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제 처방양상 - 외래 처방전을 중심으로 -
Prescribing Patterns of Antihypertensive Drugs by Out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2007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19 no.2, 2009년, pp.167 - 179  

성예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장선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임도희 (숙명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신숙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송현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이숙향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erten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and it causes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While antihypertensive drug use increased, it took 15%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rug expendi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 of antihypertensive drug prescription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전국민 대표성을 갖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외래에서의 혈압강하제 약제처방을 의료기관의 종류 및 동반질병에 따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실제 임상에서의 혈압강하제 처방이「2004년도 우리나라 고혈압 진료지침」5)의 내용과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또한 혈압강하제는 동반 질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혈압강하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뇌혈관계 질환과 신질환, 당뇨 등의 동반상병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하였다. 동반 질병 유무는 처방전이 발행된 해당 명세서에 주진단명으로 해당 질병코드가 기입되어 있으면 해당 질병이 있다고 정의하였으며, 해당 KCD 코드는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Table 2).
  •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표성을 갖는 대규모 건강보험 전산청구자료를 이용하여 2007년 고혈압 유병환자에 대한 혈압강하제 처방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처방전중 칼슘채널차단제가 포함된 처방전이 약 64%로 칼슘채널차단제가 가장 많이 처방되는 성분군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이뇨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의 순으로 처방률이 높았다.
  • 하지만 먼저 가장 효과적인 혈압관리 방법으로 알려진 혈압강하제의 처방양상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환자 특성과 동반 질병 등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혈압강하제가 처방되고 있는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민 대표성을 갖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외래에서의 혈압강하제 약제처방을 의료기관의 종류 및 동반질병에 따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실제 임상에서의 혈압강하제 처방이「2004년도 우리나라 고혈압 진료지침」5)의 내용과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이때문에 본 연구는 혈압강하제 처방의 적절성을 실제 혈압조절 여부에 따라 평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발행한 진료지침의 내용에 따라 혈압강하제 처방이 평균적으로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를 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 자료에 기록된 질병명은 심사를 청구하기 위해서 기입한 것으로서, 실제 의사가 판단하여 의무기록에 기재한 질병과 다를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기준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고혈압은 유병률이 높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하나이다.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23.9%에 이르고 있으며1) 인구노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혈압 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2). 이에 따라 고혈압을 주상병 또는 부상병으로 하여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수도 늘어나고 있으며3) 혈압강하제 처방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이 장기간 관리 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는? 고혈압은 유병상태에 있을 때에는 증상이 없고 생활에 별다른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장기간 혈압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는 뇌혈관질환, 허혈성심장질환, 신장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요 고혈압 관리지침에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 요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평소에 적극적으로 혈압을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고혈압 관리지침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혈압관리를 권고하고 있는가? 하지만 장기간 혈압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는 뇌혈관질환, 허혈성심장질환, 신장질환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요 고혈압 관리지침에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 요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평소에 적극적으로 혈압을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특히 식이요법과 운동요법만으로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빠른 시일내에 적절한 혈압강하제를 투여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은정 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200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박종혁 외, 고혈압약 투약을 시작한 장애인의 투약순응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7. 40(3):p. 249-258. 

  3. 김재용 외, 연도별 고혈압 주부상병 의료이용현황 및 고혈압관련약제 처방현황 분석결과. 200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부 자료 

  5. 고혈압진료지침제정위원회,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진료지침. 2004, 대한고혈압학회. 

  6.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2004 

  7. Giuseppe Mancia, C.M., 2007 ESH-ESC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ESH-ESC Task Force on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2007. 25(9). 

  8. WHO, 200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ISH) statement 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2003. 21: p. 1983-1992. 

  9. NICE, Hypertension: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in primary care, in NICE clinical guideline 34. 2006,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10. Liu, P.H. and J.D. Wa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 prescription patterns and time trends for newly-diagnosed uncomplicated hypertension patients in Taiwan. BMC Health Serv Res, 2008. 8: p. 133. 

  11. Sakamaki, Y., et al., Comparison of health costs associated with treatment of hypertension with a calcium channel blocker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ypertens Res, 2006. 29(5): p. 333-8. 

  12. Degli Esposti, E., et al., Long-term persistence with antihypertensive drugs in new patients. J Hum Hypertens, 2002. 16(6): p. 439-44. 

  13. Neutel, J.M., Prescribing patterns in hypertension: the emerging role of fixed-dose combinations for attaining BP goals in hypertensive patients. Curr Med Res Opi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