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암세포주 증식 저해 활성 및 Glucosinolate와 Sulforaphane의 함량
The Glucosinolate and Sulforaphane Contents of Land Race Radish and Wild Race Radish Extracts and Their Inhibititory Effects on Cancer Cell Lin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4, 2009년, pp.558 - 563  

최선주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최아름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조은혜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김소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이건순 (한국농업대학 교양공통학부) ,  이수성 ((주)바이오브리딩연구소)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의 유방암 및 폐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고, 항암 관련 지표 물질로 알려진 glucosinolate의 함량 및 sulforapha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의 하나인 MCF-7 세포주를 이용한 CCK(cell counting kit) assay분석법을 사용하여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래종 무보다 갯무의 세포 증식 저해율이 높았으며, sulforaphane 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세포주의 하나인 A-549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세포 증식 저해율을 보였으며, 총 glucosinolate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무를 이용하여 재래종 무의 품질 특성을 개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hibitory effects of land race radish (LRR) and wild race radish (WRR) extracts on cancer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A and their glucosinolate and sulforaphane contents were analyzed. The anticancer activitiesy of the LRR and WRR extracts on the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ere determ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폐암 세포주의 하나인 A-549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세포 증식 저해율을 보였으며, 총 glucosinolate 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무를 이용하여 재래종 무의 품질 특성을 개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갯무는 재래종 무에 비해 특이적인 기능성을 갖는 새로운 유전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이 인체 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으며, 암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gluccosinolate와 sulforaphane의 함량을 조사하여 재래종 무와 갯무의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는 무엇인가? 십자화과 채소인 무(radish)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채류중 배추와 더불어 총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하고 친숙한 작물이다. 무는 민간요법과 고전문헌을 보면 내복근이라 하여 소화 촉진과 어패류 또는 면류의 중독해소에 효과가 있고, 그 종자를 내복자라 하여 기암, 혈담, 천식 및 늑간 신경통 등에 쓰인다고 한다(Jung DH 1998).
민간요법과 고전문헌에서 무는 어떠한 효과가 있었으며 어디에 쓰였는가? 십자화과 채소인 무(radish)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채류중 배추와 더불어 총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하고 친숙한 작물이다. 무는 민간요법과 고전문헌을 보면 내복근이라 하여 소화 촉진과 어패류 또는 면류의 중독해소에 효과가 있고, 그 종자를 내복자라 하여 기암, 혈담, 천식 및 늑간 신경통 등에 쓰인다고 한다(Jung DH 1998).
십자화과 채소의 대표 작물인 무가 항암 효과를 갖는 것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십자화과 식물이 항암 효과를 갖는 것은 glucosinolate와 sulforaphane과 같이 황을 함유한 화합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lucosinolate는 채소의 조직이 파괴될 때 조직 속의 효소인 myrosinase에 의해 isothiocyanate, nitrile 및 thiocyanate를 형성한다고 보고되어 있다(Van Etten et al 19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uborn KJ, Fan S, Rosen EM, Goodwin L, Chandraskaren A, Williams DE (2003) Indole-3-carbinol is a negative regulator of estrogen. J Nutr 133: 2470-2475. 

  2. Bradfield CA, Chang Y, Bjeildanes LF (1985) Effects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on hepatic xenobiotic-metabolizing enzymes in the mouse. Food Chem Toxicol 23: 899-904. 

  3. Chiao JW, Chung FL, Kancherla R, Ahemed T, Mittelman A, Conaway CC (2002) Sulforaphane and its metabolite mediate growth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Int J Oncol 20: 631-636. 

  4. Im JS, Lee EH, Lee JN, Nam CH (2006)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nlargment of sulforaphane in radish content.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p 1-19. 

  5. Jackson SJ, Singletary KW (2004) Sulforaphane inhibits human MCF-7 mammary cancer cell mitotic progression and tubulin polymerization. J Nutr 134: 2229-2236. 

  6. Jung DH (1998) In biological efficacy of food. Seonjin Munwhasa, Seoul. pp. 72-74. 

  7. Kim MR, Lee HS (198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dish myrosinase. Korean J Food Sci Techno 21: 136-144. 

  8. Kim MR, Lee KJ, Kim JH, Sok DE (1997)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82-887. 

  9. Lee SE (2006) Investigation of cooking usage according to the physiochem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in Nabakkimchi with different radish cultivars. Korean J Culinary Res 12: 284-298. 

  10. Misiewicz I, Skupinska K, Kasprzycka-Guttman T (2003) Sulforaphane and 2-oxohexyl isothiocyante induce cell growth arrest and apoptosis in L-1210 leckemia and ME-18 melanoma cells. Oncol Rep 10: 2045-2050. 

  11. Parnaud G, Li P, Cassar G, Rouimi P, Tulliez J, Combaret L, Gamet-Payrastre L (2004) Mechanism of sulforaphane-imduced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Nutr Cancer 48: 198-206. 

  12. Pham NA, Jacobberger JW, Schimmer AD, Cao P, Gronda M, Hedley DW (2004) The dietary isothiocyanate sulforaphane targets pathways of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oxidative stress in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and inhibits tumor growth in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t mice. Mol Cancer Ther 3: 1239-1248. 

  13. Prestera T, Holtzclaw DW, Zhang Y, Talalay P (1993) Chemical and molecular regulation of enzymes that detoxify carcinogens. Proc Natl Acad Sci 90: 2965-2969. 

  14. Ryu KD, Chung DH, Kim JK (2000) Comparison of radish cultivar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kadug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 32: 681-690. 

  15. Sim KH, Kang KS, Seo KI (1993) Purification enzymatic properties of myrosinase abstracted from radish. J Korean Agri Chem Soc 36: 86-92. 

  16. Singh SV, Herman-Antosiewicz A, Singh AV, Lew KL, Srivastava SK, Kamath R, Brown KD, Zhang L, Baskaran R (2004) Sulforaphane-induced G2/M phase cell cycle arrest involves checkpoint kinase 2-mediated phosphorylation of cell division cycle 25C. J Biol Chem 279: 25813-25822. 

  17. Slominski BA, Campbell LD (1998)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indoleacetonitriles in rapeseed and brassica vegetables. J Chromatogr 454: 258-291. 

  18. Van Etten CH, Daxenbichler ME, Wolff IA (1969) Natural glucosinolates (thioglucosides) in foods and feeds. J Agric Food Chem 17: 483-491. 

  19. Wattenberg LW (1977) Inhibition of carcinogenic effects of polycyclic hydrocarbons by benzylisothicyanate and related compounds. J Natl Cancer Inst 58: 398-398. 

  20. Whitty JP, Bjeldanes LF (1987) The effects of dietary cabbage on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and the binding of aflatoxin $B_1$ to hepatic DNA in rats. Food Chem 25: 581-587. 

  21. Yim HB, Lee GS, Chae HJ (2004) Cytotoxicity of ethanol extract of Raphanuse sativus on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7-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