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해식애 갯기름나물(식방풍)군락의 동반 출현식물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 of Growth Plants with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in Sea Cliff Plants,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4, 2009년, pp.346 - 352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박용진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해식애 식생구조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법으로 갯기름나물군락과 동반출현하여 혼생하는 주요 식물의 지형적 분포 및 생육 양상을 분석하였다. 해식애의 갯기름나물군락에서 10% 이상의 출현빈도를 나타내는 혼생식물은 26종이었으며,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해국(55.7%)이었다. 갯기름나물군락의 혼생식물은 내륙육지 방향, 해안선방향, 평탄면, 사면 등의 지형요인별 분포 및 생육 양상을 달러하였다. 그리고 분포 및 생육 양상은 모든 지형요인에서 차이가 없이 고르게 분포하는 전형적 형태, 1개의 지형요인에서 양호한 분포를 나타내는 일방적 형태, 2개 또는 그 이상의 지형요인에서 양호한 분포를 보이는 복합적 형태로 구분되었다. 사철쑥과 땅채송화 등은 전형적 형태, 갯보리와 쑥 등은 일방적 형태의 분포 및 생육 양상을 나타내었고, 해국억새 갯메꽃 갯까치수영 등 16종(전체 혼생식물의 61.5%)의 식물이 복합적 형태로 갯기름나물과 혼생하여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as a basic materials of sea cliff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distribution related with the landform and growth pattern of mixed growth plants by ordination method in the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of Korea. The mixed growth plants of frequency o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열법(ordination) 의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를 적용하여 전형적인 한반도 해안단애식물의 갯기름나물군락과 동반 출현하여 혼생 하는주요 종의 지형요인별 분포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해식애 식생구조 분석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 631 

  2. Fu, L., T. Chen, K. Lang, H. Tao and Q. Lin(2001) Higher plants of China. Qingdao Publishing House. China. 8 : 696-698 

  3. Hill, M.O.(1994) DECORANA and TWl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58pp 

  4. Jung, Y.K and J.W. Kim(1998)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Korean J. Ecol. 21(3) : 257-262 

  5. Kim, S.M., D.l. Shin, H.S. Song and S.T. Yoon(2006a) Vegetation structur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in east seaside of south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6):347-353 

  6. Kim, S.M., D.l. Shin, H.S. Song and S.T. Yoon(2006b) Vegetation structur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in west seaside of south Korea. Korean J. Intl. Agri. 18(4):287-296 

  7. Kim, S.M., D.l. Shin, S.T. Yoon and H.S. Song(2007) Vegetation structur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in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5):357-361 

  8. Lee, W.T. and S.K. Chon(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Korean J. Ecol. 7(2) : 74-84 

  9. Maarel, Van der E.(1979) Multivariate methods in phytosociology with reference to the Netherlands. in M. J. A. Werger (ed.), The study of vegetation. 225pp 

  10. McCune, B. and N.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11. Miyawaki, A.(1981) Vegetation of japan Kyushu(vol. 2). Shibundo. Tokyo. 149pp 

  12. Nakanishi, H.(1979) Zonation of rocky coast vegetation in northern Kyushu, Japan.-Vegetation und landschaft Japans. Bull. Yokohama Phytosoc. Soc. Japan 16 : 189-301 

  13. Ohwi, J.(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685pp 

  14. Song, H.S. and W. Cho(2007a)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Kor. J. Env. Eco. 21(3) : 290-298 

  15. Song, H.S. and W. Cho(2007b) Growth Pattern and Species Composition by Landform and Seaside distribu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group in Korea. Kor. J. Env. Eco. 21(1) : 74-81 

  16. Song, H.S. W. Cho and Y.H. Ahn(2008) Vegetation at sea cliffs of uninhabited islets of Ganghwa-gun, Korea. Kor. J. Env. Eco. 22(4) : 453-460 

  17. Song, H.S.(2006)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Peusedanum japonicum Thunb. in Korea. Ph. D. thesis. Univ. of Kongju. 133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