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갈조류 다시마, 곰피 및 감태의 엽체부위 및 연령별 식이섬유 함량
Dietary Fiber Content of Different Thallus Regions and Age in Three Brown Algae: Laminaria japonica, Ecklonia stolonifera and E. cav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2 no.4, 2009년, pp.360 - 365  

황은경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소) ,  박찬선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ary fiber and crude fiber contents of different thallus regions (blade, stipe, and holdfast) in three brown algae (Laminaria japonica, Ecklonia stolonifera, and E. cava) were detennined at different ages, and then compared with one another. On a dry matter basis, the soluble dietary fibe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조류의 조섬유 함량에 대한 연구 (Sara et al., 2007; Kim et al, 1993)는 주로 가식부를 대상으로 한 조섬유의 함량 분석이었으나, 본 연구는 해조류의 가식부와 비가식부를 포함한엽체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엽체 부위별 조섬유의 함량뿐만 아니라 연령별 조섬유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대형 갈조류의 부위별 및 연령별 활용도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해조류의 식이섬유원과 같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널리 식용 또는 이용되고 있는 3종의 대형 갈조류 (감태, 곰피 및 다시마)의 엽체 부위별 및 연령별 (양성 기간별) 식이섬유의 함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식이섬유 원으로 해조자원의 이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 1996)에 비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섬유의 함량이 식품의 종류 또는 해조류의 종뿐만 아니라 동일종일지라도 엽체의 부위 및 양성 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형 갈조류의 총 식이섬유에 대한 조섬유의 평균 함량비율은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J-W, 1988. Dietary fiber content of selected foods. Am. J. Clin. Nutr, 47, 440-447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80 

  3. Christine, D., S. Rainer and J, Gerhard.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re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4. Do, J-R, E-M, Kim, J-G, Koo and K-S, Jo. 1997.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J. Korean Fish. Soc., 30, 291-296 

  5. Hwang, S-H, J-I, Kim and C-J, Sung. 1996.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of some vegetables, mushrooms, fruits and seaweeds. Korean J. Nutr., 29, 89-96 

  6. Kim, E-H, Y-S, Maeng and S-J, Woo. 1993.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vegetables and seaweeds. Korean J. Nutr., 26, 196-201 

  7. Kim, D-S, D-S, Lee, D-M, Cho, H-R, Kim and J-H, Pyeun.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 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J. Korean Fish. Soc., 28, 270-278 

  8. Lee, D-S, C-K, Lee and Y-S, Jang. 1996. Dietary fiber content of seaweeds in Korea.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52, 99-106 

  9. Lee, K-S and S-R, Lee. 1993.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25-231 

  10. Lund, E.D. and J.M. Smoot. 1982. Dietary fiber content of some tropical fruits and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30, 1123-1127 

  11. Park, K-Y, J-O, Ha and S-H, Rhee.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69-75 

  12. Prosky, L., N-G. Asp, l. Furda, J.W. DeVries, T.F. Schweizer and B.F. Harland 1984.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food products, and total die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rn., 67, 1044-1052 

  13. Prosky, L., N-G. Asp, T.F. Schweizer, J.W. DeVries and l. Furda. 198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7, 1017-1023 

  14. Rasper, V.F. 1979.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of dietary cereal fiber. Food Tech., 33, 40-44 

  15. Sara, M., W.S. Graham and L.T. Michelle 2007. Comparison of nutritive chemistry of a range of temperate seaweeds. Food Chem., 100, 1331- 1336 

  16. Schneeman, B.O. and J. Tietyen. 1994. Dietary fiber. In: Modem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Hills, M.E., J.A. Olson and M. Shike, eds. Lea and Febiger. Baltimore, MD 

  17. Spiller, R.C. 1994. Pharmacology of dietary fiber. Pharmacol. Ther., 62, 407-427 

  18. Stockton, B., L.V. Evans, E.R. Morris, D.A. Powell and D.A. Rees. 1980. Alginate block structure in Laminaria digitata: Implications for holdfast attachment. Bot. Mar., 23, 563-567 

  19. Wang, W., M. Onnagawa, Y. Yoshie and T. Suzuki. 2001. Binding of bile salts to soluble and Jllsoluble dietary fibers of seaweeds. Fish. Sci., 67, 1169- 1173 

  20. Yoo, Y-C, W-J Kim, S-Y Kim, S-M Kim, M-K Chung, J-W Park, H-H Suh, K-B Lee and Y-I Park. 2007.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a fucoidan isolated from Korean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Algae, 22, 333-338 

  21. Yoshie, Y., T. Suzuki, T. Shirai and T. Hirano. 1997. Analytical procedure and distribu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s in seaweed foods. J. Tokyo Univ. Fish., 83, 1-12 

  22. Yoshie-Stark, Y. 2001. Studies on the dietary fibers in seaweed from the stand point of food and nutrition. Nippon Suisan Gakkaishi, 67, 619-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