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안 중부의 저서 해조류 군집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2 = no.67, 2015년, pp.119 - 129  

이재일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현겸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동해지사) ,  유경동 (생태기술연구소) ,  윤희동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영환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의 축산항 지역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별로 조간대와 조하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밝혀진 해조류는 총 98종(녹조류 13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2종)이었고, 조사시기별로는 33~63종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녹조류 2종(구멍갈파래, 떡청각), 갈조류 3종(참그물바탕말, 톳, 왜모자반), 그리고 홍조류 11종(작은구슬산호말, 혹돌잎, 참도박, 참지누아리, 붉은까막살, 진분홍딱지, 진두발, 잔금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의 16종은 모든 조사시기에 관찰되었다. 해조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평균 $629.68g\;dry\;wt\;m^{-2}$이었으며, 계절별로 $119.30{\sim}1,660.96g\;dry\;wt\;m^{-2}$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지역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조간대에서 작은구슬산호말과 모자반류, 조하대 1 m에서 모자반류, 5 m에서 모자반류와 무절산호조류 그리고 10 m에서 무절산호조류로 대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Chuksa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July 2007 to May 2009. Ninety-eight seaweed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3 green, 23 brown and 62 red algal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found ranged between 33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해 중부의 축산항 주변 조간대와 조하대의 해조류 분포를 2년간 계절별로 조사하여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o, S. M.(1988),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from shore area of Chejudo. J. Cheju Studies Vol. 5, pp. 97-114. 

  2. Cheney, D. P.(1977), R&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J. Phycol. Vol. 13(suppl.), p. 129. 

  3. Choi, C. G., S. N. Kwak and C. H. Sohn(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1, No. 4, pp. 463-470. 

  4. Guiry, M. D. and G. M. Guiry(2015), Algaebase (http://www.algaebase.org) 

  5. Kang, J. W.(1965), Marine algae of Ulrungdo Island in Japan Sea. Bull. Pusan Fish. Coll. Vol. 6, pp. 41-58, 1 pl. 

  6. Kang, J. W.(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Vol. 7, pp. 1-125, 12 pls. 

  7. Kang, J. W. and G. H. Park(1969), Marine algae of Dok-do (Liancourt Rocks) in the Sea of Japan (I). Bull. Pusan Fish. Coll. Vol. 9, pp. 53-62, 2 pls. 

  8. Kim, Y. H. and S. I. Choi(1995), Effects of Cooling System at Power Plant on Marine Algal Vegetation. Korean J. Phycol. Vol. 10, No. 2, pp. 121-141. 

  9. Kim Y. H., J. H. Lee and C. S. Rho(1980), On the marine algae in Onsan Area, Esat Coast of Korea 2. Seasonal variation. Korean J. Bot. Vol. 23, No. 2, pp. 61-67. 

  10. Lee, I. K. and J. W. Kang(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Vol. 1, No. 1, pp. 311-325. 

  11. Lee, I. K. and Y. H. Kim(1999),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arine Benthic Organisms and Uses of Algal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Korea and Japan. I.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14, No. 2, pp. 91-110. 

  12. Lee, S. Y., J. W. Lee and H. B. Lee(1997), Marine Benthic Algal Flora of Yongil Bay and its Adjacent Areas, the Eastern Coast of Korea. Algae Vol. 12, No. 4, pp. 303-311. 

  13. MOF(2002), Cause of Phenomena of Getnokgum and the Way to conthrol it. p. 263. 

  14. Nam, K. W. and Y. S. Kim(1999),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Vol. 32, No. 3, pp. 374-384. 

  15. NFRDI(2007a), Marine Forest Establishment on the Cross-typed Artificial Seaweed Reefs. National Fisheries R&D Institute, p. 162. 

  16. NFRDI(2007b), Marine Forest Establishment on the Box-typed Artificial Seaweed Reefs. National Fisheries R&D Institute, p. 160. 

  17. NFRDI(2007c), A Study on Restoration of Barren Ground in Jeju island. p. 41. 

  18. NFRDI(2008), Report on the Marine Forest Establishment. p. 172. 

  19. NFRDI(2009), Study on the status of whitening occurrence in the water of Korea. p. 130. 

  20. NIBR(2013),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Marine Alg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336 pp. 

  21. Noda M. and J. W. Kang(1964), Notes on the marine algae of Woolyungdo Island in the Japan Sea. Bull. Jap. Soc. Phycol. Vol. 12, pp. 39-43, 1 pl. 

  22. Park, G. J. and C. G. Choi(2009),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Benthic Marine Algae in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Vol. 42, No. 6, pp. 664-673. 

  23. Shin, J. D., J. K. Ahn, Y. H. Kim, S. B. Lee, J. H. Kim and I. K. Chung(2008),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Daejin and Jukbyeo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3, No. 3, pp. 231-240. 

  24. Shin, J. D., J. K. Ahn and Y. H. Kim(2011), Structure of the Subtidal Marine Plant Community on the East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Vol. 44, No. 1, pp. 85-94. 

  25. Sohn, C. H., I. K. Lee and J. W. Kang(1982),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Publ. Inst. Mar. Sci. Nat. Fish. Univ. Busan Vol. 14, pp. 37-50. 

  26. Sohn, C. H., C. G. Choi and H. G. Kim(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2, No. 1, pp.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