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 절임조건에 따른 Myrosinase 활성 및 Total Glucosinolates 함량 변화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1, 2010년, pp.104 - 109  

황은선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의 절임조건에 따른 수분함량, 염도 및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높고 절임 시간이 증가할수록 배추의 수분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투압에 의하여 조직액의 용출 및 소금의 침투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절임배추 특유의 조직 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 농도가 비교적적은 6%에서는 삼투압의 변화가 비교적 적게 일어나 비교적 일정한 염분 농도를 유지하는 반면에, 소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절임과정 중에 배추의 삼투압에 변화가 일어나 배추에서 유출된 수분으로 초기에 사용한 소금의 염도보다 감소하였다. 절임 전 신선한 배추의 pH는 약 알칼리(pH 7.8~8.2)에서 절임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절임 과정 중에 배추에 존재하는 유기산이 용출 및 초기 발효에 의해 pH가 감소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임시간이 경과할수록,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yrosinase 활성이 점차로 감소하였다. 배추의 절임시간이 길어지고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는 것은 myrosinase 의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pH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효소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와 절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otal glucosinolates의 함량도 더 많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배추와 소금물이 접촉하면서 배추의 세포막이 파괴되고 세포 내에 있는 m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glucosinolates가 가수분해 되어 다양한 분해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변화는 절임공정에서 물리적 절단, 삼투압 현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 pH 변화 등에 의하여 glucosinolates가 가수분해 과정을 거쳐 분해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is one of the major cruciferous vegetables. Cruciferous vegetables contain a series of relatively unique secondary metabolites of amino acids called glucosinolates. Although glucosinolates do not appear to be bioactive, they are hydro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외 모두 김치 제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정인 절임조건에 따른 glucosinolates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추의 절임조건(소금농도와 절임시간)에 따른 myrosinase 활성 및 total glucosinolates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는 분류학상 어디에 속하는가? ssp. pekinensis)는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하는 두해살이 잎줄기채소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서 널리 재배 및 소비되고 있다(McNaughton SA와 Marks GC 2003). 배추는 채소의 특성상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어렵고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품질저하가 나타나므로 다양한 김치 형태로 가공하여 소비하고 있다(Jung JI 등 2009).
배추는 어느 나라에서 소비되고 있는가? ssp. pekinensis)는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하는 두해살이 잎줄기채소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서 널리 재배 및 소비되고 있다(McNaughton SA와 Marks GC 2003). 배추는 채소의 특성상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어렵고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품질저하가 나타나므로 다양한 김치 형태로 가공하여 소비하고 있다(Jung JI 등 2009).
배추를 이용한 김치 제조 시 김치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배추의 품질은 품종, 재배 및 저장조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배추를 이용한 김치 제조 시 품질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IS 등 1994, Kim MJ 등 1998). 김치의 주된 재료는 배추이고, 제조공정은 크게 절임과정, 세척과정과 탈수과정을 거쳐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된 양념과 합쳐진 후 발효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 중에서 절임공정이 김치의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어 있다(Lee KH 등 1991, Jo JS 2000, Lee MH 등 2002).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과정에서 소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Turki AI, Dick WA. 2003. Myrosinase activity in soil. Soil Sci Soc Am J 67(1):139-145 

  2. Brzezinski W, Medelewski P. 1984. Determination of total glucosinolate content in rapeseed meal with thymol reagent. Z Pflanzenzuchtg 93:177-183 

  3. Choi MY, Choi EJ, Cha BC, Park HJ, Rhim TJ. 1996. Effect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sap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5(6):899-906 

  4. Clarke JD, Dashwood RH, Ho E. 2008. Multi-targeted prevention of cancer by sulforaphane. Cancer Lett 269(2):291-304 

  5. Fenwick, GR, Mullin WJ. 1983. Glucosinolat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in food and food plants. Food Sci Nutr 18(2):123-201 

  6. Fuller Z, Louis P, Mihajlovski A, Rungapamestry V, Ratcliffe B, Duncan AJ. 2007. Influence of cabbage processing methods and prebiotic manipulation of colonic microflora on glucosinolate breakdown in man. Br J Nutr 98(2):364-372 

  7. Gliszczy?ska-Swigło A, Ciska E, Pawlak-Lema?ska K, Chmielewski J, Borkowski T, Tyrakowska B. 2006. Changes in the content of health-promoting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ccoli after domestic processing. Food Addit Contam 23(11):1088-1098 

  8. Hayes JD, Kelleher MO, Eggleston IM. 2008. The cancer chemopreventive actions of phytochemicals derived from glucosinolates. Eur J Nutr 47(suppl 2):73-88 

  9. Hwang ES, Lee HJ. 2006. Phenylethyl isothiocyanate and its N-acetylcysteine conjugate suppress the metastasis of SKHep1 human hepatoma cells. J Nutr Biochem 17(12):837-846 

  10. Jo JS. 2000. The study of kimchi. Yurim Munhwasa, Seoul, Korea. 

  11. Jung JI, Hong EY, Kim MK, Jung JW, Oh, JY, Kwon MS, Lee KP, Kim GH. 2009. Changes in total glucosinolates level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imchi using Korean Chinese cabbage of harvest time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6(5):612-617 

  12. Kang KS, Seo KI, Shim KH. 1995. Purification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myrosinase from Korean cabbage. J Korean Soc Food Nutr 24(4):563-569 

  13. Kim MJ, Hong GH, Chung DS, Kim YB. 1998. Quality comparison of Kimchi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Kor J Food Sci Technol 39(5):528-532 

  14. Kim YK, Kim GH. 2003. Changes in 3-butenyl isothiocyanate and total glucosinolates of seeds and young seedlings during growth of Korean Chinese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0(3):365-369 

  15.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06-310 

  16. Lee MH, Lee GD, Son KJ, Yoon SR, Kim JS, Kwon JH. 2002. Changes in organoleptic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with salting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417-422 

  17.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26(3):239-245 

  18. McNaughton SA, Marks GC. 2003. Development of food composition database for the estimation of dietary intakes of glucosinolate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of cruciferous vegetables. Br J Nurt 90(3):687-697 

  19. Rungapamestry V, Duncan AJ, Fuller Z, Ratcliffe B. 2006. Changes in glucosinolate concentrations, myrosinase activity, and production of metabolites of glucosinolate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cooked for different durations. J Agric Food Chem 54(2):7628-7634 

  20. Shim YH, Ahn GJ, Yoo CH. 2003. Character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2):210-215 

  21. Shim KH, Sung NK, Kang KS, Ahn CW, Seo KI. 1992.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 change of conten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in cruciferous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1(1):43-48 

  22. Song L, Thornalley PJ. 2007. Effect of storage, processing and cooking on glucosinolate content of Brassica vegetables. Food Chem Toxicol 45(2):216-224 

  23. Stoewsand GS. 1995.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in Brassica oleracea vegetables: a review. Food Chem Toxicol 33(6):537-543 

  24. Volden J, Wicklund T, Verkerk R, Dekker M. 2008. Kinetics of changes in glucosinolate concentrations during long-term cooking of white cabbage (Brassica oleracea L. ssp. capitata f. alba). J Agric Food Chem 56(6):2068-20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