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야간 휴식장소로써 박쥐가 교량(Bridge)을 이용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의 수계에 조성된 81개 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량을 휴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해 alaschanicus, 우수리박쥐 Myotis petax,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v, 문둥이박쥐 Eptesicus seotinus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총 7개 유형의 교량 가운데 거더(girder)가 조성되어 있는 3개 유형의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어 교량에 있어 박쥐의 휴식장소 이용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특징을 제외한 환경요인으로는 교량의 주변 산림, 경작지,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여부 등의 요인이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야간 휴식장소로써 박쥐가 교량(Bridge)을 이용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의 수계에 조성된 81개 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량을 휴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해 alaschanicus, 우수리박쥐 Myotis petax,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v, 문둥이박쥐 Eptesicus seotinus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총 7개 유형의 교량 가운데 거더(girder)가 조성되어 있는 3개 유형의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어 교량에 있어 박쥐의 휴식장소 이용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특징을 제외한 환경요인으로는 교량의 주변 산림, 경작지,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여부 등의 요인이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t's characteristic of using a bridge as a roosting site dur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81 bridges built in the water system of the southeastern area of Gyeongsangbuk-do were investigated from Jul. 2007 to Oct. 2008. The species which use a bridge as 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t's characteristic of using a bridge as a roosting site dur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81 bridges built in the water system of the southeastern area of Gyeongsangbuk-do were investigated from Jul. 2007 to Oct. 2008. The species which use a bridge as a roosting site were 6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Pipistrellus abramus, Hypsugo alaschanicus, Myotis petax, Myotis ikonnikovi and Eptesicus serotinus. There were 7 types of bridges in which three of them had a girder. This kind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used for a roosting site of bats. There were other factors as well influenced on the utilizing it such as forest, vehicle passing under the bridge, and cultivated land around a brid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t's characteristic of using a bridge as a roosting site during the daytime and nighttime. 81 bridges built in the water system of the southeastern area of Gyeongsangbuk-do were investigated from Jul. 2007 to Oct. 2008. The species which use a bridge as a roosting site were 6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Pipistrellus abramus, Hypsugo alaschanicus, Myotis petax, Myotis ikonnikovi and Eptesicus serotinus. There were 7 types of bridges in which three of them had a girder. This kind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used for a roosting site of bats. There were other factors as well influenced on the utilizing it such as forest, vehicle passing under the bridge, and cultivated land around a bridg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박쥐는 20종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산 박쥐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비롯하여 서식지 이용 등의 생태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쥐의 휴식장소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박쥐의 교량 이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교량의 구조적, 환경적 특징과 박쥐의 교량내 휴식장소 이용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박쥐의 서식지 이용과 생태학적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안 방법
두 지역 모두 도심에서 교외지역으로 분류 가능한 다양한 주변 환경을 가지고있으며, 교량의 구조 또한 수계의 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조성되어 있어 구조 및 환경특성에 따른 박쥐의 이용율을비교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현장조사는 박쥐의 동면기를제외한 월 1회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간조사는 H시에서 15시까지, 야간조사는 일몰부터 일출까지 실시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온습도 측정은 디지털 기록계(Testo 605-H1 ; 5 to 95%RH, -20 to 50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휴식장소에 대한 온도 및 습도는 조사시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현장조사는 박쥐의 동면기를제외한 월 1회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간조사는 H시에서 15시까지, 야간조사는 일몰부터 일출까지 실시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온습도 측정은 디지털 기록계(Testo 605-H1 ; 5 to 95%RH, -20 to 50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휴식장소에 대한 온도 및 습도는 조사시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조사범위내 모든 교량은 철근콘크리트(RC),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를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와 강철재질의 혼합물로 조성된 교량으로 교량의 구조는콘크리트 거더교(PSC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콘크리트 I빔교(PSCI; Prestressed concrete Ibeam), 콘크리트 H빔교(PSCH; Prestressed concrete Hbeam), 스틸박스 거더교(SBG; Steel-Box Girder), 콘크리트 슬래브교(RCS; Reinforced Concrete Slab), 라멘교(RCR; Reinforced Concrete Rahmen), 플레이트 거더교(PG; Plate Girder)로구분하였다.
교량의 높이는 5m po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m 이상의 교량은 거리측정기(Newcon Optik Lrg 3000 Pr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교량하부의 빔(Beam) 사이에 직각으로 조성되어 있어 내부 거더(girder)를 형성해주는 가로보(floor beam)간의 거 리는 5m 줄자를 이용하여측정하였다. 조사대상 교량 주변의 환경요인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해당 교량의 하부와 상부 그리고 주변 환경요인을 비교하였다.
교량하부의 빔(Beam) 사이에 직각으로 조성되어 있어 내부 거더(girder)를 형성해주는 가로보(floor beam)간의 거 리는 5m 줄자를 이용하여측정하였다. 조사대상 교량 주변의 환경요인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해당 교량의 하부와 상부 그리고 주변 환경요인을 비교하였다. 교량의 하부 환경 요인으로는 해당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과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유무를 비교하였으며, 상부 특징으로는 일일 교통량을 비교하여 박쥐의 휴식지 이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교량의 하부 환경 요인으로는 해당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과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유무를 비교하였으며, 상부 특징으로는 일일 교통량을 비교하여 박쥐의 휴식지 이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변 환경 특징으로는 교량 주변 가시권 500m 내의 경작지 유무, 산림의 유무, 최소 30가구 이상의 마을단위 조성 유무를 비교하였다. 교량의 일일 교통량은 2008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통계 (MLTM, 2008)를 이용하였으며,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임에 따라 매 조사시 교량길이에대한 수계폭을 퍼센트로 기록하여 평균값을 수치로 사용하였다.
주변 환경 특징으로는 교량 주변 가시권 500m 내의 경작지 유무, 산림의 유무, 최소 30가구 이상의 마을단위 조성 유무를 비교하였다. 교량의 일일 교통량은 2008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통계 (MLTM, 2008)를 이용하였으며,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임에 따라 매 조사시 교량길이에대한 수계폭을 퍼센트로 기록하여 평균값을 수치로 사용하였다. 도심과 교외의 구분은 Davidson-Watts el aZ, (2006) 을 참고하여 상가, 공장, 거주밀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비교하였다.
교량내 박쥐의 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hand-net을 이용하여 포획 후 동정하였다. Hand-nete 동굴, 폐광, 건물, 나무 등에 있는 박쥐를 포획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는 장비로 (Kimz and Kurta, 1988), 본 조사에서는 교량내 이용 대상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프레임과 길이조정이 가능한 5.
포획 후 동정하였다. Hand-nete 동굴, 폐광, 건물, 나무 등에 있는 박쥐를 포획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는 장비로 (Kimz and Kurta, 1988), 본 조사에서는 교량내 이용 대상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프레임과 길이조정이 가능한 5.5m hand-net을 이용하여 포획하였다. 각각의 교량조사에 있어 수유중인 암컷 개체에 대해서는 쌍안경과 카메라그리고 야간 관측장비(Bushnell, Night-Vision 2.
5m hand-net을 이용하여 포획하였다. 각각의 교량조사에 있어 수유중인 암컷 개체에 대해서는 쌍안경과 카메라그리고 야간 관측장비(Bushnell, Night-Vision 2.5 x 42)를이용한 종의 동정만 수행하였으며, 그 외 개체에 대해서는이용 개체수의 중복 기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확인된 모든개체에 대하여 포획을 시도하였다. 수유중인 암컷 개체를제외한 모든 포획개체는 종명과 성별을 별도로 기록한 후해당 교량의 조사 종료 후 재방사 하였다.
5 x 42)를이용한 종의 동정만 수행하였으며, 그 외 개체에 대해서는이용 개체수의 중복 기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확인된 모든개체에 대하여 포획을 시도하였다. 수유중인 암컷 개체를제외한 모든 포획개체는 종명과 성별을 별도로 기록한 후해당 교량의 조사 종료 후 재방사 하였다.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교량을 대상으로 주변 환경 특성에 따른 영향 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직■지, 산림, 하부 차량 통행, 수계폭, 도심 및 교외, 교량 상부의차량통행량 등 7개 환경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변수와박쥐의 교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량 주변 경작지와 산림의 조성, 그리고 교량 하부로의 차량 통행 여부는 박쥐의 이용이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가진 교량에서는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마을단위의조성과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 도심지와 교외의 차이는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4).
조사대상 교량 주변의 환경요인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해당 교량의 하부와 상부 그리고 주변 환경요인을 비교하였다. 교량의 하부 환경 요인으로는 해당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과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유무를 비교하였으며, 상부 특징으로는 일일 교통량을 비교하여 박쥐의 휴식지 이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변 환경 특징으로는 교량 주변 가시권 500m 내의 경작지 유무, 산림의 유무, 최소 30가구 이상의 마을단위 조성 유무를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박쥐의 교량 이용에 대한 현황조사를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울산에서 발원하여 경주를 거쳐 포항으로 이어지는 형산강 수계(35。41'- 36°00'N, 129。11'- 22'E) 49개 교량과 청송군에서 영덕군으로 이어지는 청송군 지역의 지류를 포함한 오십천 수계(36。24'- 26'N, 129°02'- 22'E) 32개 교량, 총 81개의 교량에 대하여 박쥐의주야간 휴식지 이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두 지역 모두 도심에서 교외지역으로 분류 가능한 다양한 주변 환경을 가지고있으며, 교량의 구조 또한 수계의 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조성되어 있어 구조 및 환경특성에 따른 박쥐의 이용율을비교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현황 자료 중 교량명은 교명판(Name plate of Bridge)을, 교량의 폭과 길이는 해당 교량의 교력판(Record plate of Bridge)을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그 외 교량자료는 Roh and Park(1997)의 자료를 참고하여 기록하였다. 교량의 높이는 5m po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m 이상의 교량은 거리측정기(Newcon Optik Lrg 3000 Pr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도심과 교외의 구분은 Davidson-Watts el aZ, (2006) 을 참고하여 상가, 공장, 거주밀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비교하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verl5.0을 이용하였으며, 구조 및 환경특징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다변량분석 (ANOVA; Analysis of variance),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교량의 일일 교통량은 2008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통계 (MLTM, 2008)를 이용하였으며,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임에 따라 매 조사시 교량길이에대한 수계폭을 퍼센트로 기록하여 평균값을 수치로 사용하였다. 도심과 교외의 구분은 Davidson-Watts el aZ, (2006) 을 참고하여 상가, 공장, 거주밀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비교하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verl5.
성능/효과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총 81개의 교량을 조사한 결과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go alaschani- cMi(Tiunov, 1997), 우수리 박쥐 Myotis peto(Kawai et al., 2003; Atterby et al., 2009),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 vi, 문둥이박쥐 Eptesicus serotinus 등 총 6종 525개체를확인하였다(Table 1). 교량내에서 휴식 활동을 하는 것으로확인된 종 중 집박쥐가 175개체(33.
, 2009),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 vi, 문둥이박쥐 Eptesicus serotinus 등 총 6종 525개체를확인하였다(Table 1). 교량내에서 휴식 활동을 하는 것으로확인된 종 중 집박쥐가 175개체(33.3%)로 가장 높은 이용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검은집박쥐(164개체, 31.2%), 쇠큰수염박쥐(112개체, 21.3%), 관박쥐(49개체, 9.3%), 문둥이박쥐(16개체, 3.1%), 우수리박쥐(9개체, 1.8%)의 순으로나타났다. 주간 조사결과 교량내 주간 휴식지 이용이 이루어지는 종은 집박쥐, 검은집박쥐, 쇠큰수염박쥐 3종으로 나타났는데, 지금까지 박쥐의 교량 이용에 있어서 주간 이용에 대한 결과로는 Hendricks et a/, (2004)이미 서부 Montana 주에서 주로 야간에 나뭇잎을 이용하여 휴식 활동을 하는 Hoary Bat(Lasiurus cz'newzw)에 대하여 주간 수유장소로써 교량을 이용한다는 최초의 보고를 한 바 있으며, Adam and Hayes(2000)가 미 Oregon 주를 대상으로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을 조사한 결과 총 744개체 중 오직 5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이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주간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은 거의 이루지지 않는다고 밝힌바 있다.
8%)의 순으로나타났다. 주간 조사결과 교량내 주간 휴식지 이용이 이루어지는 종은 집박쥐, 검은집박쥐, 쇠큰수염박쥐 3종으로 나타났는데, 지금까지 박쥐의 교량 이용에 있어서 주간 이용에 대한 결과로는 Hendricks et a/, (2004)이미 서부 Montana 주에서 주로 야간에 나뭇잎을 이용하여 휴식 활동을 하는 Hoary Bat(Lasiurus cz'newzw)에 대하여 주간 수유장소로써 교량을 이용한다는 최초의 보고를 한 바 있으며, Adam and Hayes(2000)가 미 Oregon 주를 대상으로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을 조사한 결과 총 744개체 중 오직 5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이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주간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은 거의 이루지지 않는다고 밝힌바 있다. 본 조사결과 또한 집박쥐 2개체, 검은집박쥐 1개체, 쇠큰수염박쥐 25개체 등 전체 525개체 중 28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휴식장소 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조사되어 박쥐의 교량 이용은 대체로 야간에 이루어짐을확인할 수 있었다.
주간 조사결과 교량내 주간 휴식지 이용이 이루어지는 종은 집박쥐, 검은집박쥐, 쇠큰수염박쥐 3종으로 나타났는데, 지금까지 박쥐의 교량 이용에 있어서 주간 이용에 대한 결과로는 Hendricks et a/, (2004)이미 서부 Montana 주에서 주로 야간에 나뭇잎을 이용하여 휴식 활동을 하는 Hoary Bat(Lasiurus cz'newzw)에 대하여 주간 수유장소로써 교량을 이용한다는 최초의 보고를 한 바 있으며, Adam and Hayes(2000)가 미 Oregon 주를 대상으로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을 조사한 결과 총 744개체 중 오직 5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이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주간 교량내 박쥐의 휴식지 이용은 거의 이루지지 않는다고 밝힌바 있다. 본 조사결과 또한 집박쥐 2개체, 검은집박쥐 1개체, 쇠큰수염박쥐 25개체 등 전체 525개체 중 28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휴식장소 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조사되어 박쥐의 교량 이용은 대체로 야간에 이루어짐을확인할 수 있었다. 월별 이용율 변화는 7월에 6종으로 교량을 이용하는 6종이 모두 확인되었으며, 9월에 종 197개체 (37.
본 조사결과 또한 집박쥐 2개체, 검은집박쥐 1개체, 쇠큰수염박쥐 25개체 등 전체 525개체 중 28개체만이 교량내 주간 휴식장소 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조사되어 박쥐의 교량 이용은 대체로 야간에 이루어짐을확인할 수 있었다. 월별 이용율 변화는 7월에 6종으로 교량을 이용하는 6종이 모두 확인되었으며, 9월에 종 197개체 (37.5%)로 가장 높은 이용율을 확인하였다(Figure 1). 이는교량을 이용하는 종의 출산 및 수유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본 조사과정중 새끼의 성장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수유중인 암컷 개체는 7월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된 결과에 기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박쥐의 교량 선택에 있어 구조적, 환경적 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량의 유형, 길이, 폭, 높이, 횡축거리 등을 포함한 구조적 특징과 경작지와 산림의 유무, 도심지와 교외, 민가의 유무와 교량 하부의 차량 통행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한 환경적 특징을 변수로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결과 박쥐의 교량내 휴식장소의 선택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2). 제1주성분(PC1)은 환경 특성 변수를 이용하여 환경적 요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2주성분(PC2)은 구조적 특징에 대한 변수를 사용하여 구조적 특징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제1주성분(PC1)은 환경 특성 변수를 이용하여 환경적 요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2주성분(PC2)은 구조적 특징에 대한 변수를 사용하여 구조적 특징에 대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교량은 모두 구조적 특징에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환경 특성과비교하여서는 유의적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교량의 구조적 유형에 따른 조사결과 또한 이와 다르지 않았는데, 총 81개의 조사대상 교량의 유형은 PSCG, PSCI, PSCH, SBG, RCS, RCR, PG 등 총 7개 유형의 교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주, 야간을 포함하여 박쥐의 이용이 이루어진 교량은 PSCG, PSCI, PSCH 3개 유형의 총 17개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교량은 모두 구조적 특징에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환경 특성과비교하여서는 유의적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교량의 구조적 유형에 따른 조사결과 또한 이와 다르지 않았는데, 총 81개의 조사대상 교량의 유형은 PSCG, PSCI, PSCH, SBG, RCS, RCR, PG 등 총 7개 유형의 교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주, 야간을 포함하여 박쥐의 이용이 이루어진 교량은 PSCG, PSCI, PSCH 3개 유형의 총 17개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었다. 교량내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3개유형의 교량은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더 및 가로보에 의해서 교량 하부에 외부와 격리된 챔버 (chamber) 및 거더 형태의 구조물을 가지고 있는 교량으로, 결과적으로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은 이러한 교량의 구조적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량의 구조적 유형에 따른 조사결과 또한 이와 다르지 않았는데, 총 81개의 조사대상 교량의 유형은 PSCG, PSCI, PSCH, SBG, RCS, RCR, PG 등 총 7개 유형의 교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주, 야간을 포함하여 박쥐의 이용이 이루어진 교량은 PSCG, PSCI, PSCH 3개 유형의 총 17개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었다. 교량내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3개유형의 교량은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더 및 가로보에 의해서 교량 하부에 외부와 격리된 챔버 (chamber) 및 거더 형태의 구조물을 가지고 있는 교량으로, 결과적으로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은 이러한 교량의 구조적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적 특징은 Table 2와 같다. 교량내 이용이 확인된 3개 유형의 교량에 대한 이용율을 비교한 결과 교량의구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ANOVA, F=8.44, p<0.001) PSCI 교량에서 507개체로 전체의 96.5%가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PSCI교에서의 야간휴식 장소로써 이용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Table 3). PSCI교에서 박쥐의 야간 휴식활동이 많은 이유는 거더내 소기후에 의한 것으로 PSCI교에 대한 주간 최고온도, 야간 온도, 거더내 박쥐의 휴식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점의온도를 비교한 결과 PSCI교의 거더내 휴식장소로 이용되는지점의 온도가 외부 야간 온도와 비교하여 평균 2.
5%가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PSCI교에서의 야간휴식 장소로써 이용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Table 3). PSCI교에서 박쥐의 야간 휴식활동이 많은 이유는 거더내 소기후에 의한 것으로 PSCI교에 대한 주간 최고온도, 야간 온도, 거더내 박쥐의 휴식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점의온도를 비교한 결과 PSCI교의 거더내 휴식장소로 이용되는지점의 온도가 외부 야간 온도와 비교하여 평균 2.8℃ (MinO.5℃-Max4.8℃) 높게 나타났으며, 습도는 평균 12.4%(Minl.7%-Maxl7.9%) 낮게 나타났다(Figure 3). 이는 PSCI교의 주성분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낮 시간 동안 많은 태양 복사열을 흡수하게 되고 야간에는 주변의 공기 온도보다 더 느린 속도로 온도가 내려가게 되며(Lacki日 al.
박쥐의 야간 교량 내 휴식장소의 선택은 교량의 구조적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교량을 대상으로 주변 환경 특성에 따른 영향 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직■지, 산림, 하부 차량 통행, 수계폭, 도심 및 교외, 교량 상부의차량통행량 등 7개 환경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변수와박쥐의 교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박쥐의 이용이 확인된 교량을 대상으로 주변 환경 특성에 따른 영향 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직■지, 산림, 하부 차량 통행, 수계폭, 도심 및 교외, 교량 상부의차량통행량 등 7개 환경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변수와박쥐의 교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량 주변 경작지와 산림의 조성, 그리고 교량 하부로의 차량 통행 여부는 박쥐의 이용이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가진 교량에서는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마을단위의조성과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 도심지와 교외의 차이는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4). 즉, 박쥐의 이용이 이루어진 교량을 대상으로 교량 주변으로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종 및개체수에 있어서 높은 이용빈도를 보였으며(F=6.
분석 결과 교량 주변 경작지와 산림의 조성, 그리고 교량 하부로의 차량 통행 여부는 박쥐의 이용이 가능한 구조적 특징을 가진 교량에서는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마을단위의조성과 교량길이에 대한 수계폭, 도심지와 교외의 차이는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4). 즉, 박쥐의 이용이 이루어진 교량을 대상으로 교량 주변으로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종 및개체수에 있어서 높은 이용빈도를 보였으며(F=6.94, p<0.05), 산림의 조성 또한 조성된 지역이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F=6.94, _p<0.05), 그리고 교량 하부의 차량 통행이 가능하지 않은 지역에서 각각 높은 이용율을 확인하였다 (F=7.35, p<0.05). Lacki et 石/.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당교량의 통행량에 따른 박쥐의 이용율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박쥐에 의해 주, 야간 휴식활동이 확인된 교량의 일일통행량(MLTM, 2008)과 박쥐의 이용율을 비교한 결과 교량상부의 통행량은 교량 내 박쥐의 휴식장소 선택과 이용에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y=-2.936x+62.89, 7?2=0.02, F=0.18, />>0.05). Pierson et al.
참고문헌 (22)
Adam, M.D. and J.P. Hayes(2000) Use of bridges as night roosts by bats in the Oregon Coast Range. J. Mamm, 81(2):402-407
Anthony, E.L.P.(1988) Age determination in bats. In: Kunz, T.H., ed Ecological and behavioral methods for the study of bats.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e Press, 533pp
Anthony, E.L.P., M.H. Stack and T.H. Kunz(1981) Night roosting and the nocturnal time budget of the little brown bat, Myotis lucifigus: effects of reproductive status, prey dens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ecologia. 51: 151-156
Atterby, H., J.N. Aegerter, G.C. Smith, C.M. Conyers, T.R. Allnutt, M. Ruedi, A.D. MacNicoll(2009)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Daubenton's bat (Myotis daubentonii) in western Europe and the associated occurrence of rabies.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Eur J Wildl Res. In Press
Barclay, R.M.R.(1982) Night roosting behavior of the little brown bat, Myotis lucifigus. J. Mamm. 63: 464-474
Davidson-Watts, I., S. Walls and G. Jones(2006) Differential habitat selection by Pipistrellus pipistrellus and Pipistrellus pygmaeus identifies distinct conservation needs for cryptic species of echolocating bats. BioI. Con. 133: 118-127
Hendricks, P., J. Joseph, S. Lenard and C. Currier(2004) Use of a bridge for day roosting by the Hoary Bat, Lasiurus cinereus. Can. Field-Naturalist. 119(1): 132-133
Kawai, M., M. Nikaido, M. Harada, S. Matsumura, L.K. Lin, Y. Wu, M. Hasegawa and N. Okada(2003) The status of the Japanese and East Asian bats of the genus Myotis(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sequences. J. Mol. Evol, 28: 297-307
Keeley, B.W. and M.D. Tuttle(1999) Bats in American birdges.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Resource Publication. 4:1-41
Kiser, J.D., J.R. MacGregor, H.D. Bryan, and A. Howard(2002) Use of concrete bridges as night roosts, pp. 208-215, in The Indiana bat: biology and management of an endangered species (A. Kurta and J. Kennedy, des.).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ustin, TX
Kunz, T.H.(1982) Roosting ecology. pp.1-55 in Ecology of bats (T.H. Kunz, ed.). Plenum Publising, New York
Kunz, T.H. and A Kurta(1988) Capture methods and holding devices. pp. 1-29. In: Ecological and behavioral methods for the study of bats. (T.H. Kunz, e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533pp
Lacki., M.J., J.P. Hayes and A Kurta(2007) Bats In Fores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8pp
Menzel, M.A, J.M. Menzel, S.B. Castleberry, J. Ozier, W.M. Ford and J.W. Edwards(2002) Illustrated Key to Skins and Skulls of Bats in the Southeastern and Mid-Atlantic States. USDA Forest Service. pp. 2-4
Mitchell-Jones A.J., A.P. McLeish(2004) Bat Worker's Manual.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pp. 22-131
MLTM(2008) Present situation in bridge and tunnel in 2008
Perimeter, S.I.(1996) Bats and bridges: patterns of night roost activity in the Willamette National Forest, pp.132-150, in Bats and forests symposium (R.M.R. Barclay and R.M. Brigham, eds.). Research Branch,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Working Paper. 23: 1-292
Pierson, E. D., W.E. Rainey and R.M. Miller(1996) Night roost sampling: a window on the forest bat community in northern California, pp.151-163, in Bats and forests symposium (R.M.R. Barclay and R.M. Brigham, eds.). Research Branch,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BC
Roh, M.R and I.C Park(1997) Bridge glossary. Wongisul. Seoul, pp. 36-145
Roverud, R.C. and M.A. Chappell(1991) Energetic and thermoregulatory aspects of clustering behavior in the neotropical bat Noctilio albiventris. Physiol. ZooI. 64: 27-41
Tiunov, M.P.(1997) Bats of the Russian Far East. Dalnauka. Vladivostok(in Russian). 134pp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