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수성 다당류 첨가가 녹두전분 겔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with Various Hydrocolloid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5, 2009년, pp.540 - 551  

최은정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명숙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containing various hydrocolloids (carrageenan, locust bean gum and xanthan gum)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25^{\circ}C$ for 24, 48 and 72 hours). Carrageenan and xanthan gum reduced the pa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다당류인 카라기난, 로커스트 빈검, 잔탄검을 녹두전분에 첨가하여 RVA에 의한 점도특성,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열역학적 호화특성을 구하고, 녹두전 분겔을 제조하여 상온저장 중의 색도, 텍스쳐, 관능특성 등을 조사하여 녹두전분의 호화특성 및 녹두전분겔의 물성,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당류의 첨가가 전분겔 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당류는 녹두 전분겔식품에 첨가해도 맛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다당류의 첨가가 전분겔 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은 논문이 발표되어 있다. Choo & Rhee(1991)에 따르면 옥수수 전분겔에 한천을 첨가하면 견고성은 증가하였으나 부착성은 감소하였고, pectin을 첨가하면 견고성은 감소하였으나 부착성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Park & Kim (1988)은 녹두 전분과 가교처리 옥수수전분의 혼합전분에 잔탄검과 로커스트빈검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녹두전분만으로 만든 묵과 비교한 결과 묵의 단단한 정도와 응집력의 차이가 감소하여, 다당류 첨가가 대체전분의 이용 가능성을 높여 줄 수 있다고 하였다. Liehr & Kuicke(1996)는 냉동해동 안정성이 매우 나쁜 감자전분에 ι-카라기난 또는 로커스 트빈 검을 첨가하면 냉동해동성이 개선되었다고 하였다. Lee 등(2002)은 여러 다당류검중 잔탄검이 고구마전분의 호화점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냉동해동 처리시 고구마전분 겔의 이장율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Mandala 등 (2004)은 잔탄검과 로커스트빈검의 첨가가 화이트 소스의 점도를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고, Huang 등(2007)은 0.2% 이하의 κ-카라기난과 0.3% 이상의 겔란검 첨가는 쌀전분 겔의 경도와 부착성을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 Choi & Yoo(2008)는 호화 고구마전분의 점조도와 점도가 구아검 및 로커스트빈검의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Song 등(2008)은 밀전분 및 옥수수전분의 호화시 최고점도와 최종점도가 겔란검과 구아검 첨가에 의해 상승하였고 잔탄검과 아라비아검 첨가에 의해 저하하였으며 대부분의 검이 안티 에이징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등의 친수성 다당류가 전분겔의 품질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녹두전분에 이들 친수성 다당류를 적용한 연구는 그다지 수행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녹두전분겔을 이용한 식품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전분겔식품은 건강식품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학문적 뒷받침과 다양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면 세계화 가능성이 있는 식품으로 생각되며(Shin 2008), 특히 녹두전분겔은 풍미가 부드럽고 탄력성이 높으며, 투명한 외관으로 기호도가 높아 가장 유망한 식품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녹두전분겔을 이용한 식품으로는 녹두전분을 호화, 겔화시켜 만드는 청포묵과 모과, 오미자 등의 즙을 내어 그즙에 설탕이나 꿀을 넣고 졸이다가 녹두전분을 넣고 호화, 겔화시킨 모과편, 오미자편 등의 과편을 들 수 있으며, 녹두 전분겔의 우수한 특성은 우리나라 뿐아니라 태국 등의 동남아시아에서도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Hongsprabhas 2007). 그러나 녹두전분은 겔화가 잘 되고 겔특성이 우수하지만 노화되기 쉬워(Kim 등 2003) 저장에 의해 겔이 푸석푸석해지고 백탁이 일어나므로(Choi 2002), 녹두전분 겔의 텍스쳐와 풍미, 그리고 저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분겔은 무엇이 중요한가? 그러나 녹두전분은 겔화가 잘 되고 겔특성이 우수하지만 노화되기 쉬워(Kim 등 2003) 저장에 의해 겔이 푸석푸석해지고 백탁이 일어나므로(Choi 2002), 녹두전분 겔의 텍스쳐와 풍미, 그리고 저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분겔은 제조직후의 품질이 좋아야 하며, 더불어 저장 시간이 경과해도 품질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각종 첨가물을 첨가하던지, 전분을 변성시켜 천연 전분에 없는 새로운 성질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Lee & Shin 1994; Lee & Shin 1995; Lee & Shin 1996; Lee & Kim 1998; Ku 등 2002; Kim 등 2002; Choi & Oh 2004; Cho & Choi 2007). 전분겔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는 유지, 유화 제, 단백질, 당류 등이 있는데 그 영향은 전분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르며 연구자에 따라서 상반된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다(Park & Kim 1988; Joo & Chun 1991; Choo & Rhee 1991; Chang & Liu 1991; Joo & Chun 1992; Katsuda 등 1992; Inaba 등 1995; Mun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ACC. 2000. Approved Method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Chang SM, Liu LC. 1991. Retrogradation of rice starches studi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influence of sugars, NaCl and lipids. J. Food Sci., 56(2):564-566 

  3. Cho SA, Yoo BS.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sucrose composi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184-189 

  4. Cho Y, Choi MY. 2007.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mook with addit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346-353 

  5. Choi EJ. 2002. Studies on gelling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by addition of ingredients. Doctorate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 26-27 

  6. Choi EJ, Oh MS. 2004.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with soy bean oil and sucrose fatty acid ester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J. Korean Home Econ. Asso., 42(2):213-227 

  7. Choi HM, Yoo BS. 2008. Rheology of mixed systems of sweet potato starch and galactomannans. Starch, 60(5):263-269 

  8. Choo NY, Ahn, SY. 1995.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nd its ge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1017-1027 

  9. Choo NY, Rhee HS. 1991.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corn starch gels by various types of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2):19-23 

  10. Hongsprabhas P. 2007. On the gelation of mungbean starch and its composites. Int. J. Food Sci. Tech., 42(6):658-668 

  11. Huang M, Kennedy JF, Li B, Xu Xiao, Xie BJ. 2007. Characters of rice starch gel modified by gellan, carrageenan, and glucomannan: A texture profile analysis syudy. Carbohydrate Polymers, 69(3):411-418 

  12. Inaba H, Hoshizawa M, Fujiwara A, Matsumura Y, Mori T. 1995. Textural properties of starch gels filled with collagen and chitin. J. Texture Studies, 26(5):577-586 

  13. Joo NM, Chun HJ. 1991.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I). Korean J. Soc. Food Sci., 7(4):63-69 

  14. Joo NM, Chun HJ. 1992.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II). Korean J. Soc. Food Sci., 8(1):21-25 

  15. Katsuda K, Miura M, Nishimura A. 1992. Kinetic treatment for rheological properties and effects of saccharides on retrogradation of rice starch gel. Food Hydrocolloids, 6(2):187-194 

  16.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yellow soybean powder an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8(6):567-572 

  17. Kim BS, Jeong MR, Lee YE.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hwakwa-pyun with various starch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83-793 

  18. Ku MY, Lee JK, Kim KS. 2002.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bu-mook (cowpea starch gel) by the addition of soybean oil and salt. Korean J. Food Cookery Sci., 18(3):275-279 

  19. Kwon JY, Song JY, Shin MS. 2005. Characteristics of non-waxy rice starch/gum mixture gel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042-949 

  20. Lee HA, Kim NH. 1998. Effect of saccharides on texture and retrogradation of acorn starch gels. Korean J. Food Technol., 30(4):803-810 

  21. Lee MH, Baek MH, Cha DS, Park HJ, Lim ST. 2002. Freeze-thaw stabilization of sweet potato starch gel by polysaccharide gums. Food Hydrocolloids, 16(4):345-352 

  22. Lee SK, Shin MS. 1994.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defatted and lipid-reintroduced starch gels. Korean J. Soc. Food Sci., 10(2):87-93 

  23. Lee SK, Shin MS. 1995.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ixed starch gels with various additi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928-933 

  24. Lee SK, Shin MS. 1996.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corn and mungbean starch gels with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12(2):193-199 

  25. Liehr M, Kuicke WM. 1996. Rheologische untersuchungen zum einfluβ von hydrokolloiden auf die gegrier-tau-stabilitat von starkekleistern. Starch, 48(2):52-59 

  26. Mandala IG, Savvas TP, Kostaropoulos AE. 2004. Xanthan and locust bean gum influence on the rheology and structure of a white model-sauce. J. Food Eng., 64(3):335-342 

  27. Mun SH, Kim JO, Lee SK, Shin MS. 1996. Retrogradation of sucrose fatty acid ester and soybean oil added rice flour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305-310 

  28. Park OJ, Kim KO. 1988. Effects of added corn starches and hydrocolloid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and the mook (starch gel).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618-624 

  29. SAS. 2005.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Ver.9.1. Cary, NC. USA 

  30. Shin DH. 2008. Current status and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traditional ethnic food. Food Sci. Ind., 41(3):2-22 

  31. Song JY, Kim YC, Shin MS. 2008. Textural properties and structures of wheat and maize starch-gum mixed gels during storage. Food Sci. Biotechnol., 17(1):20-25 

  32. Stone H, Sidel J. 1997.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140-150 

  33. Sudhakar V, Singhal RS, Kulkarni PR. 1992 Starch-gum interaction: Formulations and functionality using amaranth/corn starch and CMC. Starch, 44(10):369-378 

  34. Watanabe Y. 1998. Firm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ood. Nippon Shokuhin Kagaku Kaishi, 45(5):287-293 

  35. Wilson LA, Birmingham VA, Moon DP, Snyder HE. 197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 from mature soybeans. Cereal Chem., 55(5):661-670 

  36. Yamamoto K. 1981. Studie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J. Jap. Soc. Starch Sci., 28(3):206-2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