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산만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 패턴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5 no.3 = no.38, 2009년, pp.179 - 185  

곽석남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허성회 (부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산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패턴을 2007년도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5종, 갈조류 8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그리고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종들은 수직분포가 뚜렷하였는데, 조간대 상부에는 U. pertusa, G. divaricatum가, 중부에는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G. divaricatum이 우점하였다. 한편 하부에는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C. pilulifera이 주로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38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에는 28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4, 6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1,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지도 및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지형적인 차이 및 조류, 해수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해양학적인 특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in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throughout 2007. A total of 42 species, 5 Chlorophyta 8 Phaeophyta and 29 Rhodophyta were recorded, and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aims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in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and to compare results between this study and other areas in the southern sea, Ko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ney, D. P.(1977), R & C/P: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ournal of Phycology. Vol. 13S, pp. 129. 

  2. Choi, C. G. and S. H. Huh(2008), Composition of marine algal community at the intertidal zone in Gwangyang Bay, South Sea,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41, pp. 201-207. 

  3. Choi, D. S.(1992), On the state of marine algae resources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etine of Institute Literature Environment. Vol. 9, pp. 81-103. 

  4. Diez, I., A. Secilla, A. Santolaria and J. M. Gorostiaga (1999), Phytobenthic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Journal of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38, pp. 463-472. 

  5. Dring, M. J.(198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Edward Arnold Press, London, UK, pp. 185. 

  6. Duxburg, A. C. and A. B. Duxburg(1991), Ocean. William C. Brown Publishers, Dubuque, pp. 417. 

  7. Feldmann, J.(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Vol. 10, pp. 339. 

  8. Ju, J. K., B. G. Hwang and J. R. Lee(2000), Water-quality prediction using a eutrophication model. Proceeding of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pp. 351-353. 

  9. Kim, D. M. (2003), Ec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Masan Ba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Vol. 12, pp. 841-846. 

  10. Kim, K.Y., S. H. Huh and G. H. Kim(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sublittoral macroalgae around Daedo island, the south coast of Korea. Algae, Vol. 11, pp. 171-177. 

  11. Kwak, S.N.(2009).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intertidal zone in 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pp. 99-104. 

  12. Lee, D. I. and C. G. Park.(2003), The Ec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total allowable pollutant loading capacity in Masan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19, pp. 575-583. 

  13. Lee, I. K. and J. W. Kang(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hycology, Vol. 1, pp. 311-325. 

  14. Lee, I.K. and Y.H. Kim (1977),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yang Bay. 3. The marine algal flora. Proceeding College Natu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Vol. 2, pp. 113-153. 

  15. Lee, I. K, Y. H. Kim, J. H. Lee and S.W. Hong(1975),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Kwangyang Bay. 1.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Korean Journal of Botany, Vol. 18, pp. 109-121. 

  16. Lee, Y. P. and S. Y. Kang(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pp. 662. 

  17. Oh, H. T., J. H. Goo, S. E. Park, Y. S. Choi, R. H. Jung, W. J. Choi, W. C. Lee and J. S. Park(2005), Analysis of water quality caused by improvem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in Masan Ba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Vol. 14, pp. 777-783. 

  18. Round, F. E.(1981), The Ecology of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p. 653. 

  19. Segawa, S.(1956), Coloured l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ication Co., Osaka, Japan. pp. 195. 

  20. Shepherd, S. A. and H. B. S. Womersley(1981), The algal and seagrass ecology of Waterloo Bay, South Australia, Aquatic Botany, Vol. 11, pp. 305-371. 

  21. Song, C. B.(1986), An ec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croalgae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Phycology. Vol. 1, pp. 203-223. 

  22. Terawaki, T., H. Hasegawa, S. Arai and M. Ohno (2001), Management-free techniques for restoration of Eisenia and Ecklonia beds along the central Pacific coast of Japan. Journal Applied Phycology. Vol. 13, pp. 13-17. 

  23. Vadas, R. L. and R. S. Steneck(1988), Zonation of deep water benthic algae in the Gulf of Maine. Journal of Phycology, Vol. 24, pp. 338-346. 

  24. Wells, E., Wilkison, P. Wood and C. Scanlan(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5, pp. 151-161. 

  25. Zhuang, S. H. and M. Zhang(2001), Biodiversity investigation: The Biodiversity in Intertidal Zone of Yantai Littoral Regions. Shandong Map Press, Jinan, pp. 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