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성정(性情) 상성상자(相成相資)에 대한 고찰(考察)
The Interconversion of The Nature and The Emotion in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2 no.2, 2009년, pp.315 - 325  

조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김수중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days of early Confucianism, the nature(性) and the emotion(情) have been the methodological tool to explain the original nature of the human being, by dividing the human mind into the nature and the emo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conversion(相成相資) theory of the nature and the emo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東醫壽世保元』「四端論」에서 언급되고 있는 性情의 相成相資 이론에 대한 연구로 哀怒之氣가 서로 相成하고 喜樂之氣가 서로 相資하여 太陽人의 哀性이 怒情으로, 少陽人의 怒性이 哀情으로, 太陰人의 喜性이 樂情으로, 少陰人의 樂性이 喜情으로 전화되는 기전과 性이 情으로 변하게 되는 여건에 대해 『東醫壽世保元』은 물론 『四象醫學草本卷』과 『格致藁』의 원문을 근거로 고찰하여 보았다.

가설 설정

  • 이때의 怒情은 交遇에서 勇統하고자 發用된 促急한 怒情이 아니고 太陽之耳로 天時를 받아들일 때 형성되는 哀性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해서 발생한 怒情이기 때문에 黨與에서 怒情이 暴發하여 肝을 傷하는 것과 같이 激한 양상[忿怒激外]으로 표출되는, 병리적이고 자연스럽지 못한 怒情인 것이다.33) 만약 太陽人이 정상적으로 밝은 好善之心으로 哀性을 발휘한다면 哀怒의 性情이 相成하여 병을 일으키는 데까지 이르는 경우가 없을 것이다. 한편 好善之心을 바탕으로 天機를 察한다고 하더라도 실생활에서 天機와 人事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혼잡한 외부세계를 耳目鼻口로 받아들일 때 取捨選擇을 하는 惡惡의 기능도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性情은 어떤 방법적 요소로 사용되어 왔는가? 性情이란 초기 儒學에서부터 인간의 마음을 ‘性’과 ‘情’으로 구분하여 인간의 本性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적 요소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宋代 性理學에서 ‘性’을 天理로, ‘情’을 마음이 사물에 응하여 나타나는 感情으로 양분하여 그 차별성을 강조한 이후, 朝鮮의 性理學者에 의해 ‘性’을 仁義禮智라는 四端으로, ‘情’을 喜怒哀懼愛惡欲이라는 七情으로 구별하여 人性論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哀怒相成, 喜樂相資. 哀性極則, 怒情動. 怒性極則, 哀情動. 樂性極則, 喜情動. 喜性極則, 樂情動.” 는 무엇을 설명하는가? ”20)이라 하여, ‘哀氣에 의해 怒氣가 이루어지고 怒氣에 의해 哀氣가 이루어지며, 喜氣가 樂氣를 돕고 樂氣가 喜氣를 돕는다. 上升하는 기운은 上升하는 기운끼리, 下降하는 기운은 下降하는 기운끼리 서로 成하고 資하기 때문에 先天的으로 哀性이 遠散[極]하면 마땅히 怒情 또한 크게 발휘될 것[動]이며, 怒性이 宏抱[極]하면 마땅히 哀情 또한 크게 발휘될 것[動]이고, 樂性이 深確[極]하면 마땅히 喜情 또한 크게 발휘될 것[動]이며, 喜性이 廣張[極]하면 樂情 또한 크게 발휘될 것[動]이다.’라고 하였다. 즉, 上升하는 哀怒의 기운은 서로 만들어 주고, 下降하는 喜樂의 기운은 서로 돕는다고 설명하였다.
‘理先氣後’의 主理的 경향은 어떤 폐단을 낳게 되었는가? 그러나 조선 말기에 들어와서 지나치게 朱子學을 숭상하여 朱子學 이외의 학문을 異端邪說로 간주하는 등의 배타적 경향이 짙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理先氣後’의 主理的 경향은 ‘理尊氣卑’라는 形而上學的 사고로 발전하여 理와 氣, 天理와 人慾 등을 엄격하게 구분하게 되었고 사회적으로 禮飾과 名分만을 앞세우고 實利와 現實을 무시하는 폐단을 낳게 되었다. 이러한 풍조 속에서 경직되고 폐쇄된 性理學을 비판하면서 經世致用 利用厚生의 實學的인 유학이 개화파학자에 의해 다시 고조되고 知行一致와 實心 實用을 추구하는 陽明學이 새로운 가치관으로 도입되기도 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金貞香. 李濟馬의 性情論에 關한 考察. 慶熙大學校大學院. 1990. pp.1-2. 

  2. 白裕相. 四象醫學이 가진 韓國 韓醫學的 特性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9. 22(1). p.139. 

  3. 金滿山. 周易의 관점에서 본 四象醫學原理(1) - 性命論에 관하여. 한국동서철학회. 1999. 18(1). p.9. 

  4. 白裕相. 天人性命에 따른 四象體質間 비교 연구.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4. 17(1). p.42. 

  5. 白裕相, 張祐彰. 少陰人과 仁性의 관계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8. 21(3). p.98. 

  6. 成校珍. 東洋哲學槪論. 서울. 以文出版社. 1989. p.173-181. 

  7. 李乙浩, 茶山學의 理解. 서울. 玄岩社. 1973. p.311-337. 

  8. 李乙浩, 洪淳用. 四象醫學原論. 서울. 행림출판. 1985. p.27. 

  9.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四象醫學. 서울. 集文堂. 1997. p.40. 

  10. 朴性植.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서울. 集文堂. 2003. p.67, 77. pp.24-29, 63-65. 

  11. 金赫濟 校閱. 原本備旨大學中庸. 서울. 明文堂. 1995. pp.9-10. 

  12. 李濟馬 原著. 朴大植 譯註. 格致藁. 경기도. 청계출판사. 2002. pp.204-206. 

  13. 李濟馬 原著. 權健赫 編著. 李濟馬全書. 서울. 도서출판 반룡. 2002. p.142, 277. pp.16-18. 

  14. 成百曉. 懸吐完譯周易傳義(下). 서울. 傳統文化연구회. 1998. p.6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