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액상우분뇨와 콩과식물 혼파재배가 보리, 호밀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Ry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7 no.3, 2009년, pp.371 - 380  

조익환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와 호밀의 질소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무기태 질소, 가축분뇨 및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액상우분뇨 50% 시용구,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보리의 연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비한(NPK) 구에서 ha 당 각각 7.3과 4.6톤을 나타내어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1과 4.4톤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PK) 구와 무비구 보다 높았다(p<0.05). 한편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헤어리베치 혹은 Forage pea를 혼파한 구는 각각 6.4와 4.0 톤 및 6.3과 4.1톤/ha로 단지 액상우분뇨 50% 시용구(6.1과 4.0톤/ha)보다 높았고 특히 무비구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단백질(CP) 수량은 각각 0.67과 0.53톤/ha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높았다. 보리의 조단백질 함량은 NPK 구(6.8%)와 액상우분뇨 50 %(50kg N/ha) 시용구($6.2{\sim}10.4%$)가 무비구 (5.7%)와 PK 구(5.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이러한 경향은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를 혼파한 구가 각각 10.4와 8.5%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ADF와 NDF 함량은 액상우분뇨 50% + 콩과작물 혼파구가 가장 낮았고 TDN 함량과 RFV는 액상우분뇨 50% 시용구 혹은 콩과작물 혼파구가 높았다. 호밀의 연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액상우분뇨 50%(50kg N/ha)시용에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구와 NPK 구에서 ha 당 각각 8.0, 0.5 및 4.5톤 그리고 7.8, 0.6 및 4.5톤을 나타내어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각각 $6.9{\sim}7.3,\;0.4{\sim}0.5$$3.9{\sim}4.2톤/ha$)를 제외하고는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질소시비에 따른 건물생산효율은 화학비료 시비구(12.4kg DM/kg N) 보다 액상우분뇨 시용구($13.7{\sim}41.8kg$ DM/kg N)가 월등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호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NPK 구가 7.6%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고 다음으로 액상우분뇨 50% 시용 + 콩과작물 혼파구가 $6.3{\sim}6.4%$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반대로 ADF와 NDF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각각 39.8과 66.0%로 가장 낮았으며 TDN 함량과 RFV도 각각 57.5%와 81.6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유기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s of supplying different types of nitrogen sources as fertilizers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rye as winter forage crops, and ultimately done to get good quality of organic forages with higher fertilization of soil. For barley, N+P+K plots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와 호밀의 질소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무기태 질소, 가축분뇨 및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농법이 초래하고 있는 것은? 그러나 일찍부터 천연 공급량 이외에 무기물의 공급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 단순한 증산만을 목적으로 무기 요소가 보급되었기에 가축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투입보다는 화학 비료와 같은 외부 에너지의 투입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자연환경의 의존도가 매우 낮은 화학농법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화학농법은 요구량 이상의 과다한 화학비료 투입으로 상당한 무기물이 토양에 축적, 유출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 감소와 물리성을 악화시키며 농경지로부터 잉여양분의 유출은 지표수 오염 및 질산태 질소의 지하수 오염 등을 초래하고 있다(Jo, 1985). 또한 과거의 전통적 농업에 있어서는 가축분뇨를 토양에 투입하여 지력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였으나, 축산의 전업화 및 기업화 등으로 가축분뇨의 자가 경영권내의 순환이용이 어려워지고 있다(조, 2003).
콩과작물을 화본과 작물과 혼파할 경우 장점은? 한편 유럽 선진낙농국가들은 일찍부터 콩과작물이 화본과작물의 단파 경우보다 조단백질수량이 높고(Osman과 Osman, 1982) 도복을 방지하며 단작에 비해 정착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으로 콩과작물을 양질의 조사료생산과 토양비옥도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화본과 작물과 혼파하여 사용되어 왔다(Chapman과 Carter, 1976). 특성이 다른 두 작물의 혼파는 근계 분포의 차이로 토양수분이나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콩과작물을 작부체계에 포함시킬 때에는 병충해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하여 화본과에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Drew 등, 2005).
양질의 조사료생산과 토양비옥도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콩과작물을 화본과 작물과 혼파하여 사용한 것은 어떤 이점에 의한 것인가? 한편 유럽 선진낙농국가들은 일찍부터 콩과작물이 화본과작물의 단파 경우보다 조단백질수량이 높고(Osman과 Osman, 1982) 도복을 방지하며 단작에 비해 정착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으로 콩과작물을 양질의 조사료생산과 토양비옥도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화본과 작물과 혼파하여 사용되어 왔다(Chapman과 Carter, 1976). 특성이 다른 두 작물의 혼파는 근계 분포의 차이로 토양수분이나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콩과작물을 작부체계에 포함시킬 때에는 병충해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대기 중에 있는 질소를 고정하여 화본과에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Drew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종덕. 김수곤. 권찬호. 2004.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비교. 동물자원지. 46(3): 437-442. 

  2.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 동계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비교. 한초지 20(3): 193-198. 

  3. 이인덕. 이형석. 2006a.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파종유형별 사초의 건물수 량 및 가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07-214. 

  4. 이인덕. 이형석. 2006b. 대전지역 추파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49-256. 

  5. 이효원, 2007. 춘계답리작 토양에서 두과의 질소고정과 이의 화본과로의 이동. 한초지 27(3): 167-172. 

  6. 이효원. 김원호. 박형수. 고한종. 김수곤. 2005. 질소시용 수준이 베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베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1): 1-6. 

  7. 이효원. 박형수. 2002.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한국 유기농업학회 10: 51-63. 

  8. 조익환. 2008. 보리와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 료가치의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2): 219-230. 

  9. 조익환. 윤용범. 박웅렬. 황보순. 이성훈. 이주삼. 2008.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 의 단, 혼파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초지조사료지. 28(4): 323-330 

  10. 지희정. 주정일. 이희봉. 2007. 유기물 함량이 총체보리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 향. 한초지 27(4): 263-268. 

  11. 황경준. 박형수. 박남건. 고문석. 김문철. 송상택. 2006.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 용이 사료작물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4): 293-300.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Chapman, S. R. and L. P. Carter. 1976. Crop production principles and practice. W. H. Ferzman and Co. Francisco. pp. 80-90. 

  14. Drew, Elizabeth A., Vadakattu VSR. Gupta and David K. Roget. 2005.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nitrogen fixation congress. pp. 162-164. 

  15.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16. Jo, I. H. 1989. Wirksamkeit der mineralischen Stickstoffdungung auf Ertrag und pflanzenbestand des Grunlandes im osterreichischen Alpenraum. Diss. Univ. Bodenkultur. Wien. 

  17.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18. Nahm, K. 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19.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T. Agric. Sci. Camb. 98: 71-72. 

  20. Reid, J. T. and Jung, G. A. 1965. Factors affecting intake and palatability of forages for sheep. Proc. 9th. Int. Grassl. Cong. 36: 487-496. 

  21. SAS. 2005.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 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2. Trenbarth, B. R. 1974. Biomass production of mixture. Adv. Agron. 26: 177-210. 

  23. Whitehead, D. C. 1995. Grassland nitrogen. CAB INTERNATIONAL UK. 200-22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