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의 처리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변화
Effects of Treatments on the Distribution of Volatiles in Artemisia princeps Pampa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87 - 591  

박민희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미자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완일 ((주)센소메트릭스) ,  장판식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 ,  이재환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처리(R), 수증기 증류처리(SD),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 처리(FD/SD)한 사자발쑥과 일반 쑥의 휘발성분을 HS-SPME방법으로 추출 후 GC-MS로 동정하였다. 무처리 사자발쑥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 처리한 사자발쑥의 총 volatile함량은 각각의 일반 쑥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무처리 일반 쑥의 수증기 증류처리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무처리 사자발쑥의 주요 휘발성분은 2-hexenal, 1,8-cineol, transcaryophyllene, hexanal이었고 무처리 일반 쑥은 1-hexanol, ${\beta}$-myrcene, limonene, 2-hexenal이었다. 반면에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된 사자발쑥에서는 1,8-cineole, 4-terpineol, 1-octen-3-ol, ${\alpha}$-terpineol이,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 된 일반 쑥의 경우에는 1,8-cineol, camphor, borneol, artemisia ketone, ${\alpha}$-thujone, 1-octen-3-ol이 주요 휘발성분이었다. 무처리 쑥의 경우 지방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이취성분인 2-hexenal, hexanal과 1-hexanol이 많이 검출되었으나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 된 시료는 정유성분 유래 휘발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s in Artemisia princeps Pampan. cv. sajabal (sajabalssuk) and A. princeps Pampan. (ssuk) treated with different processing were analyzed using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gas chromatography- a mass selective detector (GC-MS). Sajabalssuk and ssuk were treated with steam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쑥 휘발성분 연구는 수증기 증류에 의해 추출된 정유 성분을 직접 분석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7,9,10).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과 일반 쑥을 동결건조 및 수증기 증류에 처리에 의한 휘발성분 변화를 SPME법으로 검토하였다. 무처리 쑥을 동결건조 및 수증기 증류 처리에 의해 2-hexenal, hexanal과 1-hexanol 등의 이취성분을 제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증기 증류 처리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 처리 된 사자발쑥과 일반 쑥의 휘발성분을 HS-SPME/GCMS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은 어느 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쑥(Artemisia species)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지역 등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강화도에서 재배되는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 Pampan.
쑥을 포함한 Artemisia속에 대한 정유 및 휘발성 물질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쑥을 포함한 Artemisia속에 대한 정유 및 휘발성 물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Jang 등(7)은 참쑥을 수증기 증류 및 ether로 추출된 정유(essential oil) 성분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동정 하였다. Cho와 Chiang(9) 은 인진쑥, 황해쑥, 사자발쑥을 수증기 증류로 정유를 제조 후 정유성분을 직접 GC-MS 분석하였다. 또한, Cho 등(10)은 사자발쑥, 싸주아리쑥, 인진쑥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정유를 GC-MS 로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Deng 등(11)은 Artemisia selengensis Turcz의 정유 유래 휘발성분을 분석하여 보고하였고, Deng 등(12) 은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휘발성분을 microwave distillation-simultaneous headspace single-drop microextrac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쑥이란 무엇인가? 쑥(Artemisia species)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지역 등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강화도에서 재배되는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 Pampan.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ho TH, Seo G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early cultured Artemisia s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 95-100 (1994) 

  2.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io GP, Park UY, You SG, Lee HY.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223-240 (2007) 

  3.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Nutr. 13: 490-505 (2000) 

  4. Yun KW, Jeong HJ, Kim JH. The influence of the growth season on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d. Crop Prod. 27: 69-74 (2008) 

  5.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Korean J. Food Nutr. 21: 17-22 (1992) 

  6. Yun KW, Choi SK. Seasonal variation in allelopathic potential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n plants and microbes. J. Plant Biol. 46: 105-110 (2003) 

  7. Jang SB, Chang SY, Inn MK, Jeong JH, Yook CS.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in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mongolica. Bull. Kyunghee Pharma. Sci. 28: 45-49 (2000) 

  8. Kim YS, Lee JH, Kim MN, Lee WG, Kim JO.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Korean J. Food Nutr. 23: 261-267 (1994) 

  9. Cho YH, Chiang MH.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ean J. Intl. Agri. 13: 313-320 (2001) 

  10. Cho YH, Park HS, Kim NG, Kim NS, Lee DS, Chiang MH. Analysis of essential oil in Artemisia capillaries Thumb., Artemisia scoparia, Artemisia spp. by GC/MS. Korean J. Hort. Sci. Technol. 18: 702 (2000) 

  11. Deng C, Xu X, Yao N, Li N, Zhang X. Rapid determination of essential oil compounds in Artemisia selengensis Turcz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microwave distillation and simultaneous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im. acta 556: 289-294 (2006) 

  12. Deng C, Mao Y, Hu F, Zhang X. Development of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following microwave distillation and simultaneous headspace single-drop microextraction for fast determination of volatile fraction in Chinese herb. J. Chromatogr. A 1152: 193-198 (2007) 

  13. Arthur CL, Pawliszyn J. Solid phase microextraction with thermal desorption using fused silica optical fibers. Anal. Chem. 62: 2145-2148 (1999) 

  14. Foley DM, Pickett K, Varon J, Lee JH, Min DB, Caporaso F, Prakash A. Pasteurization of fresh orange juice using gamma irradiation: microbiological, flavor and sensory analyses. J. Food Sci. 67: 1495-1501 (2002) 

  15. Lee JH, Kang JH, Min DB. Optimization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 on the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in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 J. Food Sci. 68: 844- 848 (2003) 

  16. Jelen HH, Obuchowska M, Zawirska-Wojtasiak R, Wasowicz E.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use for th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vegetable oils of different sensory quality. J. Agr. Food Chem. 48: 2360-2367 (2000) 

  17. Steenson DF, Lee JH, Min DB. Solid phase microextraction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soybean and corn oils. J. Food Sci. 67: 71-76 (2002) 

  18. Lee JM, Kim DH, Chang PS, Lee JH.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P-SPME) analysis of oxidized volatiles form free fatty acids (FFA) and application for measuring hydrogen donating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105: 414-420 (2007) 

  19. Fu X, Xu S, Wang Z. Kinetics of lipid oxidation and off-odor formation in silver carp mince: the effect of lipoxygenase and hemoglobin. Food Res. Int. 42: 85-90 (2009) 

  20. Pohjanheimo TA, Sandell MA. Headspace volatiles contributing to flavour and consumer liking of wellness beverages. Food Chem. 115: 843-851 (2009) 

  21. Paradiso VM, Summo C, Pasqualone A, Caponio F. Evaluation of different natural antioxidants as affecting volatile lipid oxidation products related to off-flavours in corn flakes. Food Chem. 113: 543-549 (2009) 

  22. Acree T, Arn H. Flavornet and human odor space. Available from: http://flavornet.org. Accessed Apr. 30, 2009. 

  23. Ashraf M. The Pherobase-extensive database of insect pheromones and semiochemicals. Available form: http://pherobase.com. Accessed Apr. 3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