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잎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회와 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안전성 평가
Single and 14-Day Repeated Oral Toxicity Studies of 70% Ethanol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324 - 1330  

홍충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서문영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구윤창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남미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현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김지훈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왕증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양성용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성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노수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강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며 열, 복통, 타박상, 출혈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식물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생강나무 잎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생강나무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암수 각 군당 5마리씩 5000(단회투여 독성시험), 0, 500, 1000, 2000(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 mg/kg의 용량으로 단회경구투여와 14일 반복경구투여를 실시하여 15일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망동물은 암수 모든 시험군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생강나무의 단회투여 독성은 5000 mg/kg 용량을 상회하며, 14일 반복투여의 최고용량인 2000 mg/kg 용량에서도 아무런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최대무독성량은 이 농도를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생강나무는 안전한 소재로서 식재료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dera obtusiloba Blume (LO),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and Chin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popular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fever, abdominal pain, bruise and extra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oxicities of the single and 14-day repeate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생강나무 잎은 과학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은 채 의약품이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 가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안전성 평가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강나무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전임상 수준의 안전성 평가 시험의 일환으로 급성독성과 반복 투여 시 발현될 수 있는 독성실험을 수행하여 생강나무 잎을 이용한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생강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며 열, 복통, 타박상, 출혈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식물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생강나무 잎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생강나무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암수 각 군당 5마리씩 5000(단회투여 독성시험), 0, 500, 1000, 2000(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 mg/kg의 용량으로 단회경구투여와 14일 반복경구투여를 실시하여 15일 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망동물은 암수 모든 시험군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에 의해 이용되어져 왔다. 특히 해열, 복통 완화, 지혈 등의 여러 약효를 인정받아 여러 약재에 혼용되어져 왔으나 이를 임상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나무를 생강나무라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음지에서 자라는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3 m에 달하고 잎은 호생하며, 3~4월에 잎보다 먼저 황색꽃이 피는 식물로서 가지를 꺾으면 생강냄새가 나기 때문에 생강나무라 부르고 있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새싹은 작설차라 하여 차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3).
생강나무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음지에서 자라는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3 m에 달하고 잎은 호생하며, 3~4월에 잎보다 먼저 황색꽃이 피는 식물로서 가지를 꺾으면 생강냄새가 나기 때문에 생강나무라 부르고 있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새싹은 작설차라 하여 차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3).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생강나무는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어린잎은 식용하며, 새싹은 작설차라 하여 차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3). 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의 남아시아에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열, 복통, 타박상, 출혈 등의 치료로 사용하여 왔다(4,5). 그러나 생강나무의 생리학적 기능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endenc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natural source remedies. The second: Plan for promotion of natural medicine research & development. p 1-20. 

  2. Park BG, Lee HS, Jung SH, Koo YC, Hong CO, Lee SJ, Lee KW. 2007. Single and 14-day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and genotoxicological safety estimate of plantamajoside isolate from Plantago asiatica. J Toxicol Pub Health 23: 79-86. 

  3. Park JC, Yu YB, Lee JH. 1996.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J Korean Soc Food Nutr 25: 76-79. 

  4. Kwon HC, Choi SU, Lee JO, Bae KH, Zee OP, Lee KR. 1999. Two new lignan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Arch Pharm Res 22: 417-422. 

  5. Kwon HC, Baek NI, Choi SU, Lee KR. 2000. New cytotoxic butanolide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Chem Pharm Bull 48: 614-426. 

  6. Ishii R, Yoshikawa K, Minakata H, Komura H, Kada T. 1984. Specificities of bio-antimutagens in plant kingdom. Agric Biol Chem 48: 2587-2591. 

  7. Niwa M, Iguchi M, Yamamura S. 1975. Three new obtusilactone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Chem Lett 655-658. 

  8. Komae H, Hayashi H. 1972. Phytosterols of the trunks of Lindera obtusiloba Blume. Phytochemistry 11: 1182.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5. The standard of toxicity test for medicine and so 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otice 2005-60.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5. The Standard for Nonclinical Demonstration Management.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otice 2005-79. 

  11. OECD/OCDE. 2001.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4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