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분해 및 촤 - 공기 반응시의 활성화 에너지 및 빈도계수 분포
The distribution of activation energy and frequency factor for coal pyrolysis and char-air reaction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18 no.1 = no.57, 2009년, pp.9 - 16  

박호영 (한전 전력연구원 신발전연소그룹) ,  김영주 (한전 전력연구원 신발전연소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Y 화력발전소에서 사용중인 5개 석탄에 대한 열분해, 촤 - 공기 반응에 대한 반응성 실험을 TG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탄종별 열분해 및 촤 반응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반응성 지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열분해 속도는 Peabody, Flame, MIP, Indominco, Elk valley의 순이었으며 열분해 거동은 2단계, 1차 열분해 모델에 의하여 잘 모사되어졌다. 5개 탄종에 대한 촤 - 공기 반응은 그레인 모델로 잘 모사되었으며 촤의 반응 속도는 Flame 촤가 가장 컸으며 Elk valley 촤가 가장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 Flame 촤의 경우 1,000 K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 반응속도가 다른 촤에 비해 월등히 빠른 것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erimental work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study of pyrolysis and char-air reaction of five coals used in Y power station in Korea. For five coals, the characteristics of pyrolyis and char reaction have been investigated with TGA, and their kinetic parameters were obtained and compared ea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Y화력발전소에서 2006년도에 사용한 아역청탄에서부터 역청탄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47개 탄종중에서 5개의 탄종을 선정하여 반응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열분해와 석탄 촤의 반응성 평가, 그리고 반응속도 상수인 활성화 에너지와 빈도계수를 2단계 일차 열분해 모델, 그리고 일반적인 촤 반응 모델인 그레인 모델을 사용하여 구하였으며 이들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 이때 촤의 회층 (Ash layer)에 의한 영향은 없으며 입자 표면에서의 가스 필름 (Gas film)을 통한 기체반응물의 확산은 매우 빨라서 입자 표면에서의 기체반응물의 농도는 주위 (Stream)에서의 농도와 같다고 가정한다. 기체반응물의 농도는 일정하며 반응속도는 입자 외부 표면 근처의 미세한 조직, 즉 그레인 (Grain)에서의 기체 반응물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고체 입자의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촤란? 풍부한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석탄은 일반적으로 미분탄의 연소과정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진다. 미분탄의 연소과정은 입자의 가열에 따른 휘발분 (수분 포함)의 방출, 착화, 휘발분 연소 및 촤 (Char : 고정탄소 및 잔류회분이 주성분인 휘발후의 입자)의 연소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뚜렷이 구분되어 지는 과정이 아니며 때로는 중복되며 진행된다. 그러나 현상론적으로는 크게 열분해 영역 및 촤 연소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국내 Y화력발전소에서 사용중인 5종류의 석탄 (Peabody, Flame, MIP, Indominco, Elk valley)에 대해 탄종별 열분해 및 촤 반응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탄종별 열분해 및 촤 반응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반응성 지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열분해 속도는 Peabody, Flame, MIP, Indominco, Elk valley의 순이었으며 열분해 거동은 2단계, 1차 열분해 모델에 의하여 잘 모사되어졌다. 5개 탄종에 대한 촤 - 공기 반응은 그레인 모델로 잘 모사되었으며 촤의 반응 속도는 Flame 촤가 가장 컸으며 Elk valley 촤가 가장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 Flame 촤의 경우 1,000 K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 반응속도가 다른 촤에 비해 월등히 빠른 것을 보여주었다.
석탄의 연소반응성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일반적으로 석탄의 연소반응성은 열분해와 촤반응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석탄의 등급과 비례하여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5). Miura 등(6)은 68종의 석탄의 반응성을 탄소 함량 (w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국가에너지위원회. '제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08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World Energy Outlook 2004", 2004 

  3. 한국재경신문. "그린에너지 9개 분야 5년간 3조 투자한다", 2008 

  4. Smoot, D. Fundamentals of coal combustion, Elsevier, 1993 

  5. Molina, A.; Mondragon, F. "Reactivity of coal gasification with steam and $CO_2$ ", Fuel, 1998, 77, 1831-39 

  6. Miura, K.; Hashimoto, K.; Siveston, P. "Factors affecting the reactivity of coal chars during gasification, and indices representing reactivity", Fuel, 1989, 68, 1461-75 

  7. Haykiri-Acma, H.; Ersoy-Mericboyu, A.; Kucukbayrak, S. "Combustion reactivity of different rank coal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2002, 43, 459-65 

  8. Krevelen, V. Coal: Typology, chemistry, physics and constitution, Elsevier, 1981 

  9. Szekely, J.; Evans, J. H.; Sohn, H. Y. Gas solid reactions, Academic press, 1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