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안전성과 식사섭취의 관련성;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년)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2, 2008년, pp.174 - 183  

심지선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팀) ,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팀) ,  남정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3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의 과반수에서 식품확보가 불안정하였으며, 식품안정성은 식사섭취와 관련이 있어 식품확보가 불안정한 군에서 영양소 섭취량이 낮고 섭취 식품의 다양성이 적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품안정성과 식사섭취의 관련성에 대한 거의 초기 연구로 식품확보에 대한 안정성의 문제 크기를 파악하고 식품확보 여부에 따른 식사섭취의 양적${\cdot}$질적 측면을 다루었다. 이와 함께 식생활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식품안정성과 건강 및 질병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에는 저소득층의 안정적인 식품확보를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중인 정책의 효과 평가와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food insecurity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 dietary intake, this relationship has not been research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od security was measured by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품안정성과 식사 섭취의 관련성에 대한 거의 초기 연구로 식품확보에 대한 안정성의 문제 크기를 파악하고 식품확보 여부에 따른 식사 섭취의 양적 . 질적 측면을 다루었다.
  • 반면, 칼슘과 칼륨은 식품확보가 불안정한 군에서 섭취량이 보다 낮았으나 식품안정성과 무관하게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을 크게 밑돌았다. 연구에서는 소아와 청소년, 성인 및 노인 등 우리 국민 각각의 연령충에서 식품안정성과 식사섭취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대상자의 연령은 1~9세, 10~19세, 20~64세, 65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때 20~64세 성인의 연령군은 연령의 분포가 다른 군에 비해 넓지만 이를 세분해도 식품안정성과 식사섭취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은 유사하였기에 이를 하나로 묶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4%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 번} 있다⑻ 그러나 국내 식품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 수급 가정에서의 식품공급안정성과 아동의 영양 상태를 다룬 연구询가 유일하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2005년부터 우리나라의 Health People 2010 관련 지표 생산을 위해 식품안정성조사 부문에 대한 문항을 추가하였다 紬 본 연구에서는 제3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 국민의 식품안정성의 분포를 확인하고 식품안정성과 식사섭취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이미숙. 한국 성인의 건강불평등: 사회계층과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05; 39(6): 183-209 

  2. Cockerham WC. Medical sociology.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ce Hall 

  3. Ross CE, Bird CE. Sex stratification and health lifestyle: Consequences for men's and women's perceived health. J Health & Social Behavior 1994; 36: 161-178 

  4. Whitaker RC, Phillips SM, Orzol SM. Food insecurity and the risk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mothers and behavior problems in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Pediatr 2006; 118(3): e859-e868 

  5. Alaimo K. Olson CM, Frongillo EA. Family food insufficiency, but not low family inco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ysthmia and suicide symptoms in adolescents. J Nutr 2002; 132: 719-725 

  6. Vozoris NT, Tarasuk VS.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J Nutr 2003; 133: 120-126 

  7. Campbell CC. Food insecurity: a nutritional outcome or a predictor variable? J Nutr 1991; 121: 408-415 

  8. Wilde PE, Peterman JN. Individual weight change is associated with household food security status. J Nutr 2006; 136: 1395-1400 

  9. Townsend MS, Peerson J, Love B, Achterberg C, Murphy SP. Food insecu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overweight in women. J Nutr 2001; 131: 1738-1745 

  10. Dinour LM, Bergen D, YEH MC. The food insecurity-obesity paradox: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role food stamps may play. J Am Diet Assoc 2007; 107: 1952-1961 

  11. Casey PH, Szeto KL, Robbins JM, Stuff JE, Connell C, Gossett JM, Simpson PM. Chil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ousehold food security. Arch Pediatr Adolesc Med 2005; 159: 51-56 

  12. Sidel VW. Annotation: The public health impact of hunger. Am J Public Health 1997; 87(12): 1921-1922 

  13. Anderson SA, ed. Core indicatore of nutritional state for difficultto- sample populations. J Nutr 1990; 120: 1559-1600 

  14. Guthrie JF, Nord M. Federal activities to monitor food security. J Am Diet Assoc 2002; 102(7): 904-906 

  15. Carlson SJ, Andrews MS, Bickel GW. Measuring food insecurity and hunger in the United States: Development of a national benchmark measure and prevalence estimates. J Nutr 1999; 129: 510S-516S 

  16. Nord M, Kabbani N, Tiehen L, Andrews M, Bickel G, Carlson S.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2000 Food and Rural Economic Division, Economic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ssistance and Nutrition Research Report no. 21; 2002 

  1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y People 2010. 2nd ed.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november; 2000 

  18. http://www.kosis.kr/search/totalSearch2.jsp 출처: 국가통계포털>국내통계 위치:보건.사회.복지>사회>사회통계조사>복지>2007 

  19. Oh SY, Kim MY, Hong MJ, Chung HR. Food security and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of the households supported b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Korean J Nutr 2002; 35(6): 650-657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Nutrition survey, Seoul; 2006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p.338-339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Guideline of using rawdata, Seoul; 2006 

  23. Kant AK. Indexes of overall diet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 785-791 

  24. Wehler CA, Scott RI, Anderson JJ, Summer L, Parker L. Community Childhood Hunger Identification Project: A Survey of Childhood Hunger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Food Research and Action Center; 1995 

  25. Frongillo EA Jr. Validation of measures of food insecurity and hunger. J Nutr 1999; 129: 506S-509S 

  26. Radimer KL, Olson CM, Campbell.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ssess hunger. J Nutr 1990; 120: 1544-1548 

  27. Alaimo K, Briefel RR, Frongillo EA, Olson CM. Food insufficiency exist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m J Public Health 1998; 88: 419-426 

  28. Tarasuk VS, Beaton GH. Women's dietary intakes in the context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J Nutr 1999; 129: 672-679 

  29. Rose D, Oliveira V. Nutrient intakes of individuals from foodinsufficient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1997; 87: 1956-1961 

  30. Radimer KL, Olson CM, Greene JC, Campbell CC, Habicht JP. Understanding hunger and developing indicators to assess it in women and children. J Nutr Educ 1992; 24(S): 36S-44S 

  31. Perez-Escamilla R, Segall-Correa AM, Kurdian Maranha L, Sampaio Md Mde F, Mann-Leon L, Panigassi G. An adapted version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Insecurity module is a valid tool for assessing household food insecurity in Campinas, Brazil. J Nutr 2004; 134: 1923-1928 

  32. Kaiser LL, Melgar-Quinonez HR, Lamp CL, Johns MC, Sutherlin JM, Harwood JO. Food security and nutritional outcomes of preschool- age Mexican-American children. J Am Diet Assoc 2002; 102: 924-929 

  33. Rose D. Economic determinants and dietary consequences of food in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J Nutr 1999; 129: 517S-520S 

  34. Rose D, Oliveira V. Validation of a self-reported measure of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with nutrient intake data. Technical Bulletin 1863. Economic Research Service,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1997 

  35. Alaimo K, Olson CM, Frongillo EA Jr. Importance if cognitive testing for survey items: an example from food security questionnaires. J Nutr Educ 1999; 31: 269-275 

  36. Kleinman RE, Murphy JM, Wieneke KM, Desmind MS, Schiff A, Gapinski JA. Use of a single-question screening tool to detect hunger infamilies attending a neighborhood health center. Ambul Pediatr 2007; 7(4): 278-284 

  37. Sempos CT, Johnson NE, Smith EL, Gilligan C. Effects of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reprated dietary records. Am J Epidemiol 1985; 121: 120-130 

  38. Subar AF, Kipnis V, Troiano RP, Midthune D, Schoeller DA, Bingham S, Sharbaugh CO, Trabulsi J, Runswick S, Ballard-Barbash R, Sunshine J, Schatzkin A. Using intake biomarkers to evaluate the extent of dietary misreporting in a large sample of adults: the OPEN study. Am J Epidemiol 2003; 158(1): 1-13 

  39. Mackerras D, Rutishauser I. 24-hour national dietary survey data: how do we interpret them most effectively? Public Health Nutr 2005; 8(6): 657-6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