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 곰솔림의 구조분석과 식물상 -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를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 of Pinus thunbergii Forests in Western Coast of Korea - Focusing Gijipo, Chunjangdae, Janghang and Goosipo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2, 2016년, pp.199 - 213  

김민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장규관 (원광대학교 자연식물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forests and to figure out if there is possibilities to develop the forests into mixed stand multistory forests and to suggest some sound management practices. The vegetat- ion structure and flora of four sites; Kijipo, Chunj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4개 지역의 곰솔 해안림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를 분석하여 군락의 구조를 밝히고, 천이방향을 예측하였으며, 연구 대상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층구조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4개 지역의 곰솔 해안림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를 분석하여 군락의 구조를 밝히고, 천이방향을 예측하였으며, 연구 대상지의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층구조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림의 기본적인 기능은 무엇인가? 해안림의 기본적인 기능은 강풍방지, 비사방지, 높은 파도의 경감, 파도피해 방지, 어업, 항행목표, 연료와 낙엽의 공급 등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안림이 생태적 기능(bio-top, corridor, 생물다양성 등), 풍치기능, 보건휴양기능, 공원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awai, 2001; Konta, 2001).
일본과 중국에서는 해안방재림을 단순림 형태에서 다양한 수종이 혼효된 복층림의 형태로 발전시키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안 곰솔림의 안정성, 방재기능, 생물 다양성, 심미적가치 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활엽수가 혼효된 다층구조 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곰솔과 활엽수종이 혼효된다층구조 해안림은 곰솔 단순림에 비해 병해충에 강하고, 임분 활력도가 높으며, 지속가능한 임분을 조성한다는 장점이 있다(Park et al., 2007).
최근 해안림의 기능은 무엇인가? 해안림의 기본적인 기능은 강풍방지, 비사방지, 높은 파도의 경감, 파도피해 방지, 어업, 항행목표, 연료와 낙엽의 공급 등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안림이 생태적 기능(bio-top, corridor, 생물다양성 등), 풍치기능, 보건휴양기능, 공원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awai, 2001; Konta, 2001). 일본에서는 약 34,000㎞의 해안에 다양한 식생구조와 수종구성을 가진 해안림이 많이 형성되어 있다(Konta,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C.H.(2004)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oastal dune area in Sinduri, Kore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5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H.J.(2009) Flora and stand structure of the coastal forest at the same latitude of east and west coast in Korea.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H.S. and S.D. Lee(2013)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n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7(6):733-7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476-496. 

  5. Greig-Smith, P.(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Oxford. 

  6. Han, B.H., J.W. Choi, T.H. Noh and J.Y. Hur(2014)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the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Suncheon. Korean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8(1):45-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awai, E.(2001) Change of the role of a forest for coastal disaster prevention.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1(1):17-20.(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8. Kim, C.B., K.H. Park, C.W. Lee, H.J. Youn and K.H. Kim(2014)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cience 103(4):564-5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D.G.(2010)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4(2):209-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H.J., S.H. Jung, C.H. Hwang, H. Kim, S.M. Choi and S.H. Lee(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7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M.H., C.M. Park and K.K. Jang(2016)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and soil conditions by TWINSPAN and CCA Ordination in west coast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1):45-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H.(2003)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lack pine(Pinus thunbergii) forest of East coastal sand dunes in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im, S.O., S,C. Chin and C.J. OH(2002)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acuta forest at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781-7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ak, J.I., K.J. Lee, B.H. Han, J.H. Song, and J.S. Jang(2013)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ngbaekdongsan(Mt.) in Jeju-do,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2):241-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nta, F.(2001) The present conditions and functions of the coastal forest in Japan.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1(1):1-4.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K., K.H. Kim, Y.T. Kim, J.Y. Park and S.H. Lee(2005)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Research in Plant Disease 11(2):208-2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 The first book 914pp, The second book 910pp. Seoul. 

  18. Lim, E.G., S.M. Lee, D.S. Kim, J.B. Kim, S.H. Lee, K.S. Choi, C.G. Park and D.W. Lee(2012) The spread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Hemiptera:Margarod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51(1):59-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m, J.H., G.Z. Jin, C.W. Yun, J.H. Shin and S.W. Bae(2004) Stand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inus parviflora forest in Ulleungdo Isl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1):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Masaka, K., H. Sato, H. Torita, H. Kon and M. Fukuchi(2013) Thinning effect on height and radial growth of Pinus thunbergii Parlat. tre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runk slenderness in a matured coastal forest in Hokkaido, Jap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8(6):475-48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1. Nakashima, Y.(2005) Situations and problems of coastal forest in Japan. Proceeding of joint seminar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Forest and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pp. 7-1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2. Nishikawa, H., H. Fujii, K. Kudoh, F. Konta, T. Itoh and T. Kaneko(2001) Study upon establishing the methode to judge the damage level of the coastal pine forest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1(1):21-26.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3. Oh, K.K., H.M. Kang and S.G. Park(2014)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Naknam-Jeongmae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6):725-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C.M., S.W. Kim and S.H. Park(2009)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Environment and Ecology 23(4):365-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J.M., C.M. Park and T. Ezaki(2009) Ecological study on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8(1):17-24. 

  26. Park, W.G., M.J. Yi, K.W. Chun and T. Ezaki(2002) A study on stand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Parl. forests in eastern part of Kangwon-do, Korea.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1(2):13-1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7. Shin, H.S.(2013) Community ecological research for the mid west coast vegetati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h.D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11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ong, H.K., K.K. Jang and D.H. Oh(1997) Ecological study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western seacoast of Korea. -Taean Haean National Park-. Journal of Agriculture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4(1):1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9. Song, H.K. and K.K. Jang(1997)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2):223-2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www.natur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