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295 - 1301  

김수현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최현진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미자 (강원대학교 BK21 사업단(뉴트라슈티컬 바이오)) ,  최승필 (연변대학농학원 식품과학부) ,  함승시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더덕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더덕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assay, SRB assay와 sarcoma-180 세포를 이용한 항종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Ames test 결과, 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200 ${\mu}g$/plate) 4NQO에 대하여 S. Typhimurium TA98과 TA100에서 각각 72.1% 및 67.0%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MNNG에 대한 S. Typhimurium TA100은 69.6%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암세포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경부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폐암세포(A549) 및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74.5%(HeLa), 70.7%(MCF-7) 및 80.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293)에서는 2$\sim$31%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최고농도 50 mg/kg에서 56.4%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utagenic,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CL). CL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덕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검토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먼저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규명하고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를 검색함으로써 기능성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더덕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더덕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층으로 분획하였다.

가설 설정

  • 2)NS: not significant.
  • 2)Values not sharing common superscript letter in colum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05. 3)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덕의 생리활성 효능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더덕의 생리활성 효능에 관한 연구로는 성분분석(6), 휘발성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7), 항산화 효과(8-10),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11),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12-15),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16-19), 세포독성(20) 그리고 더덕과 일부 한약재 열수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등(21,22)이 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덕이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산간 지방에서 야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도라지와 함께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채식품이다. 더덕은 예로부터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해 여러 가지 조리 방법으로 조리되고 있다.
더덕은 한방에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더덕은 예로부터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해 여러 가지 조리 방법으로 조리되고 있다. 또한 한방에서는 폐 기운을 돋워주고 가래를 없애주는 약제로 사용되어 강장, 해열, 거담, 해독 및 배농 등의 질병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wak YS, Kim YS, Shin HJ, Song YB, Park JD. 2003. Anticancer activities by combined treatment of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RGAP) and anticancer agents. J Ginseng Res 27: 47-51. 

  2. Kim HS, Hong SB, Sung HJ, Moon GA, Yoon YS. 2003. Effect of deer blood on reduction of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eutic drugs. Kor J Pharmacogn 34: 145-149. 

  3. Lee HB,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im KS, Lee KN.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 J Herbology 23: 1-8. 

  4. Goto T, Kondo T, Tamura H, Kawahori K. 1983. Structure of platycodin, a diaceylated anthocyanin isolated from the Chinese bell-flower P. grandiflorum. Terahedron Lett 24: 2181-2187. 

  5. Lee YE, Hong SH. 2003. Natural food material. Kyomusa Publishers Inc., Seoul, Korea. p 150-151. 

  6.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Y, Ahn JH, Yoon WB, Lee YH. 2009.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6-400. 

  7. Oh HS, Kim JH, Choi MY. 2006.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Codonopsis lanceolata cultivated on a wild hill.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774-782. 

  8. Jin JH, Yoo JM, Kwak SS, Woo YM, Oh SM, Kim KW, Chung GY. 1996. The effect of cultivated environments on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Plant Res 9: 203-210. 

  9. Maeng YS, Park H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11-316. 

  10.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11. Han EG, Cho SY. 1997.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81-1186. 

  12.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1998.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s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40-944. 

  13. Kim SY, Kim HS, Kim SH, Kim HS, Su IS, Chung SY. 1993.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524-530. 

  14. Won HR, Oh HS.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lipid composition from different part and supplem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28-1133. 

  15. Han EG, Lee YG, Cho HG. 2004.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decrease CCl4-induced hepatotoxicity on high fat diet in rats. J Exp Biomed Sci 10: 447-452. 

  16. Ryu HS, Kim KO, Kim HS. 2009. Effects of plant water extract Codonopsis lanceolata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Korean J Nutr 42: 207-212. 

  17. Suh JS. 1996.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radix water extract on immunocytes. Korean J Food Nutr 9: 379-284. 

  18. Lee YJ, Kim JM, Jung YM. 1995. Effect of Codonopsis pilosula on the cellular immunity. Kor J Vet Publ Hlth 19: 273-279. 

  19. Ryu HS. 2008.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21: 263-268. 

  20. Kim HH, Yukio O, Lee SR, Heu H. 1998.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ytotoxic screening tes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Korea. Korean J Plant Res 11: 168-172. 

  21. Oh HS, Kim JH. 2006.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Cornus officinalis S. et Z, and their mixtures. J Exp Biomed Sci 12: 393-398. 

  22. Oh HS, Kim JH. 2007.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some medicinal materials, and their mixture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8: 407-415. 

  23.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24. Scudiero DA, Shoemaker RH, Paul KD, Monks A, Tiemey S, Nofziger TH, Currens MJ, Seniff D, Boyd MR. 1988. Evaluation of a soluble tetrazolium formazan assay for cell growth and drug sensitivity in culture using human and other tumor cell lines. Cancer Res 48: 4827-4836. 

  25. Lee KI. 1992. Inhibitory effects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various mutagens and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p 17-19. 

  26. Shon MY, Seo JK, Kim HJ, Sung NJ. 2001.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51-655. 

  27. Ham YA, Choi HJ, Kim SH, Chung MJ, Ham SS. 2009.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31. 

  28.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9. Ham SS, Cui CB, Choi HT, Lee DS. 2004.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llium victorial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221-226. 

  30. Cui CB, Lee EY, Ham SS, Lee DS. 2008.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12-218. 

  31. Lim SY. 2007.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J Life Sci 17: 1368-1373. 

  32. Ham YA, Choi HJ, Kim SH, Chung MJ, Ham SS. 2009.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5-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