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시 제3기 추령각력암의 퇴적시기와 구조적 성인
Age and Structural Origin of the Tertiary Churyeong Breccia in the Gyeongju City,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no.2 = no.56, 2009년, pp.137 - 151  

손문 (부산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승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송철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인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시 황룡동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 추령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에 대한 암상분포, 암석기재, 접촉 및 선후관계 그리고 각종 지질구조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존 지화학 및 절대연령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연구지역의 제3기 암석은 하위로부터 데사이트질 응회암, 이를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추령각력암, 그리고 이들을 다시 관입 및 피복한 안산암질 화산암류로 구분된다. (2) 데사이트질 응회암은 고제3기 팔레오세${\sim}$에오세 동안에 발생한 산성 화산활동의 산물인 왕산층에 대비되며, 추령각력암과 안산암질 화산암류는 신제3기 전기 마이오세 초의 범곡리층군 안동리층과 용동리응회암에 각각 대비된다. (3) 추령각력암은 동해가 활발히 확장하던 시기에 한반도 동남부에서 발생한 북서-남동방향의 지각신장 과정에서 만들어진 약 1.5 km 폭의 북동방향 지구대로 빠르게 유입된 각형의 주변 기반암편들이 퇴적된 결과이다. (4) 전기 마이오세 초에는 한반도 동남부에 데사이트${\sim}$안산암질 화산활동과 함께 활발한 지각신장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추령각력암이 퇴적되는 시기에는 화산활동이 잠시 중단되었으나 활발한 정단층운동이 발생하여 곳곳에 소규모 지구대가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ynthetic analyses of field data, including rock facies, contact relationships, petrography, structural elements, and etc., and previous geochemical and absolute age data of the Tertiary Churyeong Breccia and its surrounding volcanics in the Gyeongju city, Korea, have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세밀한 야외조사를 통하여 추령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의 산상과 분포, 접촉 및 선후관계 그리고 포함된 지질구조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절대연령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령각력암의 퇴적 시기와 퇴적의 원인이 되는 구조적 성인을 밝히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의 접촉 및 선후관계를 명확히 하고 각 지층들을 인근 와읍 및 어일분지 충전물과 층서적으로 대비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는 경주시 황룡동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 추령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를 대상으로 암상의 분포, 산상, 선후관계 그리고 지질구조 특성을 파악하고 기존 지화학과 절대연대 자료들을 종합함으로써 이곳 암석들의 지질시대와 추령각력암의 구조적 퇴적기원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번 연구는 세밀한 야외조사를 통하여 추령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의 산상과 분포, 접촉 및 선후관계 그리고 포함된 지질구조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절대연령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령각력암의 퇴적 시기와 퇴적의 원인이 되는 구조적 성인을 밝히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각력암과 주변 화산암류의 접촉 및 선후관계를 명확히 하고 각 지층들을 인근 와읍 및 어일분지 충전물과 층서적으로 대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양층군 퇴적암류의 특징은? 1B). 하양층군 퇴적암류는 후기 화성활동으로 열변성을 받아 호온펠스화된 암회색 미사암과 셰일이 우세하게 산출되며, 불국사화강암류는 반상조직이 우세한 흑운모 또는 각섬석 화강암으로 주로 구성된다(Tateiwa, 1924).
연구 지역에서 발견되는 데사이트질 응회암의 용결구조가 갖는 특징은? 2D). 이 암석은 괴상의 화산집괴암, 용결구조가 발달한 화산력 및 화산회 응회암 그리고 유리질 응회암 등 다양한 암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구지역 남동에서 북서쪽으로 갈수록 포함된 암편의 크기가 작아지며 용결구조가 보다 잘 발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암편으로는 직경 수 cm 내외의 퇴적암류, 화강암, 산성질 화산암류가 우세하며, 부석편이나 유리파편은 용결되어 길게 신장된 양상이다.
불국사화강암류은 어떻게 구성되나? 1B). 하양층군 퇴적암류는 후기 화성활동으로 열변성을 받아 호온펠스화된 암회색 미사암과 셰일이 우세하게 산출되며, 불국사화강암류는 반상조직이 우세한 흑운모 또는 각섬석 화강암으로 주로 구성된다(Tateiwa, 19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인수, 1992, 새로운 동해의 성인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지질학회지, 28, 84-109 

  2. 김종선, 손문, 김진섭, 김정민, 2005, 한반도 남동부 제3기 암맥군과 화산암류의 $^{40}Ar/^{39}Ar $ 연대. 암석학회지, 14, 93-107 

  3. 김진섭, 손문, 김종선, 김인수, 2002, 한반도 남동부 제3기 암맥군과 지구조적 중요성. 암석학회지, 11, 169-181 

  4. 서만철, 김민규, 최석원, 1994, 경북 추령터널 부근 암석의풍화 특성에 관한 지구물리화학적 연구. 지질공학회지, 4, 269-281 

  5. 손문, 1998, 한반도 동남부 제3기 마이오세 분지의 형성과발달: 구조지질학 및 고자기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233p 

  6. 손문, 김인수, 1994, 울산군 강동면 제3기 정자분지의 지질구조와 분지발달. 자원환경지질, 27, 65-80 

  7. 손문, 김인수, 이동호, 이준동, 김진섭, 백인성, 2000, 울산단층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연구: 제3기 마이오세 와읍분지의 지질구조와 대자율비등방성(AMS). 지질학회지, 36, 195-216 

  8. 윤선, 1988, 한반도 남부의 제3기 층서.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25p 

  9. 진명식, 김성재, 신성천, 1988, K-Ar 및 휫션트랙법에 의한 포항-감포 일대 화산암류의 암석연령 측정연구. 연구보고서 KR-87-27 동위원소 지질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51-88 

  10. 진명식, 김성재, 신성천, 1989, K-Ar 및 휫션트랙법에 의한 한국 동남부 지역 화강암 및 화산암의 암석 광물연령 측정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8-6D, 53-84 

  11. 최범영, 1991, 단층자료를 이용한 응력 텐서 계산방법에 대하여. 지질학회지, 27, 383-393 

  12. 한종환, 곽영훈, 손진담, 손병국, 1987, 한국 동남부지역 제3기 퇴적분지의 지체구조발달 및 퇴적환경 연구 (II). 연구보고서 KR-86-2-(B)-4,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09p 

  13. Fabbri, O., Charvet, J. and Fournier, M., 1996, Alternate senses of displacement along the Tsushima fault system during the Neogene based on fracture analyses near the we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Tectonophysics, 257, 275-295 

  14. Jolivet, L., Davy, P. and Cobbold, P., 1990, Right-lateral shear along the northwest Pacific margin and the India-Eurasia collision. Tectonics, 9, 1409-1419 

  15. Kimura, G. and Tamaki, K., 1986, Collision, rotation and back-arc spreading: the case of the Okhotsk and Japan seas. Tectonics, 5, 389-401 

  16. Lallemand, S. and Jolivet, L., 1986, The Japan Sea, a pullapart basin ?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76, 375-389 

  17. Lucchitta, I. and Suneson, N.H., 1993, Dips and extensi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5, 1346-1356 

  18. McKenzie, D., 1978, Some remarks of the development of sedimentary basin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40, 25-32 

  19. Sohn, Y.K. and Son, M., 2004, Synrift stratigraphic geometry in a transfer zone coarse-grained delta complex,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Sedimentology, 51, 1387-1408 

  20. Son, M., Kim, I.-S. and Sohn, Y.K., 2005, Evolution of the Miocene Waup Basin, SE Korea, in response to dextral shear along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5, 529-544 

  21. Son, M., Seo, H.-J. and Kim, I.-S., 2000,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Eoil Basin, Southeast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4, 73-88 

  22. Tateiwa, I., 1924, 1:50,000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uryuho and Choyo sheets. Geol. Surv. Chosen, (in Japanese) 

  23. Wernicke, B., 1981, Low-angle normal faults in the Basin and Range Province: nappe tectonics in an extending orogen. Nature, 291, 645-648 

  24. Wise, D.U., 1992, Dip domain method applied to the Mesozoic Connecticut Valley Rift Basins. Tectonics, 11, 1357-1368 

  25. Yoon, S., 1991, Geologic events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Korea: With a remark on the origin of the Yamato basin of the Japan Sea. Saito Ho-on Kai Spec. Pub., 3, 303-309 

  26. Yoon, S., 1992, Paleoenvironmental change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of the southern Korea Peninsula. Mem. Geol. Soc. Japan, 37, 117-124 

  27. Yoon, S., 1997, Miocene-Pleistocene volcanism and tectonics in souther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opening of the Japan Sea. Tectonophysics, 281, 53-70 

  28. Yun, H., Y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Paleont. Soc. Korea Special Publication, 3, 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