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방의 뿌리혹병 감염 포도나무 뿌리에서 분리한 Agrobacterium속 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um spp. Isolated from Roots of the Crown Gall-infected Grapevine in Chungbuk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5 no.2, 2009년, pp.77 - 82  

양승업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박세정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영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과) ,  차재순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혹병이 심하게 발생한 충북지방의 포도나무의 뿌리로부터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속 세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의 지방산 분석을 통한 MIDI에 의한 동정, 16S rDNA 염기서열, 생화학적 특성, 종 특이적 primer을 이용한 PCR 결과로 13개 분리균은 모두 A. tumefaciens로 동정 되었으며, 포도나무 혹병균인 A. vitis는 분리되지 않았다. 모든 분리균은 토마토와 포도나무의 줄기와 뿌리에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ep-PCR 결과 분리균은 A. tumefaciens와 일부 유사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병원균인 A. tumefaciens와 A. vitis와는 유사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충북 일부 지방의 MBA와 거봉에서 발생한 혹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토양이나 뿌리로부터 전반되지 않고 묘목을 통해서 전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ots of grapevine in the field in which the crown gall was occurred severely in Chungbuk province were collected and Agrobacter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using the selective media. The selected 13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 tumefaciens with fatty acid analysis using MIDI syst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혹병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였다. 연구에서는 혹 병균이 발생한 포도나무의 뿌리에서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속 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여 포도나무 뿌리의 균 특성과 병 발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uzar, H. and Jones, J. B. 1992. Distinction ofbiovar 2 strains of Agrobacterium from other chromosomal groups by differential acid production. Lett. Appl. Microbiol. 15: 83-85 

  2. Burr, T. J. and Katz, B. H. 1983. Isola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biovar 3 from grapevine gall and sap, and from vienyard siol. Phytopatholgy 73: 163-165 

  3. Burr, T. J. and Katz, B. H. 1984. Grapevine cuttings as potential sites of survival and means of dissemina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Plant Dis. 68: 976-978 

  4. Burr, T. J. and Otten, L. 1999. Crown gall of grape: Biology and disease management. Annu. Rev. Phytopathol, 37: 53-80 

  5. Burr, T. J., Bazzi, C., Sule, S. and Otten, L. 1998. Crown gall of grape biology of Agrobacterium vitis and the development of disease control strategies. Plant Dis. 82: 1288-1297 

  6. Burr. T. J., Reid, C. L., Yoshimura, M., Momol, E. A. and Bazzi, C. 1995. Survival and tumorigenicity of Agrobacterium vitis in living and decaying grape roots and canes in soil. Plant Dis. 79: 677-682 

  7. Cooksey, D. A. and Moore, L. W 1980. Biological control of crown gall with fungal and bacterial antagonists. Phytopathology 70: 506-509 

  8. 정광진, 심재섭. 1996. 우리나라 포도나무 줄기혹병 병원세균의 분리 및 동정. 식물병리학회지 12:197-201 

  9. Kawaguchi, A., Inoue, K. and Ichinose, Y. 2008. Biological control of crown gall of grapevine, rose, and tomato by nonpathogenic Agrobacterium vilis strain VAR03-1. Phytopathology. 98: 1218-1225 

  10. Kawaguchi, A., Inoue, K. and Nasu, H. 2005. Inhibition of crown gall formation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biovar3 strains isolated from grapevine. J Gen. Plant. Pathol. 71: 422-430 

  11. Kawaguchi, A., Sawada, H., Inoue, K. and Nasu, H. 2005. Multiplex PCR for the identification of Agrobacterium biovar 3 strains. J Gen. Plant. Pathol. 71: 54-59 

  12. Kawaguchi, A., Inoue, K. and Nasu, H. 2007.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by nonpathogenic Agrobacterium vilis strain VAR03-1. J Gen. Plant. Pathol. 73: 133-138 

  13. 김종군, 임선화, 이대성, 최재을,윤해근, 박상헌, 강성수, 강희완. 2006. PCR 특이검출에 의한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신속 분리 및 병원학적, 생화학적 특성 비교. 식물병연구 12:205-212 

  14. 김종군, 최재을, 김희완. 2007.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식물병연구 13:137-144 

  15. 이영희. 1996. 우리나라의 외래 식물병 현황과 대책. 87-99. '96 국제 심포지엄 농산물 수출입과 식물검역. 서울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부속 농업개발연구소 

  16. Lehoczky, J. 1968. Spread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in the vessel of grapevine after natural infection. Phytopathol. Z. 63: 239-246 

  17. Ophel, K. and Kerr, A. 1990. Agrobacterium vitis sp. nov. for strains of Agrobacterium biovar 3 from grapevines. Int. J Syst. Bacteriol. 40: 236-241 

  18. Park, K. H., Jeong, K. S. and Cha, J. S. 2000. Incidence of severe crown gall disease on tetraploid cultivars of grape in Korea. Plant Pathol. J 16: 290-293 

  19. Pulawska, J., Willems, A. and Sobiczewski, P. 2006. Rapid and specific identification of four Agrobacterium species and biovars using multiplex PCR. Systematic and Applied Microbiology. 29: 470-479 

  20. Rademaker, J. L. W, Louws, F. J. and de Bruijn, F. J. 1998. Characterization of the diversity of ecologically important microbes by rep-PCR genomic fingerprinting, p. 1-26. Molecular Microbial Ecology Manual.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21. Schaad, N. W, Jones, J. B. and Chun, W 2001. Agrobacterium. 17-35. In Laboratory guide for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3rd ed.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esota 

  22. Suzuki, A., Togawa, M., Ohta, K. and Takikawa, Y. 2003. Occurrence of white top of pea caused by a new strain of Pseudomonas syringae pv. pisi. Plant Dis. 87: 1404-1410 

  23. Thies, K. L., Griffin, D. E., Graves, C. H., Jr. and Hegwood, C. P., Jr. 1991.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um isolates from muscadine grape. Plant Dis. 75: 634-6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