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 시 조기생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경구섭취 저해인자 및 영양지원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Term of Engraftment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ith a Focus on the Inhibitors of Oral Intake and the Period of Nutritional Support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2, 2009년, pp.168 - 178  

김혜진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영양팀) ,  노민영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영양팀) ,  정명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영양팀) ,  홍정임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영양팀) ,  정연선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영양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ntation is being widely used in an attempt to treat many hematological diseases such as leukemia, anemia, and lymphoma. To evaluate the succes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how rapidly engraftment occurs. Therefore, this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6년 5월에서 2008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416명의 의무기록(EMR)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조기생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식기간 동안의 경구섭취량, 섭취 저해요인 발생, 영양상태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중적인 영양지원 시기를 분석하여 추후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위한 영양지원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조기생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식기간 동안 영양 상태 평가 및 영양지원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Mattsson 등(2006)은 이식 초기에 경구섭취량이 불량할수록 중증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Hadjibabaie 등(2008)은 이식 전 BMI와 생착기간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저체중 시의 생착일수가 정상체중 시에 비하여 3일, 비만 시에 비하여 4일 정도 유의적으로 길었다고 보고하였다.
  • 이처럼 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와 영양상태 간에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섭취 실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소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조기생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식기간 동안의 경구섭취량, 섭취 저해요인 발생, 영양상태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중적인 영양지원 시기를 분석하여 추후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위한 영양지원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에서 전처치 단계에서의 화학 ․ 방사선치료의 영향은? 전처치 단계에서의 화학 ․ 방사선치료는 종양 세포뿐 아니라 비종양 세포 중에서도 특히 재생이 빠른 상피 세포에 영향을 미쳐 위장관 기관에 중요한 기능적 변화를 야기하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구내염 및 입맛 변화가 일어나고, 더불어 ‘병원식’에 대한 적응도가 낮아져 경구섭취가 감소하여 영양불량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Song 등 1998; Pedrón 등 2000; Horsley 등2005). 또한 이식 시에 발열, 감염, 출혈 및 이식편대숙주반응 등의 면역 반응으로 인해 이화율이 급격이 증가하여 환자의 영양소 요구량은 증가하게 된다(Duggan 등 2003; Martin-Salces 등 2008).
조혈모세포이식이란? 조혈모세포이식이란 골수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저하된 환자들에게 고용량 화학 ․ 방사선치료를 통해 악성세포를 제거하고 대신 정상적인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정상적인 혈구세포 생성을 유도하는 최첨단 치료법으로, 현재 다양한 혈액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Min 2001).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은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나 전신방사선 조사를 통해 잔존하는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전처치(conditioning) 단계,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이식 단계,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생착되어 회복되는 생착 및 회복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김 등 2000).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은? 조혈모세포이식이란 골수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저하된 환자들에게 고용량 화학 ․ 방사선치료를 통해 악성세포를 제거하고 대신 정상적인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정상적인 혈구세포 생성을 유도하는 최첨단 치료법으로, 현재 다양한 혈액질환에서 완치를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Min 2001).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은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나 전신방사선 조사를 통해 잔존하는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전처치(conditioning) 단계,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이식 단계,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생착되어 회복되는 생착 및 회복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김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남초, 김희승, 최소은, 박현정 (2000):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이식 전 처치 형태에 따른 영양상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2):191-202 

  2. Alverdy JC, Aoys E, Moss GS (1988): Total parenteral nutrition promotes bacterial translocation from the gut. Surgery 104(2):185-190 

  3. Arfons LM, Lazarus HM (2005): Total parenteral nutrition an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n expensive placebo- Bone Marrow Tranaplant 36(4):281-288 

  4. Cetin T, Arpaci F, Dere Y, Turan M, Ozturk B, Komurcu S, Ozet A, Beyzadeolu M, Kaptan K, Beyan C, Yalcin A (2002): Total parenteral nutrition delays platelet engraftment in patients who undergo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Nutrition 18(7-8):599-603 

  5. Duggan C, Bechard L, Conovan K, Vangel M, O'Leary A, Holmes C, Lehmann L, Guinan E (2003): Changes i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mong children undergoing allogen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m J Clin Nutr 78(1):104-109 

  6. Hadjibabaie M, Iravani M, Taghizadeh M, Ataie-Jafari A, Shamshiri AR, Mousavi SA, Alimoghaddam K, Hosseini S, Ghavamzadeh A (2008):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CT. Bone Marrow Transplant 42(7):469-473 

  7. Hong JI, Chang UJ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ngraftment and the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cute myelogenous leukemia. Korean J Comm Nutr 7(4):578-584 

  8. Horsley P, Bauer J, Gallagher B (2005): Poor nutritional status prior to peripheral blood sten cell transplantation in associated with increased length of hospital stay. Bone Marrow Transplant 35(11):1113-1116 

  9. Martin-Salces M, de Paz R, Canales MA, Mesejo A, Hernandez-Navarro F (2008): Nutritional recommendations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Nutrition 24(7-8):769-775 

  10. Mattsson J, Westin S, Edlund S, Remberger M (2006): Poor oral nutrition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severe graft-versus-host disease. Bone Marrow Transplant 38(9):629-633 

  11. Min WS (2001): Bone marrow transplantation. Korean J Crit Care Med 16(1):17-22 

  12. Muscaritoli M, Conversano L, Cangiano C, Capria S, Laviano A, Arcese W, Rossi Fanelli F (1995): Biochemical indices may not accurately reflect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after-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utrition 11(5):433-436 

  13. Muscaritoli M, Grieco G, Capria S, Iori AP, Rossi Fanelli F (2002): Nutritional and metabolic support in patients undergo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m J Clin Nutr 75(2):183-190 

  14. Pedron C, Madero L, Madero R, Garcia-Novo MD, Diaz MA, Hernandez M (2000): Short-term follow-up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undergoing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ediatr Hematol Oncol 17(7):559-566 

  15. Raynard B, Nitenberg G, Gory-Delabaere G, Bourhis JH, Bachmann P, Bensadoun RJ, Desport JC, Kere D, Schneider S, Senesse P, Bordigoni P, Dieu L (2003): Summary of the standards, op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nutritional support in patients undergo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2). Br J Cancer 89(Suppl 1):S101-106 

  16. Ringwald-Smith K, Krance R, Stricklin L (1995): Enteral nutrition support in a child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utr Clin Pract 10(4):140-143 

  17. Rzepecki P, Barzal J, Sarosiek T, Szczylik C (2007): Biochem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re they worth using- A single center experience. Bone Marrow Transplant 40(6):567-572 

  18. Song SE, Kim JN, Lim HS (1998): A study on the status of nutrition support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4(1):65-75 

  19. Stuart RK, Sensenbrenner LL (1979): Adverse effects of nutritional deprivation on transplanted hematopoietic cells. Exp Hematol 7(8):435-442 

  20. Szeluga DJ, Stuart RK, Brookmeyer R, Utermohlen V, Santos GW (1987): Nutritional support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recipients: a prospective, randomised clinical trial comparing total parenteral nutrition to an enteral feeding program. Cancer Res 47(12):3309-3316 

  21. Vincent WV (1998): The use of serum albumin as a prognostic or nutritional marker and the pros and cons of IV albumin therapy. Nutr Clin Prac 13(3):110-122 

  22. Weisdorf S, Hofland C, Sharp HL, Teasley K, Schissel K, McGlave PB, Ramsay N, Kersey J (1984):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 clinical evalua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3(1):95-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