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대외지향적 성장정책을 추구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 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대외교역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항만산업의 발전은 자체적인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창출효과 이외에도 국민경제 전반의 물류효율화 및 물류비절감에 기여함으로써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항만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인식은 대체로 낮은 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산업의 발전여건은 상당히 열악한 편이며 특히 우리나라 주요 선사들의 선박확보량을 감축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관련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국가의 기반산업을 시장논리로만 접근할 경우 시장실패시치러야할 대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자체적인 항만산업을 유지하고 발전없이 외국에 의지할 경우, 국가비상시의 수송수단 확보, 외국업체들의 담합에 의한 운임상승, 국내하주들의 안정적인 운송수단 확보 등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될 경우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수 있다. 정부와 관련업계는 컨테이너 화물 유치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적극적인 항만마케팅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에 힘쓰는가 하면 항만배후지역을 보세구역화하여 수출입물량의 가공, 포장 등을 통해 재수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대외지향적 성장정책을 추구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 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대외교역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항만산업의 발전은 자체적인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창출효과 이외에도 국민경제 전반의 물류효율화 및 물류비절감에 기여함으로써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항만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인식은 대체로 낮은 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산업의 발전여건은 상당히 열악한 편이며 특히 우리나라 주요 선사들의 선박확보량을 감축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관련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국가의 기반산업을 시장논리로만 접근할 경우 시장실패시치러야할 대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자체적인 항만산업을 유지하고 발전없이 외국에 의지할 경우, 국가비상시의 수송수단 확보, 외국업체들의 담합에 의한 운임상승, 국내하주들의 안정적인 운송수단 확보 등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될 경우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수 있다. 정부와 관련업계는 컨테이너 화물 유치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적극적인 항만마케팅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에 힘쓰는가 하면 항만배후지역을 보세구역화하여 수출입물량의 가공, 포장 등을 통해 재수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Korea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by pursuing externally-oriented growth policy since 1960s. That is, we imported raw materials and spare parts, manufactured them into products and exported them, which led to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our marine business has played an importan...
Korea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by pursuing externally-oriented growth policy since 1960s. That is, we imported raw materials and spare parts, manufactured them into products and exported them, which led to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our marine busines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one of key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marine business has contributed to efficient distribution and cost reduction in addition to produc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employment creation, which improved external competitive power. In spite of economic importance of marine business, national perception on it is in general low and its developmental conditions are considerably po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the effect of Port-related business on regional economy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Korea has achieved a remarkable growth by pursuing externally-oriented growth policy since 1960s. That is, we imported raw materials and spare parts, manufactured them into products and exported them, which led to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our marine busines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one of key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marine business has contributed to efficient distribution and cost reduction in addition to produc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employment creation, which improved external competitive power. In spite of economic importance of marine business, national perception on it is in general low and its developmental conditions are considerably po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the effect of Port-related business on regional economy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 · 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지역분권화 등 지방화 시대 도래와 함께 최근 지역균형발전이 국가적 관심사로 대두 되고 있는데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개발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내의 산업간 또는 타 지역과의 산업간에 상호연관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 및 지역간 재화와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냄으로써 지역별 경제구조, 산업간 및 지역간 상호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반면 농촌 지역에서는 이와 반대 현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상품의 거래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지역산업연관분석은 이러한 지역간의 상이한 생산기술구조와 거래형태를 반영하여 지역간 및 산업부문간의 상호연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2. ( )안은 지역별 비중임.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상의 통합소분류(168부문)를 기본으로 하되, 각종 법률 규정과 통계청 분류를 참고하여 선박(117부문), 기타수송장비(121부문), 운수부문에 철도운송(137부문), 도로운송(138부문), 수상운송(139부문), 항공운송(140부문)부문을 포함시키고, 운수보조서비스(141부문), 하역(142부문), 보관 및 창고(143부문), 기타운수관련서비스(144부문)로 항만산업과 관련된 산업까지 고려하였다.
해운산업 및 관련서비스산업과 타산업간의 파급효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산업통합분류 28×28거래표에 산업기본분류 402×402 중 해운산업(주로 외항운송)과 관련 서비스산업의 12부문을 포함시켜 40×40의 거래표를 새로 적성하여 분석하였다.
은 1998년의 해양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 그리고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특히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공급지장효과, 물가파급효과에서는 해양산업의 산출이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외한 외생화의 방법을 사용하여 경제내 타 부분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철도운송부문과 항공운송부문은 각각 가장 높은 생산유발계수와 수입유발계수를 기록하였다. 국내 수송수단별, 즉 도로운송, 철도운송, 항공운송, 우리나라의 연안 및 내륙 수상운송 부문의 타산업과의 경제적 연관성과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연안 및 내륙수송부문의 국민경제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성능/효과
는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영향력계수면에서는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부문이 1990년과 1995년에도 운송부문 중에서 가장 높았으나 2000년에는 철도화물운송부문의 영향력계수가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부문이 높았다.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부문의 감응도계수는 같은 기간에 운송부문 중에서 가장 낮았고, 도로화물운송부문은 가장 높은 감응도계수를 보였다. 철도운송부문과 항공운송부문은 각각 가장 높은 생산유발계수와 수입유발계수를 기록하였다.
지역별 총공급구조를 살펴보면 총공급중 지역내 공급(산출액) 비중은 수도권(75.6%)이 가장 높으며 타지역으로부터의 공급(이입) 비중은 강원권(24.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공급(수입) 비중은 경남권(12.2%)이 가장 높았다.
총공급에 대한 지역별 총수요구조를 살펴보면, 총수요중에서 지역내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강원권(78.7%)이 타지역에 비해 가장 높으며, 지역내 수요중에서 중간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경남권(42.3%), 최종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강원권(46.0%)이 각각 높았다. 그리고 총수요 중에서 타지역 수요(이출) 비중은 충청권(24.
2003년중 전국 총산출액(1,740조 9,453억원)이며, 각 산업의 지역별 산출액 비중을 살펴보면 농림어업은 전라권, 광업은 강원권, 제조업 및 서비스업은 수도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781조 8,493억원)이 44.9%, 경남권(336조 566억원) 19.3%, 전라권(201조 4,858억원) 11.6%, 충청권(186조 9,127억원) 10.7%, 강원권(42조 7,575억원) 2.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8%)의 비중을 보였다. 각 지역의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지역에서 서비스업의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은 가운데 경남권과 경북권은 제조업의 취업자 비중이, 전라권과 충청권은 농림어업의 취업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 지역별 수출액을 살펴보면, 수도권(117조 2,297억원)이 43.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남권(71조 8,086억원) 26.4%, 경북권(34조 2,163억원) 12.6%, 충청권(24조 6,468억원) 9.1%, 전라권(23조 3,329억원) 8.6%, 강원권(8,447억원) 0.3%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는 농림수산품은 경남권, 공산품 및 서비스는 수도권의 수출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는 농림수산품은 경남권, 공산품 및 서비스는 수도권의 수출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1) 지역별 수출액은 통관지역이 아니라 수출품의 생산지역을 기준으로 추계되었으며, 가격은 FOB가격 기준임.
1%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는 광산품을 경남권이 가장 많이 수입하였고, 농산품과 공산품 및 서비스는 수도권의 수입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1) 지역별 수입액은 통관지역이 아니라 수입품의 소비지역을 기준으로 추계되었으며, 가격은 CIF가격 기준임.
생산활동을 위해서 다른 지역으로부터 중간재를 구입하는 정도를 지역간 후방연관성이라고 하고 완성된 생산물을 다른 지역에 중간재로 판매하는 정도를 지역간 전방연관성이라고 한다. <표 8>을 통해 지역간 후방연관성을 살펴보면, 강원권이 32.5%로 가장 높은 반면 수도권은 17.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경남권과 전라권에 대한 후방연관성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수도권에 대한 후방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비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경남권에 대한 전방연관성이 가장 높고 경북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수도권에 대한 전방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권의 경우에는 수도권보다 경남권에 대한 전방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에서 지역별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강원권(항공운송/0.4422)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수상운송의 수입유발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 수입유발계수가 가장 낮은 산업도 마찬가지로 강원(기타수송장비/0.0)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운수보조서비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를 통해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살펴보면, 전지역에서 운수보조서비스의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수도권에서 0.9421, 강원권에서 0.8843, 충청권에서 0.855, 전라권에서 0.8709, 경북권에서 0.861, 경남권에서 0.9225이다.
<표 10>을 통해 지역내 생산유발효과의 경우를 살펴보면, 수도권은 기타수송장비(1.6278)와 기타운수관련서비스(1.5130), 강원권은 하역(1.3482)과 기타운수관련서비스(1.3357), 충청권은 하역(1.3206)과 철도운송(1.3051), 전라권은 기타수송장비(1.4038), 경북권은 선박(1.4551), 경남권은 기타수송장비(1.545)와 철도운송부문(1.5331)이 각각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타지역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은 선박(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어떤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 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대외교역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항만산업의 발전은 자체적인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창출효과 이외에도 국민경제 전반의 물류효율화 및 물류비절감에 기여함으로써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항만산업의 범주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항만산업의 분류는 자료출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항만산업의 범주는 항만운송사업법1)에 의한 항만운송사업(항만하역사업·검수사업·감정 사업·검량사업)과 항만운송관련사업(항만용역업·물품공급업·선박급유업·컨테이너수리업), 항만법2)상의 예선업, 유선 및 도선사업법3)상의 도선업 역시 항만산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생산유발계수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가?
투입계수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최종수요가 발생하였을 경우 각 지역 및 산업부문으로 파급되는 생산유발효과의 크기를 계측하는게 이용되는 매개변수이다. 그러나 산업 부문수가 많은 경우 투입계수를 매개로하여 무한히 계속되는 생산파급효과를 일일이 계산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행렬이라는 수학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계산하게 되는 이것이 바로 생산유발계수이다.
참고문헌 (24)
곽승준.유승훈.장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pp. 1-31.
김경수, “강원지역의 지역내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4, pp. 1727-1753.
김명호.정분도,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8권 제4호, 국제 e-비즈니스학회, 2007, pp. 213-227.
김안호.기성래, “자동차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4, pp. 1057-1075.
박종삼, “글로벌 네트워크 환경하의 물류유통시장의 경영전략,” 물류학회지, 제17권 제2호, 한국물류학회, 2007, pp. 85-105.
조계석.박용안.전형진,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기본연구 2000-0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0.10.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4.
한국은행,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2007.
Leontief, W., Environmental repercussions and the economic structure: an input- output approac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No.3, 1970, pp. 262-27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