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Study of a Policy Plan for Vitalizing a family Leisur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4 = no.100, 2009년, pp.189 - 201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olve following problems by a family leisure as the problem of a single person in seclusion type, teenager-children being addicted to game, the disconnection of culture inheritance among inter-generation, the elder being isolated from leisure, the increase of the children using a ke...

주제어

참고문헌 (45)

  1. 김외숙 이기춘(1992). 도시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유형.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0, 61-74 

  2. 김정운(2003). 휴테크 성공학. 명진출판사 

  3. 김혜영(2004). 가족여가와 젠더. 가족과 문화, 16(2), 127-166 

  4.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2005). 여가문화와 가족. 신정 

  5.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2007 여가백서 

  6.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6). 2006 여가백서 

  7. 문화체육관광부(2008). 국민여가진흥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보고서 

  8. 송혜림(2008). 통합적 가정정책: 선언과 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43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8 

  9. 양영아(1996). 중산층의 가족여가활동 실태와 요구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여성가족부(2006), 가족실태조사 보고서 

  11. 여성부(2002), 건전가족문화 정립을 위한 여가활용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보고서 

  12. 윤소영 김현(2008). 직장영역의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성과, 그리고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41-152 

  13. 윤소영 윤지영(2003). 가족여가의 활동유형 및 본질에 대한연구. 여가학연구, 1(2), 11-30 

  14. 윤소영 차경욱(2004). 여가인식, 활동유형 및 여가제약의 세 대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97-107 

  15. 이기영 김외숙 구혜령(1995). 부부의 공유여가시간과 결 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3(3), 113-126 

  16. 정국현(2006). 가족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세대간 커뮤니 케이션 촉진 및 세대차이, 세대갈등 그리고 갈등대처행 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9(3), 373-392 

  17. 정민영(2001). 중년남녀의 여가활동 유형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21, 227-240 

  18. 조희금 송혜림 공인숙 이승미 이완정(2008). 가정생활복지론. 신정출판사 

  19.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건강가정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 방향 연구.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보고서 

  20. 지영숙(1999). 가족여가의 생활적 의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 영학회지, 3(1), 83-94 

  21. 지영숙 이태진(2001). 도시가정의 가족여가 유형-자녀교육 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22. 최석호(2004). 가족과 여가. 여가학연구, 1(3), 45-56 

  23.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정책대상으로서의 여가의 영역 및 추진체계 

  24.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8). 여가 그리고 정책. 대왕사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6, 2007, 2008). 국민여가활동조사 원자료 

  26. 한국문화정책연구원(2004). 여가시설 최소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27. 홍성화(2003). 가족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주5일 근무제 실시집단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 57-71 

  28. 홍성희(1996). 주부의 가족여가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71-84 

  29. Aron, A. & Aron, E. N.(1986). Love and the Expansion of Self: Understanding Attraction and Satisfaction. Hemisphere 

  30. Bittman, M. & Wajcman, J.(1999). The rush hour the quality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PRC Discussion Paper, .97, 1-39 

  31. Freysinger, V. J.(1994). Leisure with children and parental satisfaction: Further evidence of sex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adult roles and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3), 212-226 

  32. Hochschild, A. R.(1997). The Time Bind :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NY: Metropolitan Books 

  33. Holman, T. B., & Jacquart. M.(1988). Leisure-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a further tes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1), 69-77 

  34. Horna, J. L.(1989). The leisure component of the parent rol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1(3), 228-241 

  35. Kelly(1983). Leisure Identiry and Interation. George Allen & Unwin 

  36. Mattingly, M. J. & Bianchi, S. M.(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ree time: the US experience. Social Force, 81(3), 1001-1030 

  37. Orthner, D. K.(1975).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marital care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1), 91-102 

  38. Orthner, D. K. & Mancini, J. A.(1990). Leisure impacts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s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25-137 

  39. Parnicka, U.(1995). Leisure time and active recreation in families with pre-school age children in Biala Podlaska. World Leisure and Recreation Journal, 37(3), 42-54 

  40. Rapoport, Rhona & Rapoport, Robert N.(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beyond palpable mass demand . Routledge & Kegan Paul 

  41. Shaw, S. M.(1985). Gender and Leisure: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leisure tim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7(4), 266-282 

  42. Shaw, S. M.(1994). Gender, leisure, and constraint: towards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women'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1), 1-8 

  43. Shaw, S. M.(1997). Controversies and contradictions in family leisure: an analysis of conflicting paradigm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98-112 

  44. Shaw, S. M., & Dawson, D.(2001). Purposive leisure: examing parental discourses on family activities. Leisure Sciences, 23, 217-231 

  45. Zabriskie, R. B., & McCormick, B, P.(2001).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 patterns o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Relations, 50(3), 281-289. http://www.culture.gov.uk/breakou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