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추역병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hthora Blight-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AH18 and Bacillus licheniformis K11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2 no.3, 2009년, pp.121 - 125  

박기춘 (농촌진흥청 인삼과) ,  임종희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김상달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이영근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미생물로 선발된 Bacillus subtilis AH18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토양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미생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토양에 처리한 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토양미생물 생태의 변화는 토양에서 인지질 지방산을 추출한 후 전체 지방산과 지표 지방산의 상대적 비율로 분석하였다. 전체적 인지질 지방산 구성과 각 지표 지방산 분석에 의해서 B. subtilis AH18 처리구는 무처리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되었다. 전체 토양미생물상을 B. subtilis AH18 처리가 바꾸었고 세균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곰팡이세균 비율을 높였으며, 그램음성균/그램양성균의 비율을 낮추었으며, 혐기성균/호기성균의 비율은 증가시켰다. 또한 불량환경 적응성을 의미하는 cy19:0/18:$1{\omega}7c$ 지방산비율과 단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도 B. subtilis AH18 처리구가 증가시켰다. 이에 반하여 B. licheniformis K11 처리나 두 미생물의 동시 처리는 전술한 토양미생물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지방산 분석을 토양미생물상 분석에서 B. subtilis AH18의 단용처리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토양미생물상을 뚜렷이 바꾸었지만, B. subtilis AH18가 B. licheniformis K11와 혼용되었을 때는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이들 두 미생물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고추역병 방제와 토양미생물 생태 보존의 두 목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d the influence of antifungal antagonists Bacillus subtilis AH18 and Bacillus licheniformis K11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microcosms. Both antifungal antagonists were confirmed to suppress hot pepper phytophthora blight. Phospholipid fatty acids (PLF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 균들이 토양에 처리되었을 때 토양미생물 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은 이 균들의 역병 억제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 들 균들이 기존의 토양^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고주역병에대한 길항미생물 B. subtilis AH18과 B. licheniformis K11 의 토양미생물 군락에 미치는 영향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길항미생물에 의한 토양미생물 군락의 교란은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고 전체 지방산 및 각 미생물 군 및 생태의 지표 지방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kker PAHM, Glandorf DCM. Viebahn M, Ouwens TWM, Smit E, Leeflang P, Wernar K, Thomashow LS, Thomas-Oate JE, and van Loon LC (2002) Effects of Pseudomonas putida modified to produce phenazine-l-carboxylic acid and 2,4- diacctylphloroglucinol on the microf1ora of field grown wheat. Antonie Van Leeuwenhoek 81, 617-624 

  2. Bardgett RD, Hobbs PJ, and Frostegard A (1996) Changes in soil fungal:bacterial biomass ratios following reductions in the intensity of management of an upland grassland. Biol Fert Soils 22, 261-264 

  3. Boland GJ and Kuykendall LD (1998) In Plant-Microbe Interactions and Biological Control.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4. Borga P, Nilsson M, and Tunlid A (1994) Bacterial communities in peat in relation to botanical composition as revealed by phospholipid fatty-acid analysis. Soil Bioi Biochem 26, 841-848 

  5. Bossio DA, Scow KM, Gunapala N, and Graham KJ (1998) Determinant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Effects of agricultural management, season, and soil type on phospholipid fatty acid profiles. Microb Ecol 36, 1-12 

  6. Ekelund F, Olsson S, and Johansen A (2003) Changes in the succession and diversity of protozoan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soil spiked with a range of copper concentrations. Soil Bioi Biochem 35, 1507-1516 

  7. Frostegard A and E Baath (1996) The use of phospholipid fatty acid analysis to estimate bacterial and fungal biomass in soil. BioI Fert Soils 22, 59-65 

  8. Frostegard A, Tunlid A, and Baath E (1993)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biomass, and activity of microbial communities from two soil types experimentally exposed to different heavy metals. Appl Environ Microbiol 59, 3605-3617 

  9. Girlanda M, Perotto S, MoBnne-Loccoz Y, Bergero R, Lazzari A, Decofago G, Bonfante P, and Luppi AM (2001) Impact of biocontrol Pseudomonas fluorescens CHAO and a genetically modified derivative on the diversity of culturable fungi in the cucumber rhizosphere. Appl Environ Microbiol 67, 1851-1864 

  10. Griffiths BS, Ritz K, Ebblewhite N, and Dobson G (1999) Soil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effects of substrate loading rates. Soil BioI Biochem 31, 145-153 

  11. Johansen A and Olsson S (2005) Using Phospholipid Fatty Acid Technique to Study Short-Term Effects of the Biological Control Agent Pseudomonas fluorescens DR54 on the Microbial Microbiota in Barley Rhizosphere. Microb Ecol 49, 271-281 

  12. Li WH, Zhang CB, Jiang HB, Xin GR, and Yang ZY (2006) Changes in soil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invasion of the exotic weed, Mikania micrantha HBK. Plant Soil 281, 309-324 

  13. Peacock A D, Mullen MD, Ringelberg, DB, Tyler DD, Hedrick DB, Gale PM, and White DC (2001) Soil microbial community responses to dairy manure or ammonium nitrate applications Soil Bioi Biochem 33, 1011-1019 

  14. Pusey PL (1996) Micro-organisms as agents in plant disease 1control. Crop Protection Agents from Nature: Natural Products and Analogues. Crit Rep Appl Chem 35, 426-436 

  15. Thirup L, Johansen A, and Winding A (2003) Microbial succession in the rhizosphere of live and decomposing barley roots as affected by the antagonistic strain Pseudomonas fluorescens DR54-BN14 or the fungicide imazalil. FEMS Microb Ecol 43, 383-392 

  16. Tunlid A and White DC (1992) Biochemical analysis of biomass, community structure, nutritional status, and metabolic activi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oil. Soil Biochemistry 7, 229-262 

  17. Van Veen JA, Van Overbeek LS, and Van Elsas JD (1997) Fate and activity of microorganisms introduced into soil. Microbiol Mol Rev 61, 121-135 

  18. Yao H, He Z, Wilson MJ, and Campbell CD (2000) Microbi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a sequence of soils with increasing fertility and changing land use. Microb Ecol 40, 223-2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