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프스윙시 각 클럽간의 샷 분석 및 백스윙톱과 임팩트시의 체중이동분석
A Study of the Shot Differences Among Each Clubs and the Weight Shift Patterns from Back Swing Top to the Impact during the Golf Swing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9 no.2, 2009년, pp.287 - 296  

김창욱 (부산외국어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숙련자 4명과 3년 이내의 골프전공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아이언 클럽(3, 4, 5, 6, 7, 8, 9) 간의 기초샷 정보와 체중이동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RD-TEC사의 샷분석기와 체중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전체 아이언 클럽간의 샷분석의 차이와 체중이동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대상자(숙련자 4명과 비숙련자 4명) 모두 헤드스피드와 볼스피드에서 롱아이언과 숏아이언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3, 4, 5번 아이언에서는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헤드스피드, 볼스피드, 방항성, 타출각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체중이동의 분석에서는 백스윙 톱에서는 비숙련자가 더 많은 체중이동(65.36%)을 하였고, 숙련자는 임팩트시에서 70.21%정도의 체중이 왼발에 있었다. 숙련자 그룹은 체중이동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파워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written to present basic shot information among iron clubs and information of weight shift, because previous study conducted on all clubs was rut enough. This article is about shot analysis of iron club 3,4,5,6,7,8,9 and weight movement, conducted on four skilled golf players and four stu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순히 골프스윙에서의 샷정보와 체중 이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함이 아니며 클럽피팅 연구 또는 골프 스윙 분석과 레슨에서의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되길 기대하며, 기존의 단일 클럽 또는 몇개의 클럽에 국한된 것을 클럽전체의 샷분석과 체중이동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단순히 클럽별 볼 속도를 알기 위한 것이 아니고 클럽간에 속도 변화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숙련자 6번은 7번, 8번, 9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7번은 8번, 9 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없이 이루어져 왔던 헤드 스피드, 볼스피드 체중이동 등의 단순 결과에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실제 아이언 클럽이 만들진 기능 수행을 효과적으로 하는지에 대한 검정 자료와 클럽 간의 샷 정보를 임상실험을 통해 실질적인 증명을 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특히 클럽 구성에 있어서 개개인의 클럽은 과연 몇 번 아이언부터 구성 할 것이며 클럽 간의 상대적 편차를 일정하게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인식시켜 골프레슨 시 새로운 관점에서 연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진 단일 클럽 또는 몇 개의 클럽으로 이루어진 실험임을 감안하여 아이언 전체 클럽을 대상으로 샷분석과 체중이동을 분석하여 클럽간의 샷분석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체중이동의 변화는 클럽간에도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신준용(2005)은 아이언 스윙을 분석한 연구에서도 정확성이 더 중요한 샷임에도 불구하고 수행결과인 헤드스피드로 평가된 논문이 많았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권의준(1999). 골프스윙시 프로골퍼선수의 지면반력 유형과 근 활동에 관한 생체역학적 분석. 수원대학교 논문집, 37. 

  2. 김갑선(2008). 우수골퍼의 아이언 클럽 스윙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8(2), 85-94. 

  3. 김무영(1995). 골프 스윙 동작의 단순화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4. 김주선(1994). 골프스윙 시 운동역학적 요인과 타이밍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5. 김진철(2007). 골프 드라이버 스윙시 숙련도와 체중이동의 운동역학적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41-53. 

  6. 김창욱(2004). 골프스윙시 기술수준에 따른 신체분절의 Kinematic sequence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415-427. 

  7. 김창욱(2009). 신장과 기술수준을 고려한 적정 드라이버 길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2), 1029-1038. 

  8. 나상준(1994). 최적의 골프 스윙을 위한 운동학적 변인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9. 문곤성, 최지영, 김로빈(2008). 경사면에 따른 골프스윙 시 하지의 지면반력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8(1), 191-201. 

  10. 박진(2005). 골프스윙 방법에 따른 체중이동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5(3), 31-49. 

  11. 소재무(1997). 여자 프로 골퍼의 미들아이언 스윙 동작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7(2), 165-183. 

  12. 신준용(2005). 골프클럽에 따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37-46. 

  13. 유재청(1991). 골프스윙시 신체분절의 기여도 및 지면 반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14. 이기광, 남기정(2005). 골프스윙에 있어서 기술수준이 운동학적 요인의 일관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6), 669-676. 

  15. 이종경(1995). 골프클럽의 길이에 따른 스윙패턴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2), 15-26. 

  16. 임영태(2009). 엘리트 골프선수의 드라이버 스윙시 스윙평면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9(1), 59-66. 

  17. 임정, 황인승(2006). 골프스윙시 3분절 시스템의 Joint Torque의 산출.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105-113. 

  18. 임태상(1996). 골프 드라이버와 아이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 조수현(1990). 골프 스윙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 황인승(1993). 메커닉 골프. 서울 : 대한교과서. 

  21. Carr, G.(1997). Mechanics of Sport. Glampaign, IL, Human Kinetics. 

  22. Cheetham, P. J., Martin, P. E., Mottram, R. E., & St Laurent, B.F.(2001). The importance of stretching the "X-Fador" in the downswing of golf: The "X-Factor Stretch." In P.R. Thomas(Eds.). Optimizing performance in golf. Brisbane, Australia: Australian Academic Press, 192-199. 

  23. Fujimoto, K.(1995). Determin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golf swings used by elite golfers. Graduare School of Oregon State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4. Heuler, O.(1996). golf swing basics(E. Reinersmann, Trans.). New York; Sterling Pub. Co. 

  25. Mclean, J.(1992). Widen the gap. Golf Magazine. 

  26. McTeigue, M., Lamb, S. R., Mottram, R., & Pirozzolo, F.(1994). Spine and hip motion analysis during the golf swing. Science and Golf II: Proceedings of the World Scientific Congress of golf. 50-58. 

  27. Milburn, P.D.(1982). Summation of segmental velocities in the golf sw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4(1), 60-64. 

  28. Plagenhoef, S.(1983). Biomechanics of golf. Science in Sports Series, Delmar:Academic Publishers. 

  29. Vaughan, C.L.(1981).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Fauces and Torques Applied by a Golfer during the Downswing. International Series on Biomechanics, 3B(VII-B), 325-331. University Park Press, Baltimo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