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구강내 증상과 치료 전략
ORAL MENIFESTA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IN CLEIDOCRANIAL DYSPLASI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6 no.3, 2009년, pp.456 - 463  

박희숙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쇄골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안면, 두개골, 쇄골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거나 유전적 요인 없이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의 일반적 소견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편측이나 양측성으로 쇄골의 형성 장애, 상대적으로 커진 이마에 의해 상악골이 함몰된 것처럼 보이는 안면 형태가 특징적이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유치의 만기 잔존, 그로 인한 영구치의 맹출 지연을 보이며 방사선 사진 상에서 매복된 다수의 과잉치가 존재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정신적 및 신체적으로 특별한 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영구치의 미맹출로 인하여 저작 및 심리적인 문제가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유치 발치 및 과잉치 제거 후 교정적 처치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여 저작 기능의 회복뿐 아니라 환자의 안모도 개선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영구치 맹출 장애와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구강내 증상과 치아 맹출 유도법을 통하여 치아를 맹출시킬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eidocranial dysplasia(CCD) is a congenital disorder of skeletal and dental abnormality, which is a mesodermal dysfunction influencing many tisssues and organs. Skeletal abnormalities in CCD are delayed closure of cranial suture and fontanelle, presence of wormian bone and clavicle aplasia. CCD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증례 2에서는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받았다. 본 증례에서는 과잉치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과 매복 영구치에서 함치성 낭종이 관찰된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치료 계획은 함치성 낭종의 치료 및 환아가 성장발육 단계임을 고려하여 외과적 노출을 통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하기로 하였다.
  • 이에 저자는 경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쇄골 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환아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환아가 아직 치아 맹출 유도가 가능한 청소년임을 고려하여 다양한 치아 맹출 유도법을 사용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쇄골두개 이형성증의 일반적 소견은 무엇인가? 쇄골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안면, 두개골, 쇄골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거나 유전적 요인 없이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의 일반적 소견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편측이나 양측성으로 쇄골의 형성 장애, 상대적으로 커진 이마에 의해 상악골이 함몰된 것처럼 보이는 안면 형태가 특징적이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유치의 만기 잔존, 그로 인한 영구치의 맹출 지연을 보이며 방사선 사진 상에서 매복된 다수의 과잉치가 존재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무엇인가? 쇄골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안면, 두개골, 쇄골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거나 유전적 요인 없이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의 일반적 소견은 두개 봉합과 천문의 지연 폐쇄, 편측이나 양측성으로 쇄골의 형성 장애, 상대적으로 커진 이마에 의해 상악골이 함몰된 것처럼 보이는 안면 형태가 특징적이다.
Marie와 Sainton은 쇄골두개 이형성증을 무엇이라 명명했는가?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1766년 Morand1)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1898년 Marie와 Sainton2)은 이 질환이 근막내 발생되는 두개골, 쇄골, 편평골을 이환시킨다고 생각하여 Cleidocranial dysostosis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1978년 Rimoin3)은 이 질환이 연골내 골화되는 골도 이환시키며 여러 골격계의 전반적인 이상을 나타내므로 좀 더 넓은 의미의 명칭인 Cleidocranial dysplasia라고 명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orand : Observations anatomique. Hist Acid Royal 

  2. Marie P, Sainton P : Sur la dysostose cleido-cranienne 

  3. Rimoin DS :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nsitutational 

  4. Nedgen N, Wood RS, Shapiro RD : Management of 

  5. Jensen BL, Kreiborg S : Dental treatment strategies 

  6. Golan I, Baumert U, Wagener H, et al. : Atypical 

  7. Mundlos S, Otto F, Mundlos C, et al. : Mutations 

  8. Bae SC, Yamaguchi-Iwai Y, Ogawa E, et al. : 

  9. Ogawa E, Maruyama M, Kagoshima H, et al. : 

  10. Robert EM, Diane S :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11. 이연호, 김종수, 유승훈 :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703-708, 2005. 

  12. 유종욱, 김정욱, 김종철 : Cleidocranial dysplasia를 가진 환자의 증례보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5:144-151, 1998. 

  13. Phlip EK, Wade BH, Augusta G : Cleidocranial dysplasia: 

  14. Cooper Sc, Flaitz CM, Johnston DA, et al. : A natural 

  15. Yamamoto H, Sakae T, Davies JE : Cleidocranial 

  16. Jensen BL, Kreiborg S : Craniofacial abnormalities 

  17. Neville II, Smith H : A histologic study of cementum in a case of cleidocranial dysplasia. Oral Surg Oral Pathol, 25:470-7, 1968. 

  18. Hitchin AD, Fairley JM : Dental management in 

  19. Weintraub GS, Yalisove IL : Prosthodontic therapy 

  20. Petropoulos VC, Balshi TJ, Balshi SF et al. : 

  21. Farrar EL, Van Sickels JE : Early surgical management 

  22. Davies TM, Lewis DH, Gillbe GV : The surgical and 

  23. Becker A, Shteyer A, Bimstein E, et al.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