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건강지각
Health-Promoting Lifestyle Patterns and Health Perception in Elders Using Welfare Service Center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6 no.4, 2009년, pp.481 - 489  

김남희 (순천향대학 병원)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HPLP) and health perception (HP),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people using welfare service centers. Methods: Three hundred elders were interview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노인의 건강관련 특성과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건강지각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08년 1월부터 2월까지 경기도 B시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2개소에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 30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 면담을 통해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건강지각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복지관이용 노인의 특성과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건강지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복지관 이용노인의 건강관련 특성과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건강지각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연구자는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여가시간을 유용하게 보낼 수 있어 최근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에 등록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건강지각을 파악, 분석함으로써 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위한 효율적인 건강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사회의 건강관리를 위해 미국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노인인구의 증가를 예측하고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대해 미리 대비를 해온 미국의 경우 시설 노인은 물론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위해 우리나라의 노인복지관과 같은 지역사회 노인센터를 중심으로 건강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대상자 맞춤형 건강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건강증진은 물론 독립적 생활을 돕고 있다(Newman, 2005). 뿐만 아니라 다학제간 접근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 향상을 통해서 노인센터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성과(outcome) 평가를 철저히 하여 성공적 노화를 도모하고 있다(Kuczmarksi & Cotugna, 2009).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집단의 생활양식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건강증진행위란 무엇인가? 건강증진이란 개인의 습관이나 환경의 변화를 촉진하는 과정을 통해서 높은 수준의 안녕을 향해 나아가는 건강관리를 말한다(Brubaker, 1983). 건강증진행위란 건강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적 또는 지역사회의 활동으로서 안녕수준 뿐만 아니라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취해지는 활동으로(Pender, 1987),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는 건전한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건강지각이란 인간의 행위를 지배하는 개인적 의미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에 대한 자기평가이며(Moore, Newsome, Payne, & Tiansawad, 1993), 건강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은 건강증진행위의 중요한 동기적 요인으로 널리 보고되어 왔다.
건강증진이란 무엇인가? 건강증진이란 개인의 습관이나 환경의 변화를 촉진하는 과정을 통해서 높은 수준의 안녕을 향해 나아가는 건강관리를 말한다(Brubaker, 1983). 건강증진행위란 건강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적 또는 지역사회의 활동으로서 안녕수준 뿐만 아니라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취해지는 활동으로(Pender, 1987),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는 건전한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O., Ryu, G. Y.,& Park, B. J.(2002). Manual for medical statis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 Brubaker, B. H. (1983). Health promotion: a linguistic analysi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3), 1-14. 

  3. Choi, Y. A. (2003). A Surve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the aged in an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3), 129-142. 

  4. Choi, Y. H., & Kim, Y. H. (2001).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3), 103-115. 

  5. Han, A. K., & Cho, D. S. (2001). A study on physiological parameter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adults in Kyungi province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4), 631-640. 

  6. Jeong, H. J. (2006). A study on the use of senior welfare center and the satisfaction from the programs - focusing on the welfare center financed by Jinj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7. Joo, A. R., Park, I. H., Choi, I.. H., Ryu, H.. S., Kim, Y. K., & Kang, S. Y. (2007). A study of health concerns, health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elders in senior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500-507. 

  8. Jung, K. H., Oh, Y. H., Seok, J. E., Do, S. R., Kim, C.W., Lee, Y. K., et al. (2005). 2004 National survey on elderly welfare (Research report 2005-0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Kim, C. A. (2005).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derly in Chung-N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10. Kim, C. G., Park, H. J., & Chaung, S. K. (2007). Effects of lifestyle and depress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92-102. 

  11. Kim, H. A. (2007)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Seoul. 

  12. Kim, H. J., Chae, S. O., Park, Y. S., & Woo, S. H.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2), 262-274. 

  13. Kuczmarksi, M. F., & Cotugna, N. (2009). Outcome evaluation of a 3-year senior health and wellness initiative.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4(1), 33-39. 

  14. Lee, H. J. (2001).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attendants and non-attendants at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2007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tatistical Yearbook. Seoul: MHWFA. 

  16. Moore, B. S., Newsome, J. A., Payne, P. L., & Tiansawad, S. (1993). Nursing research: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 in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11), 7-14.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200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HIC. 

  18. Newman, D. M. (2005). A community nursing center for the health promotion of senior citizens based on the Neuman systems model.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4), 221-223. 

  19.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T : Appleton & Lange. 

  20. Pender, N. J., Walker, S. N., Sechrist K. R., & Frank-Strombo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39(6), 326-332. 

  21. Pulliam, L. (1991). Client satisfaction with a nurse-managed clinic.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8(2), 97-112. 

  22. Seo, G. S. (2008). Health behavior in the aged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1201-1212. 

  23. Sohng, K. Y., & Lee, S. Y. (2000). A survey 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between Korean elderly and Korean-Americ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7(3), 401-414. 

  24. Song, M. R. (2007).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93-499. 

  25. Song, Y. S., Lee, M. R., & Ahn, E. K. (1997).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3), 541-549. 

  26.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2), 93-100. 

  27. Suh, Y. O. (1995). Structural model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life wome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28. Umberson, D. (1992).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social control of health behavior.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4(8), 907-917.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30. Ware. J, E. (1979).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s. Hyattsville, Maryland: DHEW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