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유지형태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 응력분석
3-D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in screw-type, cement-type, and combined-type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7 no.4, 2009년, pp.365 - 375  

이성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치과학대학원 치과보철학과) ,  김석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치과학대학원 치과보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형태 중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경우 나사 풀림력 등에 영향을 주는 임플란트 구성 성분의 응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유지형태, 즉, 시멘트 유지와 나사 유지, 그리고 이 두 가지 유지형태가 서로 연결된 혼합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응력분산의 특징들을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에서 제1소구치 부위와 제1대구치 부위에 2개의 임플란트 (SS II, Osstem Co. Ltd., Seoul, Korea)를 식립한 가상의 3본 계속가공의치를 모델화하였다. 지대주 종류와 그 위치에 따라, 4가지 모형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모형 1은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동일한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합착시킨 경우이고, 모형 2는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며, 모형 3은 제1대구치의 고정체에는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를 장착하고, 제1소구치에는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장착한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각각 시멘트 합착 및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다. 그리고 모형 4는 모형 3에서 각각 제1대구치 및 제1소구치의 지대주를 맞바꾼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 및 시멘트로 고정시킨 경우로 나누었다. 평균저작압인 하중을 대구치 565 N과 소구치 288 N의 힘으로 설정하고 수직방향으로 중심와와 협측 교두정에, 그리고 $30^{\circ}$ 경사 하중을 협측 교두정 부위에 준 다음 골, 고정체, 지대주, 그리고 지대주 나사 등에 나타나는 von-Mises stress 양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네 가지 모형 중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 사용한 모형 2가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안정적인 응력 분포를 보였다. 네 가지 모형 모두 피질골 및 고정체에 미치는 응력 크기 및 분포는 거의 유사하며, 치조골에 작용하는 응력은 하중의 종류와 상관없이 주로 피질골에 집중되었다. 지대주, 지대주 나사, 그리고 보철물 나사 등에 미치는 응력 크기나 분포는 모형에 관계없이 나사 유지형인 경우가 시멘트 유지형인 경우에 비해 낮은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의 상부 구조물의 차이에 의한 교호작용 (reciprocal action)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모든 부위에서 중앙 수 직하중, 교두정 수직하중, 그리고 교두정 경사하중의 순으로 응력값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유한 요소실험의 한계내에서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시멘트 유지형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위에 더 큰 응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적인 passive fit의 가정하에서 나사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본체와 주위에 가장 작은 응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ment of problems: Stress analysis on implant components of the combined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has not investigated ye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mplant prostheses with the different prosthodontic reten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14 그러나,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의 혼합형 보철물의 경우 교합력이 작용할 시 임플 란트 보철물 주변에서 나타나는 그 응력 분포 양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가운데 pontic이 있는 3본 금합금 계속가공의치를 설계하고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 그리고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이 혼합된 상태에서의 임플란트 보철물들의 응력분포양상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한 결과는 임상에서 적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실제 골에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변화 등이 야기하는 응력의 수치와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29 그리고 완전한 passive fit은 실제 임상에서는 실현하기 어려운 조건인데도 이번 실험에서는 이상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가정하였고, 나사에 torque를 가해 고정체에 연결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재현하는 것은 아직까지는 불가능하다고 보고되고있다.30
  • 모든 임프란트 보철물들간의 fit은 ideal passive fit으로 가정한 상황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형태 중 나사 유지형은 어떤 단점을 지니고 있는가?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형태는 크게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으로 나누어 진다. Branemark 임플란트 시스템의 초기 보철물의 형태는 대부분 나사 유지형이었고,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1,2 잦은 나사풀림과 파절, 전치부에서의 비심미성, 제작의 복잡성과 고비용 등의 단점이 지적되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임상가들은 근래에 시멘트에 의해 유지되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안하여 비교적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3,4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형태 중 시멘트 유지형이 나사 유지형보다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시멘트 유지형은 시멘트 층에 의해 만들어지는 passive fit으로 인해 응력분포에 있어서 나사 유지형에 비해 유리하다. 또한, 기공과정이 일반 보철만큼 단순 하여 제작비용이 나사 유지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교합면에 나사 구멍이 없으므로 심미와 교합의 안정 이란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11 그러나, 보철물의 파손된 도재 수리를 위해서 혹은 인접면 접촉의 상실시 필요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착탈이 나사 유지형만큼 용이하지 못하고, 임시 합착제로 합착한 경우 원하지 않은 경우에 탈락하는 우연 탈락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시멘트 유지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형태에는 크게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형태는 크게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으로 나누어 진다. Branemark 임플란트 시스템의 초기 보철물의 형태는 대부분 나사 유지형이었고,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1,2 잦은 나사풀림과 파절, 전치부에서의 비심미성, 제작의 복잡성과 고비용 등의 단점이 지적되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임상가들은 근래에 시멘트에 의해 유지되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안하여 비교적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Br $\aa$ nemark PI, Jemt T. Long-term follow-up study f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59 

  2. Albrektsson T. A multicenter report on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J Prosthet Dent 1988;60:75-84 

  3. Preiskel HW, Tsolka P. The DIA anatomic abutment system and telescopic prostheses: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12:628-33 

  4. Singer A, Serfaty V.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a 6-month to 3-year follow-up.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645-9 

  5. Misch CE. Screw-retained versus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Pract Periodontics Aesthet Dent 1995;7:15-8 

  6. Clelland NL, Carr AB, Gilat A. Comparison of strains transferred to a bone simulant between as-cast and postsoldered implant frameworks for a five-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J Prosthodont 1996;5:193-200 

  7. English CE. Implant-supported versus implant-natural tooth-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J Dent Symp 1993;1:10-5 

  8. Khraisat A, Stegaroiu R, Nomura S, Miyakawa O. Fatigue resistance of two implant/abutment joint designs. J Prosthet Dent 2002;88:604-10 

  9. Lee JM, Kim YS, Kim CW, Kim YH. 3-D FEA of three different single tooth abutments :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9;37:269-88 

  10. Guichet DL, Caputo AA, Choi H, Sorensen JA. Passivity of fit and marginal opening in screw- or cement-retained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239-46 

  11. Hebel KS, Gajjar RC. Cement-retained versus screw-retained implant restorations: Achieving optimal occlusion and esthetics in implant dentistry. J Prosthet Dent 1997;77:28-35 

  12. Preiskel HW, Tsolka P. Telescopic prostheses for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352-7 

  13. Lindstrom H, Preiskel H. The implant-supported telescopic prosthesis: a biomechanical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34-42 

  14. Preiskel H, Tsolka P. Cement-and screw-retain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up to 10 years of follow-up of a new design.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87-91 

  15. Robert G.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9th ed: Mosby, 1993, p54 

  16. Phillips RW. Skinner'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8th ed: WB Saunders, 1982, p55 

  17. Kenneth AJ. Phillips’science of dental materials, 10th ed: WB Saunders, 1996, p66 

  18. Cook SD, Weinstein AM, Klawitter JJ. A three-dimensiona l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porous rooted Co-Cr-Mo alloy dental implant. J Dent Res 1982;61:25-9 

  19. Katona TR, Winkler MM. Stress analysis of a bulk-filled Class V light-cured composite restoration. J Dent Res 1994;73:1470-7 

  20. Ko HJ, Chung CH.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es induced by osseointegrated prostheses with or without connection between natural tooth and osseointegrated abutme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1;29:147-60 

  21. Kim DW, Kim YS. A study on the osseointegrated prosthesis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1;29:167-214 

  22. Squier RS, Psoter WJ, Taylor TD. Removal torques of conical, tapered implant abutments: the effects of anodization and reduction of surface area.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24-7 

  23. Lum LB, Osier JF. Load transfer from endosteal implants to supporting bone: an analysis using statics. Part one: Horizontal loading. J Oral Implantol 1992;18:343-8 

  24. Lum LB, Osier JF. Load transfer from endosteal implants to supporting bone: an analysis using statics. Part two: Axial loading. J Oral Implantol 1992;18:349-53 

  25. Clelland NL, Lee JK, Bimbenet OC, Gilat A. Use of an axisymmetric finite element method to compare maxillary bone variables for a loaded implant. J Prosthodont 1993;2:183-9 

  26. M $\"{o}$ llersten L, Lockowandt P, Lind $\'{e}$ n LA. Comparison of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seven implant systems: an in vitro test. J Prosthet Dent 1997;78:582-91 

  27. Norton MR. Assessment of cold welding properties of the internal conical interface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implant systems. J Prosthet Dent 1999;81:159-66 

  28. Boggan RS, Strong JT, Misch CE, Bidez MW. Influence of hex geometry and prosthetic table width on static and fatigue strength of dental implants. J Prosthet Dent 1999;82:436-40 

  29. Holmes DC, Grigsby WR, Goel VK, Keller JC. Comparison of stress transmission in the IMZ implant system with polyoxymethylene or titanium intramobile element: a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450-8 

  30. Kwon JH, Choi MH, Kim YL, Cho HW.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single implant restoration using different fixture and abutment screw diameter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105-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