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창 구시포 해안 곰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4, 2009년, pp.365 - 375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성원 (전라북도 고창군 산림행정과) ,  박성학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해수욕장 주변에 위치한 곰솔 방풍림을 대상으로 곰솔림의 생장특성을 조사 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곰솔림의 토양은 모래의 함량이 많은 사토이고, 약산성(pH 5.73)이며, 토양염분농도는 1.42dS/m이다. 곰솔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형상비(수고/흉고직경)는 저밀도 임분, 중밀도 임분, 고밀도 임분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절간생장량은 고밀도 임분일수록 많았다. 특히 저밀도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관폭이 크고, 형상비 60 이하인 수목의 비율이 많았다. 이것은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목이 건전하게 생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많은 수목이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져 생육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수목이 생장 초기 단계에 바람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일부는 태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목의 기울기 방향의 분포율이 이 지역의 주풍방향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모래언덕과 곰솔림 내부에는 총 81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목본식물(24분류군)보다 초본류(57분류군)가 더 많았다. 사구식물의 경우 모래언덕이 잘 발달해 있는 명사십리 구역에는 10종류가 출현하였는데, 방파제 축조로 인해 모래언덕이 형성되지 않은 구시포해수욕장 구역은 3종의 사구식물만이 간헐적으로 출현하였다. 이 지역의 곰솔림이 건전하게 성장하고 유지되어 해안방풍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와 중밀도 임분에 대한 적정한 간벌이 필요한 상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 around Goosipo Beach, Sangha-Myon, Gochang-Gun, Jeollabuk-Do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il in the site was light acid sand with pH 5.7, and the mean sodium concentration of soils was 1.42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흐!] 안 방풍림이 다양한 목적으로 조성 이용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방풍림에 대한 현황조사와 연구가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해안에 위치한 고창 구시포 지역 해안방풍림 인 곰솔림을 대상으로 생장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곰솔 방풍림의 적정한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해수욕장 주변에 위치한 곰솔 방풍림을 대상으로 곰솔림의 생장특성을 조사 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J, H.(2006)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Forests. M.S. thesis, Univ. of Chonbuk, Jeonju, Korea, 44pp 

  2. Cha, D. S., K. W. Chun, J. H. Oh, J. W. Lee, C. M. Park, I. S. Choi and T. Ezaki(2004) A study on coastal sand-dune of Taean national park in west coastal area of Korea( I) -On the Sambong, Gijipo and Baeksajang beach-. Jour.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4(1):15-20 

  3. Chun, K. W., S. W. Kim, K. N. Kim, K. Nakasima and T.Ezaki(2005) Construction of coastal forest and non-structural countermeasure for Tsunami in the East Sea area of Korea. Proc. of joint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Forest and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31-37 

  4. Chun, K. W. and T. Ezaki(2002) A study on coasta sand du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in Korea( I ) -On progress and erosion control facilities-. Jour.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2(1): 1-4 

  5. Kawai, E(1989) Construction and land use of coastal forest throughout coastal disaster prevention. 41st proc. of Japanese Forestry Society(Kanto Branch), pp. 253-255 

  6. Kawai, E(2001) Change of the role of a forest for coastal disaster prevention. Jour.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1(1):17-20 

  7. Kim, K. H., C. M. Park and Y. S. Jung(2004) Wind Break and Other Measures to Control Soil Dust in the Reclaimed Land. Rural Research Institute. Rep. Korea, pp. 354-362 

  8. Kim, C. 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I. 18(1):163-198 

  9. Kim, S. H.(2003)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lack pine(Pinus thunbergii) forest of East coastal sand dunes in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1pp 

  10. Kobayashi, N., T. Kakihara, K. W. Chun, T. Ezaki and Y. Yoshitake(2005) Tsunami and role of coastal forest. Proc. of joint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Forest and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151-152 

  11.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 

  12. Murai H, M. Ishikawa, J. Endo and R. Tadaki(1992) The Coastal Forest in Japan. Soft Science Inc. 513pp 

  13. Nakashima, Y.(2005) Situations and problems of coastal forest in Japan. Proc. of joint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Forest and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7-10 

  14. Oh, H. K.(2002)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Management of Windbreak Forest: In Case of Four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S. thesis, Univ. of Yeungnam, Gyeongsan, Korea, 169pp 

  15. Oh, H. Y. and B. K. Choi(2001) Fundamental landscape research and technology of the coastal reclaimed land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construction. Landscpe, 295pp 

  16. Toyonobu, W., T. Noboru and J. Chikarashi(2003) Proc. of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32-33 

  17. Woo, B. M.(2003)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58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