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벨트 착용과정에서 무의식적 행위와 착용비율
Seat Belt Usage Rate and Unconscious Behavior in the Fastening Proces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9 no.6, 2010년, pp.959 - 964  

홍승권 (충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t belt is an important means to protect drivers and passengers from the damages by car accidents. Many ways to increase the seat belt wearing rate have been proposed through human factors researches. The primary ways to increase seat belt use rate have emphasized the intention-behavior cycle.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안전벨트 착용하는 과정을 표준화하고 이를 습관화 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이 안전벨트 착용을 잊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지? 궁극적으로 안전벨트 착용율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또한 이렇게 바람직한 안전벨트 착용 과정을 습관화한 운전자의 비율은 얼마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 이는 형성된 의식이 행동으로 전환되지 않기 때문이며, 결국 안전벨트의 착용율은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벨트 착용의 필요성을 알고 있으면서도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경향으로 인하여 현재의 알림 시스템은 운전자와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림 시스템을 보완하면서 안전벨트를 잊지 않고 착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 방안의 실효성을 판단하려고 한다.
  • 응답자의 기억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과정을 장기간 관측 조사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를 보완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안전벨트의 착용율은 관측에 의하거나 설문에 의해 조사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의해 안전벨트 착용율과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는 95.
  • 본 연구는 안전벨트 착용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주류와는 다른 각도에서 안전벨트 착용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이다. 상기한 연구들의 두 번째 범주와 세 번째 범주는 행동이론에 의하면, 유사한 점이 있다.
  • , 2002).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전자가 차문을 열고 들어가서 출발하는 과정을 표준화하고 습관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안의 효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보였다. 바람직한 절차를 사용하는 운전자들은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습관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으며, 이들은 다른 절차를 준수하는 사람들보다 안전벨트 착용을 잊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벨트 착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차 시동을 걸고, 출발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절차를 준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특정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안전벨트 착용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책 연구소의 연구원과 대학교의 교직원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안전벨트 착용하는 과정을 표준화하고 이를 습관화 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이 안전벨트 착용을 잊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지? 궁극적으로 안전벨트 착용율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또한 이렇게 바람직한 안전벨트 착용 과정을 습관화한 운전자의 비율은 얼마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벨트에 대한 평가는? 안전벨트는 교통사고 발생시에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존 연구의 결과는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의 효과를 차종 별로 평가하였다.
차종 별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의 효과는? 기존 연구의 결과는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의 효과를 차종 별로 평가하였다. 승용차의 경우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 상해율을 45% 줄일 수 있고, 트럭의 경우에는 6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사고에 의한 머리, 가슴, 상지와 하지 등의 상해 위험을 50%에서 83%까지 줄일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Evan, 1986; NHTSA, 1999).
안전벨트 착용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는? 운전자의 나이, 성별, 인종, 거주지역 등에 따라 안전벨트 착용율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운전자의 나이가 20대의 젊은 경우에 안전벨트 착용율이 가장 낮았다. 20대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하는 경향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평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ne T. McCartt, A. T. and Northrup, V. S., Factors related to seat belt use 

  2. Bentley, J. J., Kurrus, R. and Beuse, N.,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3. Block, A. W., 2000 Motor vehicle occupant safety survey. Vol. 2, Seat Belt 

  4. Chliaoutakis, J. E., Gnardellis, C., Drakou, I., Darviri, C. and Sboukis, V., 

  5. Dahlstedt, S., Non-user's motives for not wearing the seat belt. AAAM 43rd 

  6. Dee, T., Reconsidering the effects of seat belt laws and their enforcement 

  7. Dinh-Zarr, T. B., Sleet, D. A., Shults, R. A., Zaza, S., Elder, W. W., Nichols, 

  8. Evans, L., The effectiveness of safety belts in preventing fatalities. Accident 

  9. Fildes, B., Fitzharris, M., Koppel, S. and Vulcan, P., Benefits of seat belt 

  10. Harrison, W., Senserrick, T. and Tingvall, C., Development and trial of a 

  11. Hazinski, M., Eddy, V. A. and Morris, J. A., Children's Traffic Safety 

  12. Houston, D. and Richardson, L. E., Getting Americans to buckle up: The 

  13. Mittal, B, Achieving higher seat belt usage: The role of habit in bridging 

  14.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Fourth report to 

  15.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Safety Belt Use in 2002-Demographic Characteristic" by Donna Glassbrenner, Washington 

  16. Nelson, G. D. and Moffit, P. B., Safety belt promotion: Theory and practice, 

  17. Sutton, S. and Hallett, R., Understanding seat-belt intentions and behavior: 

  1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National Academies, Buckling up: 

  19. Williams, A. F. and Wells, J. K. The role of enforcement programs in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