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분분해 효모융합체를 이용한 전통 발효주의 제조와 품질특성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Yakju) by a Protoplast Fusion Yeast Strain Utilizing Starch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41 - 546  

주민노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  홍성욱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  김관태 ((주)국순당) ,  염성관 ((주)국순당) ,  김계원 ((주)국순당) ,  정건섭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분 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모두 보유한 효모융합체 FA776과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을 각각 이용하여 누룩의 첨가량에 따른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은 K-100와 F-50이 각각 135.0 mg/mL과 119.4 mg/mL으로 확인되었으며, 효모융합체 FA776이 전분을 기질로 하는 배지에서 알코올을 생산한다는 사실은 관찰하였지만,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는 실제 약주 담금과정 중의 누룩에서 유래된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pH는 발효종료시 모든 처리구에서 pH와 산도는 pH 4.3-4.5과 0.47-0.60%로 각각 유지되었다. 효모융합체 FA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은 반면, 아미노산 함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높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fumaric acid와 succin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만 각각 2 g/mL와 60-141 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발효주의 향기성분은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보다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하였을 때 향기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는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가 종합기호도가 4.00점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할 때, 기호성이 우수한 발효주로서의 제조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y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nuruk (Korean-style koji) concentrations and yeasts such as the fusant FA776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respectivel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보에서 전분 분해활성이 우수한 효모와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효모간의 세포융합을 수행하여 효모융합체를 개발하고 그 중에서 두 가지 특성이 모두 우수한 효모융합주를 선발한 바 있다 (16).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분분해 활성을 보유한 효모융합체를 이용한 발효주의 성분분석 및 관능적인 특성변화를 통하여 누룩 취가 적고 기호성이 우수한 발효주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탁주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원료와 제조방법, 관능적 특성에 따라 25여종으로 구분되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발효주로는 탁주와 약주가 알려져 있다. 탁주와 약주는 곡류나 국(#)의 첨가량을 약간씩 달리하여 발효 숙성시킨 술덧을 체로 걸러서 외관이 백탁한 상태인 것을 막걸리 또는 탁주라고 하고, 발효된 술덧을 여과한 맑은 술을 약주라고 한다(1,2). 전통 발효주는 알코올에서 유래되는 쓴맛과 발효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상큼한 신맛, 단백질 분해산물인 아미노산 맛, 산과 알코올의 esterification 산물인 향기, 전분분해 산물인 당류 등이 잘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풍미를 지닌 술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주 중 가장 대표적인 발효주로는 무엇이 있는가? 술은 예로부터 각 민족마다 독특한 양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원료와 제조방법, 관능적 특성에 따라 25여종으로 구분되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발효주로는 탁주와 약주가 알려져 있다. 탁주와 약주는 곡류나 국(#)의 첨가량을 약간씩 달리하여 발효 숙성시킨 술덧을 체로 걸러서 외관이 백탁한 상태인 것을 막걸리 또는 탁주라고 하고, 발효된 술덧을 여과한 맑은 술을 약주라고 한다(1,2).
전분 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모두 보유한 효모융합체 FA776과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을 각각 이용하여 누룩의 첨가량에 따른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전분 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모두 보유한 효모융합체 FA776과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을 각각 이용하여 누룩의 첨가량에 따른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은 K-100와 F-50이 각각 135.0 mg/mL과 119.4 mg/mL으로 확인되었으며, 효모융합체 FA776이 전분을 기질로 하는 배지에서 알코올을 생산한다는 사실은 관찰하였지만,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는 실제 약주 담금과정 중의 누룩에서 유래된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pH는 발효종료시 모든 처리구에서 pH와 산도는 pH 4.3-4.5과 0.47-0.60%로 각각 유지되었다. 효모융합체 FA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은 반면, 아미노산 함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높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fumaric acid와 succin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만 각각 2 g/mL와 60-141 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발효주의 향기성분은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보다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하였을 때 향기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는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가 종합기호도가 4.00점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할 때, 기호성이 우수한 발효주로서의 제조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SM. Manufacture Technology of Traditional Wine. Laboratory of BSM brewery. 156-178 (2002) 

  2. Kang MY, Yoo SS, Park YS, Mok CK, Chang HG. Analysis of flavors in eat-sterilized yakju. Food Eng. Prog. 3: 170-175 (1999) 

  3. Kim JO, Kim JG. Microbial and enzymatic properties related to brewing of traditional Ewhaju. Korean J. Food Cook. Sci. 9: 266- 271 (1993) 

  4. Kim TW, Ryu CH. Quality assessment traditional wine and viable ceel by lumitester. Korea J. Life Sci. 12: 363-368 (2002) 

  5. Shin CS, Lee SK, Park YJ. Selection of koji and yeast strain for improvement of cheoungju quality. Agric. Chem. Biotechnol. 29: 16-19 (1996) 

  6.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1999) 

  7. Jo JW, Kim SM, Kim KS. Analysis of asarone, coumarine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J. Korea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10-217 (1999) 

  8. Lee EN, Lee DH, Kim SB, Lee SW, Kim NM, Lee JS.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wine. J. Ginseng Res. (2007) 

  9. Kim JH, Jeong SC, Kim NM, Lee JS. Effect of Indian millet koji and legumes on the quality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33-737 (2003) 

  10. Kim TY. Brewing proper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and nuruk.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10: 17-26 (1997) 

  11. Lee TS, Park C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002) 

  12. Park IB, Park BS, Chung ST. Brewing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ongkukju prepared with various hongk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43-950 (2003) 

  13. Kim JS, Ko SH, Lee WY, Kim GW. Cytotoxic effects of Korean rice-wine 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12-817 (2004) 

  14. Seo MY, Lee JK, Ahn BH, Cha SK.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2005) 

  15. Lee SM. Study of breeding yeast by cell fusion. Anseong Agricultural Jr. College, Korea 24: 231-235 (1992) 

  16. Ju MN, Hong SW, Kim KT, Yum SK, Kim GW, Chung KS. Breeding of yeast strains with starch utilizing and alcohol fermenting ability by protoplast fusio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58-164 (2008) 

  17.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1990) 

  18.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19. Iwano K, Ito T, Nakazawa N. Characteristics of amino acid compositions of gniniyo-shu, junmai-shu, honjyozo-shu, and futsu-shu. J. Brew. Soc. Japan 99: 526-533 (2004) 

  20. Youn SK, Lee HJ, Moon TW, No BS. Food Chemistry. Suhak Press, Seoul, Korea. pp. 202-206 (2002) 

  21. Chang KJ, Yu TJ.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1981) 

  22.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327 (1987) 

  23. Jung JH, Jung ST. Comparison of the aroma components in the Korean traditional yakjus. J. Korean Agric. Chem. Soc. 30: 264- 271 (1987) 

  24. Lee HS, Lee TS, Noh B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2007) 

  25.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