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PD분자마커를 이용한 칡(콩과) 및 근연분류군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and Pueraia lobata Ohwi (Fabaceae) and Related Taxa by RAPD Make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5, 2009년, pp.446 - 453  

김동갑 (경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대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융합연구본부 당뇨합병증연구센터) ,  김진숙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융합연구본부 당뇨합병증연구센터) ,  김주환 (경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콩과에 속하는 칡 1종의 13집단과 근연분류군 2종의 4집단 등 총 17개의 개체군에 대하여 유전적 유연관계 및 종간 특이적인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분자마커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15개의 oligo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200 bp에서 2,800 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이중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는 총 208개, monomorphic bands는 3개를 확인하였으며, 칡의 종 특이적 분자마커는 4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칡속의 17개 개체군 집단에 대한 UPGMA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UPGMA phenogram에서 한국산 칡 9개체군과 국외산 칡 3개체군이 각각 독립적인 두 개의 작은 유집군을 형성하였으며, 이후 두 유집군이 하나로 크게 유집되어 다른 칡 근연분류군과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칡과 근연분류군간의 유연관계 분석 및 한국산과 국외산 집단의 원산지판별에 매우 유용한 분자마커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D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genetic relationships and useful molecular maker for 3 species and their 17 regional populations of the Pueraria lobata and related taxa. The length of amplified DNA fragments ranged from 200 to, 2,800 bp. Two hundred and eight scorable polymorphic mak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칡 및 근연분류군간의 유연관계를 확인하기위하여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분자마커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상기한 바와 같이 칡 및 근연분류군에 대하여 종내, 종간의 개체군 사이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고 종내, 종간의 분자유전학적 유연관계 및 분자마커를 조사하기 위해 칡과 근연분류군에 대하여 국내외 지역별 개체군을 대상으로 채집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칡은 한국에서 채집․확보된 9개 자연집단과 베트남과 중국에서 직접 채집한 2개 집단을 이용하였으며, 시중에서 한약재(갈화)로 유통 중인 국내산(PSPK)과 중국산(PSPC01)을 확보하여 원산지의 진위여부 판별에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근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예로부터 칡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중요한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고, 한약명으로는 사용부위에 따라 갈근, 갈화라고 한다. 우선 갈근(Puerariae Radix)은 껍질을 제거한 뿌리를 절편으로 건조한 것을 이용하며 해열, 발한 등의 감기약으로 사용하거나, 편두통, 진경작용, 편도선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꽃은 갈화(Puerariae Flos)라 하여 주독치료에 사용된다(Yuk, 1989). 개보본초에는 칡의 생즙을 먹으면 소아의 열병을 다스리며, 명의별록에 의하면 칡잎은 금상과 지혈에 유용하다 기록된 것으로도 보고되어있다(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1987; Society for the research of pharmacognosy, 1998).
대표적인 칡의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칡의 대표적 성분으로는 isoflavonoid와 triperpenoids, polysaccharide 등이 있고, 갈근에 함유된 유효한 성분은 isoflavonoid 계열의 daidzein, daidzin, puerarin, puerarin7-xyloside 등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갈화에는 kakkatin 1, kakkalide, irisolidone, daidzein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Yang and Ko, 1994; 장상문 등, 1999). 또한, 이 성분들은 기원식물, 산지, 기후, 채취시기, 부위 및 조제방법에 따라 성분함량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칡은 어떤 영역에 분포하고 있는가? 칡(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식물로서 Pueraria속내 근연종에 약 17종이 분포하며, 중국에 약 1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칡은 한국, 중국, 만주, 대만, 극동러시아, 일본 등을 포함한 극동아시아의 온대영역에 폭넓게 분포한다. 예로부터 칡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중요한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고, 한약명으로는 사용부위에 따라 갈근, 갈화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S.-M., S.-H. Noh and S.D. Park. 1999. Herbal resources plant. Hakmunsa. Seoul. (in Korean) 

  2. Doyle, J.J. and J.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methods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tissues. Phytochemical Bulletin. 17: 144-163 

  3. Fu, C., Y. Qiu and H. Kong. 2003. RAPD analysis for genetic diversity in Changium smyrnioides (Apiaceae), an endangered plant. Bot. Bull. Acad. Sin. 44: 13-18 

  4. Junei, K., F. Juncihi, B. Junko, T. Takashi and Y. Masaki. 198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ueraria lobata. III. Chem. Pharm. Bull. 35: 4846-4850 

  5. Kang, I.H., J.H. Cho, D.H. Kim, Y.H. Shin, E.K. Kim, J.W. Kim, W.K. Hwang and H.Y. Choi. 2002. Monitoring on Endocrine Disruptors in Natural Medicines-Studies on Pesticide Residues in Natural Medicines. Kor. J. Herbology 17: 175-182. (in Korean) 

  6. Kim, B.M. and S.H. Yoon. 1988. Separation and Properties of crude $\beta$ -amylase from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Chung-ang Journal of Natural Science 2: 43-51. (in Korean) 

  7. Koichi, T. and I. Hideji. 1982. Isoflavonoids and the other constituents in callus tissues of Pueraria lobata. Chem. pharm. Bull. 30: 1496-1499 

  8. Lee, K.S., K.Y. Yim, W.Y. Choi and M.J. Oh. 198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rrowroot leaf proteins. Korean J. Food & Nutr. 14: 345-352. (in Korean) 

  9. Lee, S.W., D.K. Kim, H.C. Shin and J.H. Kim. 2005.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Neofinetia falcata (Thunb.) Hu (Orchidaceae),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The 60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vol. 9 Supplement 

  10.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1987. The Korea Pharmacopoeia 5 edit. Korea Medical Index. Seoul. (in Korean) 

  11. Nei, M. 1972.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Amer. Natur. 106: 283-292 

  12. Nybom, H. 1993. Applications of DNA fingerprinting in plant population studies in DNA fingerprinting: State of the Science, Burke, Dolf, T.G., A.J. Jeffreys and R. Wolff, Eds., Birkh user, Basal. pp. 293-309 

  13. Rohlf, F.J. 1989. NTsys-PC Numerical taxonomy and multivariat analysis systeme, version 1.50. Exeter pubi. New York 

  14. Sim, S.Y. 1983. Medicinal natural food. Changjosa. Seoul. (in Korean) 

  15. Society for the research of pharmacognosy. 1998. Modern pharmacognosy. Hakchangsa. Seoul. (in Korean) 

  16. Stiles, J.I., C. Lemme, S. Sondur, M.B. Morshildi and R. Manshardt. 1993.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for evaluating genetic relationships among papaya cultivars. Theor. Appl. Genet. 85: 697-701 

  17. Tae, K.H., D.K. Kim and J.H. Kim. 2005.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Korean Pinellia Tenore (Araceae) using RAPD markers. Kor. J. Plant Tax. 35: 161-174. (in Korean) 

  18. Tae, K.H., D.K. Kim and J.H. Kim. 2005.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RAPD Analysis. Korean J. Plant Res. 8: 135-144 

  19. Takashi, S., Akihiko K., Akira T., Yoshio T. and Tatsuzo F. 1992. Mechanism o fantioxidants action of Pueraria glycoside (PG)-1 (an isoflavonoids) and mangiferin (a Xanthonoid). Chem. Pharm. Bull. 40: 721-724 

  20. Williams, J.G.K, A.R. Kubelik, K.J. Livark, J.A. Rafalski and S.V. Tingey. 1990. DNA polymorphisms amplified by arbitrary primers are useful as genetic makers. Nucl. Acids. Res. 18: 6531-6535 

  21. Yang, S.K. and Y.S. Ko. 1994. Constituent of Pueraria mirifica root juice and Pueraria mirifica root extract.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12: 25-45. (in Korean) 

  22. Yang, Y.W., W.H.J. Kuo and T.H. Wong. 1998. Genetic polymorphism of seven popula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based on RAPD markers. Bot. Bull. Acad. Sin. 39: 17-21 

  23. Yuk, C.S. 1989.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book. Seoul.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