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19세기 의전(衣廛)의 영업 활동과 상권 변동
The Business Activities in Ui-jeon and their Effects on Commercial Power in the 18th-19th Centuri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8, 2009년, pp.37 - 48  

이주영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ummarized the forming,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Ui-Jeon(衣廛) in Joseon Dynasty, considered the change of the commercial power of the Ui-Jeon in the $18{\sim}19th$ centuries. The Ui-Jeon was established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Ui-Jeon merchants organ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의전의 설립 시기, 조직과 규모를 개관하고. 의전의 영업 활동을 의복매매와 의복 대여로 나누어서 고찰한 다음, 나아가 18~19세기를 중심으로 한 의전의 상권 변동 과정을 신해통공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검토하고자 한다.
  • 가진다. 본 논문을 계기로 의전을 비롯하여 복식 관련 물품을 취급하였던 다른 시전들에 관한 연구와 지방 장시, 보부상 등 의복 유통에 관여한 다양한 상업주체에 관한 연구. 그리고 복식의 생산 주체에 관한 연구 등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 조선 시대 복식의 생산과 유통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역사의 총체적 복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위와 같이 금난전권 회복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자, 시전상인들은 난전에 대한 수세권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즉 시전들은 전매독점권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국역을 부담하여야 했으므로 난전에 대한 분세 징수를 통해 국역부담을 줄이고자 한 것이다.
  • 하였다. 즉 시전들은 전매독점권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국역을 부담하여야 했으므로 난전에 대한 분세 징수를 통해 국역부담을 줄이고자 한 것이다.

가설 설정

  • 2. 의전의 규모는 분역, 산대액수, 상인수 등으로 짐작할 수 있는데. 의전은 국역 2분을 부담하는 유분 각 전이고, 산대액수는 500냥, 상인수는 39명 정도로서 그 규모가 육의전 등 큰 시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주 영세한 것은 아니고 전체 시전 가운데 중간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5)

  1. 卞光錫 (2001). 朝鮮後期 市廛商人 硏究. 혜안, p. 25 

  2. 고동환 (2007).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3. 박평식 (1999). 조선전기상업사연구. 지식산업사 

  4. 卞光錫 (2001). 앞의 책. 

  5. 이태진, 서성호, 고동환, 한상권, 고석규, 이헌창, 전우용, 김태웅, 허영란 (2000). 서울상업사. 태학사 

  6. 임인영 (1977). 이조어물전연구. 숙대출판부 

  7. 고동환 (2002). 조선후기 시전의 구조와 기능. 역사와현실, 44, 한국역사연구회 

  8. 고동환 (2008).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면주전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9. 변광석 (2002). 18~19세기 도자전의 상권과 시전체계의 추이. 지역과 역사, 10 

  10. 이 욱 (1996). 18세기말 싸전 구조와 미곡유통. 한국사학보, 1 

  11. 임인영 (1986). 이조시전에 있어서 여인전연구. 숙명여대 경제연구소 논문집, 15 

  12. 承政院日記. 인조 15년 12월 25일. '衣廛二契居前萬戶韓希雲夫妻爲人被殺' 

  13. 承政院日記. 영조 28년 12월 17일. '伏以臣等俱以三百年遺民幸逢聖世樂其生業' 

  14. 太宗實錄. 태종 10년 1월 28일. 工不居肆業不能專故舊京之時布帛毛革器皿冠服鞋靴鞭勒分店大市至市牛馬亦有常所其他米穀之類則各於所居自遷都以來雜處雲從之街男女無別商賈混淆窺?幾隙務相攘竊願令京市署一依舊京之制 

  15. 박평식. 앞의 책, pp. 83-85 

  16. '經國大典' 공장조에 의하면, 의복 제조에 종사하는 공장은 옷띠를 만드는 多繪匠, 금박을 넣는 金箔匠, 皮物 을 다루는 이피장ㆍ숙피장ㆍ서피장ㆍ생피장, 모피로 옷의 부분품을 만드는 모의장, 옷에 금사를 넣는 사금장, 의료의 염색을 맡는 하엽록장ㆍ청염장ㆍ홍염장ㆍ초염장, 매듭을 만드는 每緝匠, 재봉을 담당하는 침선장. 실을 다루는 합사장ㆍ연사장, 댕기를 만드는 都多益匠 등으로 세분되어 있다. 침선장은 경공장으로서 호조 소속 침선장이 6명, 상의원 소속 침선장이 40명, 제용감 소속 침선장이 24명이었다 

  17. 東國輿地備考. 제2권, 한성부. 衣廛在雜穀廛西雜穀廛在鐵物橋西邊南北 

  18. 이중화 (1929). 경성시전의 변천. 별건곤, 23.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 http://history.go.kr 

  19. 이태진, 서성호, 고동환, 한상권, 고석규, 이헌창, 전우용, 김태웅, 허영란. 앞의 책, p. 231 

  20. 고동환 (2002). 앞의 논문, p. 67 

  21. 위의 논문, pp. 72-73 

  22. 承政院日記. 영조 28년 12월 17일 

  23. 日省綠. 정조 10년 12월 14일 

  24. 日省綠. 정조 12년 9월 8일 

  25. 大朝鮮獨立協會會報. 제8호, 1897년 3월 15일. '獨立協會補助金收入人名'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 http://history.go.kr 

  26. 고동환 (2002). 앞의 논문, pp. 86-90 

  27.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 風俗畵. p. 59 

  28. 承政院日記. 영조 47년 3월 28일. 日前衣廛十六間竝草家七間又被回祿之災其所顧恤 

  29. 국사편찬위원회 (2005). 거상, 전국 상권을 장악하다. 두산동아, p. 148 

  30. 萬機要覽. 권5, 財用, 各廛, 有分各廛 

  31. 備邊司謄錄. 정조 8년 3월 21일. 市民錢貨散貸別單 

  32. 日省綠. 정조 10년 12월 14일 

  33. 무분전은 시역의 부담이 없는 시전을 가리킨다는 견해와 시역의 부담은 있으나 그 분담율이 정해져 있지않은 시전을 가리킨다는 견해로 나뉘어져 있다(卞光錫 (2001). 앞의 책, p. 30 

  34. 고동환 (2007). 앞의 책, p. 139 

  35.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36. '備邊司謄錄' 철종 14년 1월 15일에는 ‘新郞吉服’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市弊.'에는 '新郞冠帶', '新郞團領'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문맥상 길복과 관대는 단령을 지칭하는 용어로 보인다 

  37. 備邊司謄錄. 철종 14년 1월 15일. 衣廛市民等以爲新郞吉服責納之弊依前判下嚴飭各宮各司 

  38. 吉禮要覽. 王孫嘉禮. ‘平市署 (執雁人所着有紋黑團領衣廛雙鶴胸背立廛銀帶衣廛玉貫子望門牀廛黑靴子鞋廛烏紗帽衣廛網巾網巾廛以上還下徵氏六人網巾六牽馬夫二名網巾各一)‘ 吉禮要覽. 公主嘉禮. ’平市署 (執雁忠贊衛所着有紋黑團領以上衣廛烏紗帽工曹雙胸褙立廛玉貫子望門牀廛黑靴子鞋廛網巾本廛工曹看品捧上縫造具纓子給雁夫)‘ 吉禮要覽. 翁主嘉禮. 平市署 (執雁忠贊衛所着有紋黑團領銀帶以上衣廛烏紗帽工曹雙胸褙立廛玉貫子望門牀廛黑靴子鞋廛 網巾本?廛工曹看品捧上縫造具纓子給雁夫)‘ 吉禮要覽. 郡主嘉禮. ’平市署(執雁人所着有紋黑團領衣廛雙鶴胸背立廛銀帶衣廛玉貫子望門牀廛黑靴子鞋廛烏紗帽衣廛網巾工曹)‘ 吉禮要覽.縣主嘉禮. ‘平市署 (執雁人所着有紋黑團領衣廛雙鶴胸背立廛銀帶衣廛玉貫子望門牀廛黑靴子鞋廛烏紗帽衣廛網巾纓子耳味介具一網巾廛牀廛立廛以上還下)‘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http://e-kyujanggak.snu.ac.kr 

  39. 獻敬惠嬪 顯隆園園所都監儀軌. 순조15년 ‘'殿內三間入排白紬甲仰帳?宮前面左右挾間六幅白紬甲帳四件;六幅帳二件上端?以十二尺二寸竹兩端貫以單環懸於樑底:東西外壁十一幅白紬甲帳二件:以上各種魂宮移用件衣廛市人領來針線之各廛女人添補縫造排設' 

  40. 文祖 綏陵山陵都監儀軌. 헌종 12년 '燒火秩 白紬甲素幄一件; ?宮上所覆;白紬甲素帳四件; ?宮四面揮帳;白紬甲雲角四件; 以上遷陵殯殿排設件發引日撤排衣廛市民次知輸納于山陵入用後燒火'; 純元王后 仁陵山陵都監儀軌. 철종 8년 '燒火秩 白紬甲素幄一件; ?宮上所覆; 白紬甲素帳四件; ?宮上面揮帳; 白紬甲雲角四件 白紬甲壁帳; 以上魂殿排設件發靷日撤排衣廛移排後燒火'; 神貞王后 綏陵山陵都監儀軌. 고종 27년 '燒火秩 白紬甲素幄一件; ?宮上所覆; 白紬甲素帳四件; ?宮上面揮帳; 白紬甲雲角四件白紬甲壁帳; 以上魂殿排設件發靷日撤排衣廛移排後燒火'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 http:// e-kyujanggak.snu.ac.kr 

  41. 各廛記事. 地, 辛未 2월. '一物之貨不得分設於兩肆者' 

  42. 市弊. 의전. '矣徒廛所業之貨只破衣一物' 

  43. 迂書. 제8권, 論商販事理額稅規制. '賣弊衣者赴衣肆' 

  44. 承政院日記. 고종 6년 10월 22일. '왕대비전 침방에서 훔친 서양에서 들여온 목면으로 만든 여자 저고리 2벌, 서양에서 들여온 무늬있는 비단 치마 하나, 서양에서 들여온 목면치마 하나는 모두 9냥을 받고 의전시인에게 팔았고, 궁중전 나인 방에서 훔친 남색 명주치마 하나, 서양에서 들여온 목면으로 만든 푸른 치마하나, 生木 치마 둘, 옥색 명주 회장저고리 둘, 白洋木 회장저고리 둘은 모두 9냥을 받고 破衣商에게 팔았다' 

  45. 承政院日記. 영조 33년 1월 5일. '衣廛市人曰各廛亂廛尤甚之中衣廛亂廛則皆是扈衛廳軍卒而三門外梨峴屛門鍾路街上肆然設市已極可痛扈衛廳則以本廛物種木綿破衣奪給軍卒之意論報備局不但亂廛不禁本廛物種還爲見奪豈不萬萬?痛乎' 

  46. 이태진, 서성호, 고동환, 한상권, 고석규, 이헌창, 전우용, 김태웅, 허영란. 앞의 책. p. 233 

  47. 卞光錫 (2001). 앞의 책, p. 36 

  48. 東國輿地備考. 2권, 한성부, 시전 

  49. 漢京識略. 시전 

  50. 承政院日記. 영조 34년 5월 25일. '衣服賣買雖是衣廛之所次知至於破破之屬不必苛禁故臣果許其各自發賣若因此而亂賣完衣則輒以亂廛律嚴繩矣日昨回?時無賴頑民輩敢以破示設廛事欲爲御前呼訴至於突入駕前因兵曹之禁防不得?計云 凡市廛旣設者雖難革罷決不可種種加設況衣廛之外又設破衣廛之請誠極猥濫' 

  51. 류준경 (2008). 의유당관북유람일기. 신구문화사, pp. 181-182 

  52. 戊午燕行錄. 제5권, 정조 23년 2월 6일 

  53. 迂書. 1권, 總論四民, 附金相堉甲申上疏. '夫所謂店鋪云者必有大商出其重本廣設店面然後物貨之輳集者方可殷盛也所謂大店鋪者有飯店酒店油醬?餠三牲肉店磨坊米坊藥鋪書肆錦段紬綿麻苧皮毛筋角魚鹽銅鐵材木顔彩紙地已造之棺槨現成之衣服時新菓實鷄鵝品味醫卜工匠役人脚夫之類色色俱備物物皆新然後交易之道方可殷盛而我國商販之地如此者幾處 或曰卽今京都市肆此等販賣之物大抵皆有 

  54.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번역 (2009). 완역 이옥전집 01. 휴머니스트, p. 303 

  55. 사료상에는 신랑길복, 신랑관대, 신랑단령 등의 표현만 나타나고 있어 의전에서 신부 혼례복을 대여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56. 조효순 (1989). 조선시대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pp. 353-354 

  57. 東國輿地備考. 2권, 시전. '貰物廛在各處都家在惠政橋南貰給婚喪諸具' 

  58. 市弊. 의전. '只在於新郞冠帶給貰一節… 近來勢家之婚禮時俱以新造極品責納… 本廛新郞團領勢家必得上司下屬威脅廛人必使新造以用' 

  59. 日省綠. 순조 7년 2월 25일, 순조 18년 1월 25일. '衣廛市民等以爲渠廛造置吉服給貰資生' 

  60. 市弊. 의전 ‘近來勢家之婚禮時俱以新造極品責納上司使令禁府羅將等?于廛井咆哮作?新件有限而一二次經用之後則擧皆?色皆求新造出牌捉囚浮費無算是白乎?應給貰錢段半失於往來下人之手且有全不給者故年年所負紗價錢小不下四五百兩因此而前後負債至於累千兩此實殘市難支之弊事‘ 

  61. 日省綠. 순조7년2월25일 ‘若當婚禮稠疊之時則諸處責納皆是新件故其間弊端罔有紀極捧甘各司切勿侵責事也年前已自本司甘飭而責納新件之弊又復如前更爲捧甘各司各別申t飭勿侵? 日省綠. 순조18년1월25일?若値過婚偏多之日則諸處皆以新件責納年前詢?時特蒙嚴飭之命而弊復如前更飭各宮?各司切勿侵責事也‘ 

  62. 국사편찬위원회 (2005).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두산동아, p. 155 

  63. 卞光錫 (2001). 앞의 책, p. 65 

  64. 이태진, 서성호, 고동환, 한상권, 고석규, 이헌창, 전우용, 김태웅, 허영란. 앞의 책, p. 191. 

  65. 卞光錫 (2001). 앞의 책, pp. 109-112 

  66. 市弊. 의전 ?近來勢家之婚禮時俱以新造極品責納上司使令禁府羅將等?于廛井咆哮作?新件有限而一二次經用之後則擧皆?色皆求新造出牌捉囚浮費無算是白乎?應給貰錢段半失於往來下人之手且有全不給者故年年所負紗價錢小不下四五百兩因此而前後負債至於累千兩此實殘市難支之弊事 

  67. 市弊. 의전 ‘衣廛之亂?廛自?勢無賴之徒屯聚於梨峴?鐘樓西小門外等… 恣意亂?賣少無忌憚而依法禁?則又?極酷故殘疲市民不敢禁斷’ 

  68. 市弊. 의전 '兩件業自在破歸故不得不罷市之意哀訴本署者前後累次未蒙許施?徒守許施決無長久之勢事他廛已爲禁斷一體施行' 

  69. 承政院日記. 영조33년1월5일 ‘衣廛市人曰各廛亂廛尤甚之中衣廛亂廛則皆是扈衛廳軍卒而三門外梨峴?屛門鍾路街上肆然設市已極可痛': 備邊司謄錄 영조33년1월5일 '傳曰都民不過貢人市人而已市人自市人扈衛廳軍自軍人 衣廛自在市民扈衛廳豈有報備局之義哉頃年一廛因大將所奏設焉旋卽除之況此廛已有禁者乎勿施事分付備局‘ 

  70. 備邊司謄錄 영조40년10월27일 保民司節目. ‘京兆從前應出禁九廛外魚物廛鞋廛四床廛眞絲廛衣廛鉢里廛隅廛內貰器廛八廛則只許本廛人捉告而勘律其外各廛段方當革弊厘正之時本^廛捉納亦不可許' 

  71. 日省綠. 정조10년3월24일 ‘近來生齒日蕃民?漸?以其食之者衆而?利多端故耳九廛則自京兆出禁五廛則使廛人捉納者法意有在其後各廛名色不勝其繁亂廛之禁一用九廛之例以江民所訴觀之村?之戴來片?者皆入於亂廛其他可以類推當禁者固當依前禁之至於追後零?加出之廛輒用九廛之例皆自京兆出禁則民何以措手足乎貢?堂上及該署提調爛加商確往復京兆一遵舊式恐合事宜從之又啓言承文院或有時急_擧行之事不可遠處闕外今方借入於尙衣院朝房而至於別爲建設難以猝辦毋論闕內外必得空棄之公?然後可以?接而聞舊弘文館今方空虛可合移接云請使郞廳看審後自本院草記擧行從之‘ 

  72. 卞光錫 (2001). 앞의 책, p. 187 

  73. 日省綠. 정조12년1월8일 ‘內外魚物廛鞋廛衣廛烟草廛市民等所懷皆以爲亂廛滋多依法典嚴禁云矣’ 

  74. 日省綠. 정조12년9월8일 ‘言衣廛市民金景哲上言以爲... 今年正月駐輦下詢時渠等敢陳亂廛之弊則下敎漢城府s平市署各別禁斷渠等捉告男人於京兆照律懲治官決之下如前恣行乞令京兆永罷男人設廛之弊云矣‘ 

  75. 正祖實錄. 정조 32년 1월 25일 

  76. 日省綠. 정조 20년 11월 30일. '綿子廛樺皮廛烟草廛衣廛市民以爲亂廛勿禁後失業乞復舊資生云' 

  77. 日省綠. 정조 22년 1월 4일. '魚物廛綿子廛烟草廛衣廛市民等以爲亂廛勿禁後擧皆失業復舊資生云' 

  78. 日省綠. 정조 23년 3월 22일. '內外魚物廛眞絲廛雜鐵廛綿花廛長木廛鉢里廛內外匙廛樺皮廛衣廛烟竹廛烟草廛雉?廛淸蜜廛鞋廛簇頭里廛內貰器廛市民等所懷以爲一自通共以來市民日就蕭條乞依前禁亂廛?保安業事' 

  79. 자료검색일 2009.3.27, 자료출처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80. 備邊司謄錄. 순조 3년 윤2월 12일. '且於年前自本司分付該署使應役廛民酌量捧稅於列肆散賣之類?補應公之費... 今番詢?係是臨御後初擧' 

  81. 日省綠. 철종 14년 1월 15일. ?衣廛市民等… 街路破衣商輩聚黨稱廛自恃?暴該廛所給分稅比前爲十分之一依舊例 破衣各坐市分稅每朔一兩式收捧事也… 分稅事自有舊例破衣商之橫奪減給在所當禁奉公元廛不可不念請令平市署及漢城府照例嚴飭允之' 

  82. 承政院日記. 고종 1년 5월 1일. '破衣商民等以爲各項弊衣本與衣廛混同賣買矣近自衣廛都賈?利又爲加設分稅每朔一兩式勒捧特爲別立廛號錄於市案事也此有前俊訟卞破衣商之歸於落科者屢矣置之' 

  83. 日省綠. 순조 19년 1월 18일. ‘…衣廛市民等以爲 紬緞一種專屬…’; 日省綠. 순조 21년 1월 19일; 日省綠.순조 24년 2월 2일; 日省綠. 순조 25년 1월 14일; 日省綠. 순조 26년 1월 14일; 日省綠. 순조 27년 1월 14일; 日省綠. 순조 29년 2월 2일; 日省綠. 순조 31년 1월 13일; 日省綠. 순조 32년 1월 10일; 日省綠. 순조33년 1월 24일; 日省綠. 순조 34년 1월 27일; 日省綠.헌종 1년 1월 7일; 日省綠. 헌종 2년 1월 15일 

  84. 日省綠. 헌종3년2월10일 ‘右議政朴宗薰啓言頃因貢市民詢?苧布兩廛之海南布門布相訟事白水靑布兩廛之西洋布唐布分屬事衣廛之紬緞衣主賣事令平市署論報後稟處之意覆啓分付矣該署今?報來而海南布門布昨年旣有廟堂決給今不必銷刻西洋布唐布旣非市案現載之種又非土産恒有之物不須?梗屬一廛只令隨分互賣爲宜紬緞衣則通共之後亦不必專屬衣廛而發賣漸多該廛之弊敗滋甚應役則自如不可無軫念之道姑以此一種爲主物不害爲蘇殘之政該署報辭如此竝依此施{行大抵此輩之紛?計在專利利專於己則害歸於人理勢之所不能@免其在一視均平之義有難偏聽而曲施I此後如或不悛復?爭端則斷當嚴繩竝以此意請分付大王大妃殿敎從之’ 

  85. 日省綠. 고종 28년 2월 17일. ?衣廛市民等以爲紬緞一種依床鞋絲樺四廛例特爲禁亂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