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에 대한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Robot Pet-assisted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4, 2009년, pp.562 - 573  

송정희 (김천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ood, social behavior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robot pet-assisted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물로봇의 식사, 잠자리 등에 대해 질문하고 배고픔에 대해 염려하는 등 동물로봇을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동물로봇을 로봇이 아닌 살아있는 동물로 인지하는 대상자가 많았다. 또한 다른 대상자에게 같이 보자고 부르고 대화를 시작하였고 동물로봇을 소유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동물의 사진을 보며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중에 바다표범에 대해 설명해주자 예쁘다며 사진을 갖고 싶어 하였고 동물로봇과의 추억을 위해 자진해서 사진을 찍어달라며 포즈를 취하기도 하였다.
  • 이를 위해 동물로봇과 대상자의 소개 및 대상자 간의 토의를 통한 동물로봇의 이름 정하기, 동물로봇과 인사하고 친밀감 형성을 위한 신체적 접촉하기, 동물로봇의 반응을 익히고 이를 유도하기 위한 대화와 행동을 시도하는 등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증진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고 보고 된 회상요법을 동물로봇을 통해 예전에 길렀던 동물을 기억해내서 그 동물의 특성을 동물 로봇과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이야기해보고 동물과 관련된 추억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적용하였다. 그리고 동물로봇을 모자를 만들어 꾸며주기나 찰흙으로 동물로봇 만들기, 동물로봇의 그림 그리기 등의 손을 사용하는 활동을 통해 미세운동능력을 증가시켜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기분상태, 사회적 행동, 문제행동에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본 연구 결과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은 치매노인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제공된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기분상태, 사회적 행동,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이를 달성 하기 위해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와 같이 여타 다른 중재가 대상자에 있어 인지기능의 증진을 야기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못한 것은 치매가 가지는 만성 질병의 특성상 6주의 중재로는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어렵고,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의 증진보다는 감정변화 및 사회적 행동의 변화 등에 더 큰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노인의 자아개념과 인지기능의 증진을 돕기 위하여 동물과 관련된 회상활동을 포함하여 총 12회에 걸쳐 동물로봇의 인식, 동물로봇과의 상호작용 등을 강조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는 다른 중재 프로그램에 비해 인지기능을 증진시키기에는 다소 짧은 것으로 생각되며 프로그램의 특성상 기존의 동물 매개 치료의 효과와 유사하게 인지기능의 증진에 비해 동물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효과가 강조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동물 로봇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기분상태, 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신체적∙정서적∙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제3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대조군에 비하여 기분상태 측정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5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문제행동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4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사회적 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대조군에 비하여 기분상태 측정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4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사회적 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5가설: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문제행동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로봇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 동물로봇은 대상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오락적 기능을 주는 로봇뿐 아니라 실제 동물과 유사하여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격려와 편안감을 제공해주는 심리적 효과와 스트레스의 감소 및 뇌 기능의 활성화와 같은 신체적 효과,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해주는 등의 사회적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용 로봇(therapeutic robot)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로봇으로 된 애완동물은 살아있는 동물을 이용한 사회적 활동의 증가 및 정서적 지지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치매노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치매노인은 기억력 장애로 인해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을 잃게 되고 점차적으로 장기 기억력의 감퇴를 동반한다. 또한 치매는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언어 장애 등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를 야기하며 이외에도 우울을 비롯한 정신적 증상과 폭력, 욕설 등의 공격행위, 부적절한 문제행동들을 나타내게 된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 및 문제행동의 증가는 치매노인에게 우울, 분노와 같은 정서적 문제를 가중시키며 가족의 부양 부담감 및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치매 노인과 가족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 증상들을 향상하기 위해 음악(Yang, 2006), 미술(Dan & Lee, 2006; Kim & Doh, 2005), 활동(Kim et al.
동물로봇(robot pet)의 개발은 살아있는 동물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하게 되었는가? 특히 대상자의 외로움과 우울의 감소, 안정감, 조화감, 행복감, 스트레스의 감소, 상호작용의 증진, 사회적 지지, 사회화의 증가 등 대상자에 대한 정서적 효과와 사회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 이를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이 보건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살아있는 동물의 경우 개인의 선호도의 문제, 감염의 가능성, 알레르기 반응의 유도 가능성 및 동물에 의한 외상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어린이나 노인 등 면역력이 약한 대상자에게는 오히려 건강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하여 그 적용의 예가 제한적이며, 혼자 사는 경우 동물을 돌보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Brodie, Biley, & Shewring, 2002; Shibata, 2003).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동물로봇(robot pet)의 개발이 일본과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진행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nks, M. R., & Banks, W. A. (2002).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loneliness in an elderly popula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Gerontology, 57A, M428-M432 

  2. Brodie, S. J., & Biley, F. C. (1999). An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pet-facilitated therap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8, 329-337 

  3. Brodie, S. J., Biley, F. C., & Shewring, M. (2002). An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using pet therapy in healthcare setting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 444-456 

  4. Bruck, L. (1996). Today's ancillaries, part 2: Art, music and pet therapy. Nursing Homes, 45(7), 36-45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NY: Academic Press 

  6. Dan, J. W., & Lee, J. M. (2006). The effect of group fine ar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erceptive ability and communications of with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3, 71-102 

  7. Dastoor, D. P., Norton, S., Boillat, J., Minty, J., Parpadopoulou, F., & Muller, H. F. (1975). A psychogeriatric assessment program I. social functioning and ward behavior.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3, 465-471 

  8. Farina, A., Arenberg, D., & Guskin, S. (1957). A scale for measuring minimal soci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21, 265 

  9.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10. Kim, J. S., & Jung, J. S. (2005). The effects of a folk play program on cognition, ADL, and problematic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53-1162 

  11. Kim, K. A. (2003).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problematic behaviors for institutionalized old people with dement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P. Y. (2001). A study of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music and art therapy for dementia patient. Korean Nurse, 40, 51-63 

  13. Kim, S. M., Lee, Y. J., Yu, S. J., Park, M. J., Kim, E. J., & Jeong, E. S. (2003).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sleep and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340-348 

  14. Kim, Y. S., & Doh, B. N. (2005).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reminiscence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2, 483-500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December).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2050 (Based on the 2005 Census). Retrieved October 1, 2007, from http://www.nso.go.kr.# National 

  16. Lee, D. K. (2003). A study on the entertainment robot behavioral structure and reactive motion design-With emphasis on developing pet robot behavioral structure and reactive motion design management t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Advanced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17. Mahoney, F. I., & Bar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 61-65 

  18. Motomura, N., Yagi, T., & Ohyama, H. (2004). Animal assisted therapy for people with dementia. Psychogeriatrics, 4, 40-42 

  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IAIST). (2004, September 17). Seal type robot 'Paro' to be marked with best healing effect in the world-new version of 'Paro' to be lease from AIST venture. Retrieved June 1, 2007, from http://www. aist.go.jp/aist_e/latest_research/2004/ 20041208_2/20041208_2. html# National 

  2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IAIST). (2006, February 13). Paro found to improve brain function in patients with cognition disorders. Retrieved June 1, 2007, from http://www.aist.go.jp/aist_e/latest_research/2006/20060213/20060213.html# National 

  21. Park, J. H., & Kwon, Y. C.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Part 1: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125-135 

  22. Park, J. H., Shon, H. S., & Cho, S. W. (1995). Reliability of functional status measurements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4, 475-483 

  23. Shibata, T. (2003). Robot living together with human beings the onward advancement of intelligent system technology-World's most therapeutic robot 'mental commit robot'. AIST Today International Edition, 9, 2-3 

  24. Shin, S. J. (2001).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dog assisted program through repeated interventions for the autistic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5, 250-287 

  25. Shin, S. J., & Jung, S. H. (2000). The effects of therapy dog-facilitated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functioning for the schizophrenics. Mental Health &Social Work, 10, 85-112 

  26. So, H. Y., & Whang, I. O. (2006).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rogram on cognition,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 72-80 

  27. Sparrow, R. (2002). The march of the robot dogs.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4, 305-318 

  28. Tamura, T., Yonemitsu, S., Itoh, A., Oikawa, D., Kawakami, A., Higashi, Y., et al. (2004). Is an entertainment robot useful in the care of elderly people with severe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y, 59A, 83-85 

  29. Velde, B. P., Cipriani, J., & Fisher, G. (2005). Resident and therapist views of animal-assisted therapy: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2, 43-50 

  30. Wong, D. L., & Baker, C. M. (1988). Pain in children: Comparison of assessment scale, Pediatric. Nursing, 14, 9-17 

  31. Yang, H. K. (2006). The effects of the recreational music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al of the aged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6, 749-7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