  3. Vaask S, Pomerleau J, Pudule I, Grinberga D, Abaravicius A, Robertson A, McKee M. Comparison of the Micro-Nutrica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and the Russian Food Composition Database using data from the Baltic Nutrition Surveys. Eur J Clin Nutr 2004; 58: 573-579 

  4. Hyun TS, Han YH. Comparison of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in College students using the 6th vs. 7th nutrient database. Korean J Nutr 2001; 34(7): 797-808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Ⅳ), Seoul; 2009 

  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AN-Pro 3.0 software; 2005 

  7. Shim YJ. Reanalysis of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KNHANES) results by CANPRO 3.0 Nutrient Database [thesis]. Seoul: Seoul Nationl University; 2009 

  8. Paik HY, Kim KC, Kim YO, Kim JS, Moon HK, Oh SY, Lee SY, Lee SY, Joung HJ, Dwyer J.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ns, Seoul: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p.302-304 

  9. Schakel SF, Sievert YA, Buzzard IM. Sources of data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nutrient database. J Am Diet Assoc 1998; 88: 1269 

  10.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NFRDI) portal. Available from : http://nfrdi.re.krt 

  11.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 

  12. Merchant AT, Dehghan M. Food composition database development for between country comparisons. Nutr J 2006; 5: 2-10 

  13.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1 Available from : http://www.nal.usda.gov/fnic/foodcomp/search/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 Seoul: Sidaegihoek; 2005 

  15.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dvance Data No. 341. Dietary Intake of Selected Minerals for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99-2000; 2004. Available from : http://www.cdc.gov/nchs/about/major/nhanes 

  16.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dvance Data No. 339. Dietary Intake of Selected Vitamins for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99-2000; 2004. Available from : http://www.cdc.gov/nchs/about/major/nhanes 

  17. Kim YS, Kim KN, Chang NS. Dietary folate intake of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Korean J Nutr 1999; 32(5): 585-591 

  18. Ahn HS, Jeong EY, Kim SY. Studied o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national status of vitamin B6, B12, and folat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2002; 35(1): 37-44 

  19. Kondo A, Kamihira O, Shimosuka Y, Okai I, Gotoh M, Ozawa H. Awareness of the role of folic acid, dietary folate intake and plasma folate concentration in Japan. J Obstet Gynaecol Res 2005; 31(2): 172-177 

  20. Zhao Y, Hao L, Zhang L, Tian Y, Cao Y, Xia H, Deng Y, Wang T, Yu M, Li Z. Plasma folate status and dietary folate intake among Chinese women of childbearing age. Matern Child Nutr 2009; 5(2): 104-116 

  21. Brussaard JH, Lowik MR, van den Berg H, Brants HA, Goldbohm RA. Folate intake and status among adults in the Netherlands. Eur J Clin Nutr 1997; 51(suppl)3: S46-50 

  22. Shuaibi AM, House JD, Sevenhuysen GP. Folate Status of Young Canadian Women after Folic Acid Fortification of Grain Products. J Am Diet Assoc 2008; 108(12): 2090-2094 

  23. Sauberlich HE, Kretsch MJ, Skala JH, Johnson HL, Taylor PC. Folate requirement and metabolism in nonpregnant women. Am J Clin Nutr l987; 46: 1016-1028 

  24. Min HS.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The Comparisons of Thermal Destruction and Loss of Folate into Cooking Water by Blanching Time of Spin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 286-290 

  25. Food and Nutrition Board.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National Academies; 2002 

  26.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dvance Data No. 348. Dietary Intake of Fats and Fatty Acids for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99-2000; 2004.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chs/about/major/nhanes 

  27. Choi MK, Kim HS, Lee WY, Lee HM, Ze KR, Park JD. Comparative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iron, and zinc in rural, coastal, and urban distri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5): 659-666 

  28. Lee JY, Paik HY, Joung HJ. Supplementation of zinc nutrient database and evaluation of zinc intake of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8; 31: 1324-1337 

  29. Cho YO, Yun MK. Estimation of Vitamin B6 Intake and M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6 in Elderly Korean in Seoul Area. J Food Sci Nutr 2007; 9: 85-91 

  30. Cho YO, Kim YN. Dietary intake and major dietary sources of vitamin B6. J Food Sci Nutr 2001; 4(1): 20-25 

  31. Jin HO, Lim HS. Major Foods for Folate and Their Folate Content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 (1): 152-158 

  32. Hyun TS, Han UH. Comparison of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in College Students Using the 6th vs. 7th Nutrient Database. Korean J Nutr 2001; 34(7): 797-808 

  33. Choi HM, Kim JH, Jang KJ, Min HS, Yim KS, Byun KW, Lee HM, Kim JW, Kim HS, Kim HA. Essentials of Nutrtion. Kyomunsa; 2000 

  34. Kim KN, Son MH, Kim MS. Consumption of dietary fats and anti-oxidant vitamins among college student in Cheongju city. J Hum Ecol 2005; 9(1): 205-218 

  35. Han DN, Cho JS, Hong EJ, Shin ES, Park HS. A survey on the amount and sources of cholesterol intake in the comprehensive health chekup attendees. J Korean Acad Med 1995; 16(9): 630-635 

  36. Choi YS, Kwak IS, Lee KA, Lee SY. Annual Changes in Cholesterol Intake and Serum Cholesterol Level of Korean from 1962 to 1995 Y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2): 484-491 

  37. Kim EY, Kim YN. A study on revision direction of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ion. Korean J Nutr 1994; 27(2): 192-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