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 연안의 잠재독성 Pseudo-nitzschia 출현종
Potentially toxic Pseudo-nitzschia species in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3, 2009년, pp.163 - 170  

박종규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김응권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임월애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연구소 양식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nitzschia 속의 일부 종은 신경독 domoic acid(DA)를 생산하여 기억상실성 패독을 일으킨다. 이들의 잠재적인 독성 피해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출현종의 조성과 그 출현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Pseudo-nitzschia 속의 종조성과 출현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11월까지 격주 간격으로 시료를 채집하여 광학현미경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은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icropor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seudodelicatissima, P. pungens, P. subfraudulenta, P. subpacifica로 모두 13종이었다. 월별 출현종은 5월에 4종으로 가장 적었고, 그 이후 조금씩 증가하여 9월에 12종으로 최고에 이르렀으며, 9월 이후로 다시 감소하여 11월에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국내 연안에서 처음 보고하는 종이며,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ungens 6종은 문헌상 DA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잠재 독성종이다. 통영 연안에서 이들의 독성 여부는 확인 하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produce the neurotoxin domoic acid (DA) known to be responsible for amnesic shellfish poisoning. In spite of the potentially toxic effects on marine ecosystem, even the representative Pseudo-nitzschia species occurring in Korean coastal waters have not b...

주제어

참고문헌 (45)

  1. 강연식, 최중기, 2001. 고리, 월성, 울진 빛 영광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1. 종조성 및 분포(1992-1996년). AIgae, 16(1): 85-111 

  2. 강정훈, 김웅서, 2006. 인위적인 동물플랑크톤 첨가에 따른 중형 폐쇄생태계 내 플랑크톤 변동.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2): 109-119 

  3. 박종규, 조은섭, 허현정, 손재경, 이동섭, 1999 진해만의 잠재 독성규조 Pseudo-nitzschia 속의 출현양상과 신속한 동정. 인제대학교 개교20주년 기념 적조연구단 특별 심포지움 발표논문집-국내 적조연구의 최근 동향과 제어기법. pp. 70-84 

  4. 박주석, 1979. 마산만 환경오염 평가를 위한 야외 생물 오염 시험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4(1): 15-25 

  5. 심재형, 배세진, 1985. 영일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0(2): 49-60 

  6.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 만경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1.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2): 155-168 

  7. 심재형, 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석에 관한연구. 한국해양학회지, 9(2): 172-186 

  8. 심재형, 여환구, 1988. 천수만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 23(3): 130-145 

  9. 심재형, 여환구, 박종규, 1995.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한국해양학회지, 30(3): 163-169 

  10.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I.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3): 129-139 

  11. 윤양호, 1998.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6(4): 403-409 

  12.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I.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1): 43-50 

  13. 이진환, 백정현, 1995. 남해안에서 독성을 생성하는 돌말류 Pseudo-nitzschia multiseries (Halse) Ha1se II. Domoic Acid의 생성. Algae, 12(1): 31-38 

  14. 최 상, 1966.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 1965년 하계의 한국해협 표층수의 식물 플랑크톤의 양 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1: 14-21 

  15. 최 상, 1967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 수역의 식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 1-12 

  16. 최 상, 1969.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V. 동해, 남해 및 서해해역의 식물플랭크톤. 한국해양학회지, 4(2): 49-67 

  17. 최중기, 심재형, 1986. 서해 경기만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III. 식물 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일시부유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1(3): 156-170 

  18. Amato, A. and M. Montresor, 2008. Morphology, phylogeny, and sexual cycle of Pseudo-nitzschia mannii sp. nov. (Bacillariophyceae):a pseudo-cryptic species within the P pseudodelicatissima complex. Phycologia, 47(5): 487-497 

  19. Bates, S.S., C.J. Bird, A.S.w. de Freitas, R. Foxall, M. Gilgan, L.A. Hanic, G.R. Johnson, A.W. McCulloch, P. Odense, R. Pocklington, M.A. Quilliam, P.G. Sim, J.C. Smith, D.V. Subba Rao, E.C.D. Todd, J.A. Waltεr and J.L.. Wright, 1989. Pennate diatom Nitzschia pungens as the primary source of domoic acid, a toxin in shellfish from Eastem Prince Edward Island. Canada Can. J. Fish. Aquat. Sci., 46: 203-1215 

  20. Bill, B.D., N. Lundholm, L. Connell, K.A. Baugh and Y. Trainor, 2005. Domoid acid in Pseudo-nitzschia cuspidata from Washington State coastal waters. 3rd Symposiun on Harmful Algae in the US, Monterey, CA. Oct. 2-7, 2005, p. 77 

  21. Cerino, F., L. Orsini, D. Samo, C. dell’Aversano, L. Tartaglione and A. Zingone, 2005. The a1temation of different morphotypes in the seasonal cycle of the toxic diatom Pseudo-nitzschia galaxiae. Harmful AIgae, 4: 33-48 

  22. Cho, E.S., J.-o. Park, H.o. Kim, C.H. Kim, L.L. Rhodes and C.S. Chung, 1999. The Rapid Differentiation of Toxic Alexandrium and Pseudo-nitzschia Species Using Fluorescent Lectin Probes. J of Kor. Soc. of Oceanogr., 34(3): 167-171 

  23. Fryxell, G.A. and G.A. Hasle, 2003. Taxonomy of harmful diatoms. In: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edited by Hallegraeff, D.M., D.M. Anderson and A.D. Cembella, UNESCO, Paris, pp.465-509 

  24. Hasle, G.R., 1972. The distribution of Nitzschia seriata Cleve and allied species. Beih. Nova Hedwigia, 39: 171-190 

  25. Hasle, G.R., 2002. Are most of the domoic acid-producing species of the diatom genus Pseudo-nitzschia cosmopolite? Harmful Algae, 1: 137-146 

  26. Lundholm, N., G.R. Hasle, G.A. Fryxell and P. E. Hargraves, 2002. Morphology and taxonomy of species within the Pseudo-nitzschia americana complex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PseuIdo-nitzschia brasiliana and Pseudo-nitzschia linea. Phycologia, 41(5): 480-497 

  27. Lundholm, N. and $\phi$ .Moestrup, 2002 The marine diatom Pseudonitzschia galaxiae sp. nov (Bacillariophyceae): morph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Phycologia, 41(6): 594-605 

  28. Lundholm, N. $\phi$ . Moestup, G.R. Hasle and K. Hoef-Edmen, 2003. A study of the P. pseudodelicatissima/cIspidata complex (Bacillariophyceae): what is Pseudo-nitzschia pseudodelicatissima? J. Phycol., 39: 797-813 

  29. Lundholm, N., $\phi$ . Moestrup, Y. Kotaki, K. Hoef-Emden, C. Scholin and P. Miller, 2006. Inter- and intraspecific variation of the Pseudo nitzschia delicatissima complex (Bacillariophyceae) illustrated by rRNA probes, morphological data and phylogenetic analyses. J. Phycol., 42: 464-481. 

  30. Lundholm, N., J. Skov, R.G Pocklington and $\phi$ . Moestrup, 1994. Domoic acid, the amino acid responsible for amnesic shelIfish poisoning, now in Pseudo-nitzschia seriata (Bacillariophyceae) in Europe. Phycologia, 33: 475-478 

  31. Lundholm, N., J. Skov, R.G Pocklington and $\phi$ . Moestrup, 1997. Studies on the marine planktonic diatom Pseudo-nitzschia ll. Autecology of P. pseUdodelicatissima (Hasle) Hasle, based on isolates from Danish coastal waters. Phycologia, 36: 381-388 

  32. Marchetti, A., N. Lundholm, Y. Kotaki, K. Hubbard, P.J. Harrison and E. V. Armbrust, 2008.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domoic acid production in oceanic Pseudo-nitzschia (Bacillariophyceae) from iron-limited waters in the northeast subarctic Pacific. J. Phycol., 44: 650-661 

  33. Martin J.L., K. Haya, L.E. Burridge and D.J. Wildish, 1990. Nitzschia pseudodelicatissima - a source of domoic acid in the Bay of Fundy, eastem Canada .. Mar. Ecol. Prog. Ser., 67: 177-182 

  34. Moestrup, $\phi$ . and Lundholm, N. 2007. IOC Taxonomic Reference List of Toxic Plankton Algae Diatoms. http:// www.bi.ku.dk/ioc/ 

  35. Orsini L., D. Samo, G Procaccini, R. Poletti, J. Dahlmann and M. 

  36. Rhodes L., C. Scholin, I. Garthwaite, A. Haywood and A. Thomas, 1998. Domoic acid producing Pseudo-nitzschia species educed by whole cell DNA probe-based and irnmunochemical assays. In:Harmful Algae, edited by Reguera, B., J. Blanco, M.L. Fenadez and T. Wyatt, Xunta Galicia and IOC of UNESCO, Santiago de Compostela, Spain, pp. 274-277 

  37. Rhodes L.L., D. White, M. Syhre and M. Atkinson, 1996. Pseudonitzschia species isolated from New Zealand coastal waters: domoic acid production in vitro and links with shelIfish toxicity. In: Harmful and Toxic AIgal Blooms, edited by Yasumoto, T., Y. Oshirna and Y. Fukuyo, IOC of UNESCO, Paris, pp. 155-158 

  38. Scholin, C.A. and D.M. Anderson. 1994. Identification of group- and strain gεnetic markers for globally distributed Alexaηdrium (Dinophyceae). I. RFLP analysis of SSU rRNA genes. J. Phycol., 30: 744-754 

  39. Simonsen, R 1974. The diatom plankton of Indian Ocean Expedition of RIV "Meteor" 1964-65. "Meteor" Forsch. -Ergebnisse Reihe D., 19: 1-107 

  40. Skov, J., N. Lundholm, $\phi$ . Moestrup and J. Larsen, 1999. PotentialIy toxic phytoplankton. 4. The diatom genus Pseudo-nitzschia (Diatc mophyceae/Bacillariophyceae). In: ICES lndentification Leafets for Plankton. No. 185, edited by Lindley J.A.,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pp. 1-23 

  41. Smith J.C., J.L. McLachlan, P.G. Cormier, K.E. Pauley and N. Bouchard, 1991. Growth and domoic acid production and rete:ntion by Nitzschia pungens forma multiseries at low temperatures. In: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edited by Smayda, T.J. and Y. Shimizu.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Amsterdam, pp. 631-636 

  42. Subba Rao, D.V., M.A. Quilam and R. Pock1ington, 1988. Domic acid - a neurotoxic amono acid produced by marine diatom Nitzschiapungens in culture. Can. J. Fish. Aquat. Sci., 45: 2076-2079 

  43. Todd, E.C.D., 1993. Domoic acid and amnesic shellfish poisoninga review. J. Food Protect., 56: 69-83 

  44. Wright, J.L., R.K. Boyd, A.S.W. de Freitas, M. Falk, R.A. Foxall, W.D. Hamieson, M.V. Laycock, A.w. McCulloch, A.G. McIffiles, P. Odense, V.‘P. Pathak, M.A. Quilliam, M.A. Ragan, P.G Sirn, P. Thibault, J.A. Walter, M. Gilgan, D.J.A. Richard and D. Dewar, 1989. Identification of domic acid, a neuroexcitatory amino acid, in toxic musseIs from eastem Prince Edward Island. Can. J. Chem., 67: 481-490 

  45. Yoo, K.I. and J.W. Lee, 1980. Enviromn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3. Ecologic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s, 1974-1980. J. Kor. Soc. Oceanogr., 15(2): 100-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