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량충격원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판의 차음특성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Evaluation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Concrete Floor Structures in Response to Characteristics of Heavy-weight Impact Sources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19 no.10 = no.151, 2009년, pp.1062 - 1068  

유승엽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환경공학과) ,  연준오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환경공학과) ,  전진용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impact force levels of bang machine and impact ball were measured, then the heavy-weight impact sounds generated by the bang machine and impact ball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heavy-weight impact sources generated through modal excitation, and the impact force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바닥판의 동특성(impedance 등)과 충격력 특성을 반영한 예측방법들이 Nightingale(7) 등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중량충격원을 적용했을 때 발생되는 충격음압 레벨과 바닥구조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우선 표준 중량충격원의 충격력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충격원 변경에 따른 바닥충격음 평가방법에 대해서 국내 실정을 감안하여 분석하였다.
  • 위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주파수 대역별 충격음 레벨 차이는 충격력 레벨차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바닥구조 및 측정환경에 의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충격원 간 차이를 통해 바닥구조 개발에 있어 각 충격원 별 현장 바닥충격음 평가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바닥판은 2,400 kg/m3의 밀도를 가지는 210 kg/cm2의 철근콘크리트로 모델링하였으며 Shell 요소를 사용하여 바닥판을 모델링 하였다. 내력벽체로 되어 있는 경계부는 clamped로 그 밖의 개구부 경계조건은 free로 가정하였다. 모델링된 거실바닥판 중앙부를 중량충격원으로 가진하였을 때, 바닥판 진동응답을 과도해석(transient analysis)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물의 성능개선을 위해 늘고 있는 것은? 건축물의 성능개선을 위해 재료, 구조, 환경 등에 대한 통합적인 요구증가를 통한 건축부재의 복합 시스템 설계 및 시공이 늘고 있다. 최근 층간소음 문제가 공동주택의 고층화와 더불어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복합바닥구조의 동적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어떤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가? 2004년 부터 국내에서는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성능인정’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2009년 2월 현재 총 161개의 바닥구조가 인정구조로 등록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중량충격음 1, 2등급에 해당하는 바닥구조가 전체의 20 %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중량충격음 제어를 위한 관련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eon, J. Y., 2008, “Report of the Standardiz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No. 10023489),”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Korea 

  2. Jeon, J. Y., Ryu, J. K., Jeong, J. H. and Tachibana, H., 2006, “Review of the Impact Ball in Evaluating Floor Impact Sound,” Acta Acustica United with Acustica, Vol. 92, No. 5, pp. 777-786 

  3. Jeon, J. Y., Lee, P. J., Jeong, J. H. and Park, J. H., 2006, “Comparison of Standard Floor Impact Sources with a Human Impact Sourc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6, No. 8, pp. 789-796 

  4. Seo, S. H., Song, S. H. and Jeon, J. Y., 2004, “Nois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Concrete Floor Structures Using Resilient Materials Driven by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4, No. 8, pp. 661-667 

  5. Murakami, T. and Tanaka, M., 2004,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Floor Impact Sound Level Using the Standardized Rubber Ball,” GBRC, Vol. 116, pp. 25-33 

  6. Jeon, J. Y., Lee, P. J. and Sato, S., 2009, “Use of the Standard Rubber Ball as an Impact Source with Heavyweight Concrete Floor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26, No. 1,pp. 67-178 

  7. Zeitler, B. and Nightingale, T., 2008, “Impedance of Standard Impact Sources and Their Effect on Impact Sound Pressure Level of Floor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23, No. 5, p. 3358 

  8. Kim, K. W., Choi, H. J., Choi, G. S., Kang, J. S. and Yang, K. S., 2005, “Impact Power Characteristics of Walking for Adults,”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pp. 789-7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