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층슬립의 기하분석에 의한 양산단층의 거동 특성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Geometric Analysis of Fault Slip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9 no.3 = no.61, 2009년, pp.277 - 285  

장천중 (한전 전력연구원) ,  장태우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층슬립의 기하분석에 의한 단층의 거동특성을 평가하고자 주단층의 주향변화, 단층 선단부의 발달 상태, 단층대의 폭의 주기적 변화, 단층암의 변형양상, 2차 소단층의 각관계를 근거로 양산단층의 주향을 따라 남쪽 양산에서 북쪽으로 포항시 신광면에 이르는 구간을 5개의 구역($A{\sim}E$)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가상의 단층비지를 대상으로 시행한 이전 여러 실험연구 결과들로부터 얻어진 단층작용의 운동 양상과 변형 조직과의 관계를 양산단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단층의 미끄럼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양산단층을 따라 단층의 자세와 단층슬립을 측정하였고, 주단층과 2차 소단층의 Riedel shear 각 관계를 분석하였다. 양산단층 각 구역에서 주단층과 2차 단열의 방향성 및 단층슬립을 이용하여 각 구역별 단층의 거동특성을 해석한 결과 A, D 및 E와 같은 직선구역들은 안정된 전단운동을 한 creeping 운동의 구역으로 평가되었고, 반대로 B와 같은 곡선구역은 stick-slip 운동을 한 locked 구역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ssess the fault behavior by the geometric analysis of fault slip, the study area between Yangsan city and Shinkwang-myon, Pohang city along the strike of the Yangsan fault is divided into 5 domains($A{\sim}E$ domains) based on the strike change of main fault, the type of fa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기술개발사업, , 원전부지 설계지진 및 지표변형 평가 최적화 규제기술개발, , 과제의 위탁과제인 설계지진 평가 최적화 기반구축, , 연구로 수행되었음을 밝히며, 이에 깊이 감사드린다.
  • 이러한 연구결과를 대표적인 활성단층인 San Andreas 단층에 적용하여 이단층의 구간별 stable sliding 구간 및 stick-slip 구간을 구분한 바 있다(Moore and Byerlee, 1991).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양산단층의 주단 층과 주변에 발달하고 있는 2차 단층의 단층슬립 및 기하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양산단층의 구간별 거동특성을 해석하고자 한다.
  • 이 밖에도 단충운동 시 발달되는 조직구조와 운동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한 바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단층비지의 생성과정, 봉압과 온도에 따른 영향, 단층비지의 두께와 광물 그리고 단층 비지대 내의 변형으로 요약되며, 실험실 결과와 야외단층에 적용을 하고자 하였다(Tsutsumi, 2002).
  • 일부 실내 암석실험을 통한 마찰실험의 물리적 특성과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미구조의 발달과정을 비교하여 단층의 거동특성을 해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실험에서는 일라이트(illite) 단층비지 (fault gouge)를 대상으로 온도, 봉압, 공극수압, 변형속도 등의 다양한 조건으로 삼축마찰실험을 실시하여 마찰강도와 마찰거동에 따른 단층비지 내 변형구조의 발달과정을 비교하여 단층거동의 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Moore et al., 1989). 이러한 연구결과를 대표적인 활성단층인 San Andreas 단층에 적용하여 이단층의 구간별 stable sliding 구간 및 stick-slip 구간을 구분한 바 있다(Moore and Byerlee, 1991).
  • , 1979; Gamond, 1983; Gamond, 1987). 이러한 해석을 국내 활동성 단층으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양산단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양산단층을 따라 남쪽의 양산시에서 북쪽으로 포항시 신광면에 이르는 17개 지역에서 주단층대 주변에 발달하고 있는 2차적인 소단층 999개의 자료들을 측정하였다.
  • 1). 이러한 현상은 지진발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현재에도 활동하고 있는 San Andreas 단층과 같은 대단증에서 일부 구간에는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구간에서는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그 차이점을 해석하고자 활용되었다. 즉, 대규모 단층의 운동 시 stable sliding과 stick-slip 운동양상에 따라 지진현상들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거동특성에 따라 단층대 내의 미세구조들의 발달과 기하학적 특징도 달리 나타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장천중, 이종림, 1997, 양산단층의 구조적 분절화 기초연구. 한국지진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2), 49-56 

  2. 장천중, 장태우, 1996, 양산단층의 고응력 해석을 통한 단층의 분절화. 대한지질학회 양산단층대 학술심포지움, 54-73 

  3. 장천중, 장태우, 1998, 고응력 분석을 통한 양산단층의 구조운동사. 대한지질공학회 논문집, 8(1), 35-49 

  4. 장태우, 장천중, 김영기, 1993, 언양지역 양산단층 부근 단열의 기하분석. 광산지질, 26, 227-236 

  5. 한국수력원자력(주), 2009, 신기 지구조 운동 평가기준정립 (최종보고서). R06SF25, 한국수력원자력(주), 685p 

  6. Byerlee, J., and Summers, R., 1976, A note on the effect of fault gouges thickness on fault stability.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3, 35-36 

  7. Byerlee, J. Mjachkin, V., Summers, R. and Voevoda, O., 1978, Structures developed in fault gouge during stable sliding and stick-slip. Tectonophysics, 44, 161-171 

  8. Chang, C. J., Yun, K. H., Park, D. H. and Shim, T. M., 2009, Quantification of the seismogenic potential of a fault.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Spring Meeting, Jeju, Korea, May 22, 2009 

  9. de Polo, C. M., Clark, D. G., Slemmons, D. B. and Ramelli, A. R., 1991, Historical surface faulting in the Basin and Range province, western N-America ; Implications for fault segmentation. Jour. of Structural Geology, 13, 123-136 

  10. Gamond, J. F., 1983, Displacement features associated with fault zone : A comparison between observed examples and experimental models. Jour. of Structural Geology, 5, 33-45 

  11. Gamond, J. F., 1987, Bridge structures as sense of displacement criteria in brittle fault zones. Jour. of Structural Geology, 9, 609-620 

  12. Hwang, J. H. and Angelier, J., 1992, Paleostress reconstructions and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Kyungsang Basin : a case example near Goryeong-eup. Jour. Geol. Soc. Korea, 28, 471-482 

  13. Lee, K. and Jin, Y. G., 1991, Segmentation of the Yangsan fault system: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Jour. Geol. Soc. Korea, 27, 434-449 

  14. Lee, K. and Na, S. H., 1983,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Jour. Geol. Soc. Korea, 19, 127-135 

  15. Lee, K., Kim, K. H. and Chang, T. W., 1986,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II): Seismicity of the nor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Jour. Geol. Soc. Korea, 22, 347-365 

  16. Logan, J. M., Friedman, M., Higgs, N., Dengo, C. and Shimamoto, T., 1979, Experimental studies of simulated gouge and their application to studies of natural fault zone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79-1239, 305-343 

  17. Moore, D. E. and Byerlee, J. D., 1991, Comparative geometry of the San Andreas fault, California, and laboratory fault zones. Geol. Soc. of America Bull., 103, 762-774 

  18. Moore, D. E. and Byerlee, J. D., 1992, Relationships between sliding behavior and internal geometry of laboratory fault zones and some creeping and locked strike-slip faults of California. Tectonophysics, 211, 305-316 

  19. Moore, D. E. Summers, R. and Byerlee, J. D., 1986, The effects of sliding velocity on the friction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heated fault gouge.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24, 31-52 

  20. Moore, D. E., Summers, R. and Byerlee, J. D., 1989, Sliding behavior and deformation textures of heated illite gouge. Jour. of Structural Geology, 11(3), 329-342 

  21. Okada, A., Watanabe, M., Suzuki, Y., Kyung, J.-B., Jo, W.-R., Kim, S.-K., Oike, K. and Nakamura, T., 1998, Active fault topography and fault outcrop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Jour. of Geography, 107, 644-658 

  22. Rutter, E. H., Maddock, R. H., Hall, S. and White, S. H., 1986, Comparative microstructures of natural and experimentally produced clay-bearing fault gouges.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24, 3-30 

  23. Summers, R. and Byerlee, J. D., 1977, A note on the effect of fault gouge composition on the stability of frictional sliding. Int. Jour. of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4, 155-180 

  24. Tchalenko, J. S., 1970, Similarities between shear zones of different magnitud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1, 1625-1640 

  25. Tsutsumi, A., 2002, Sliding behavior and deformation textures of simulated gouge : A review. Proceeding of Japan Geoscience Union Meeting, May 27-31, 2002, Tokyo 

  26. Twiss, R. J. and Moores, E. M., 1992, Structural ge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532p 

  27. US NRC, 1997, Seismic and geologic siting criteria for nuclear power plants. 10CFR Part 100 App.A., 479-487 

  28. W/G(Working Group on California Earthquake Probabilities), 2003, Earthquake probabilities in the San Francisco Bay region: 2002-2031. USGS Open-File Report 03-214,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