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an 증발량 추세분포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n Evaporation Trend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0 no.3B, 2010년, pp.243 - 255  

임창수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an 증발량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1990년까지 의 pan 증발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pan 증발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평균 일별 pan 증발량은 56개 연구지역 중에서 38개 연구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1월 평균 일별 pan 증발량의 경우 33개 연구지역에서 pan 증발량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4월의 경우 38개 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7월의 경우 47개 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여서,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10월의 경우 35개 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여서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연별과 1월, 7월은 pan 증발량이 감소추세를 보이고, 4월과 10월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근에 위치한 권역별로도 다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지리지형적 요인이 pan 증발량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11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pan 증발량 자료와 기후요소자료를 수집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온, 상대습도 그리고 풍속추세는 연별이나 월별 pan 증발량 추세와 서로 같거나 또는 상이한 경향을 보이나, 일사량 추세는 연 및 월별 모두에서 pan 증발량 추세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강수량 추세는 연 및 월별 모두에서 pan 증발량 추세와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n evaporation and pan evaporation trend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pan evaporation data from 1973 to 1990 for 56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annual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monthly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in April, July, O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pan 증발량 변화는 기후요소뿐만 아니라 지리 및 지형적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리 지형적 요소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연구를 위한 사전적 연구로서 우리나라 56개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가급적 다양한 지역에 대해서 분석함으로서 pan 증발량과 pan 증발량 추세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가급적 많은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pan 증발량 분포 및 pan 증발량 추세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pan 증발량의 장기적 추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자료 분석기간이 길어야 하나, pan 증발량 관측자료의 제약으로 인하여 전국 56곳의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1990년까지의 소형 pan 증발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반대로 Z값이 큰 음의 값을 갖는다면 이는 자료계열의 후반에 관측된 자료가 전반에 관측된 자료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일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가 상승추세라는 대립가설을 HA라 하고, 상승추세가 없다는 귀무가설 Ho를 검증하고자 한다면 Z값이 양의 값을 갖고 그리고 Z값이 검증하고자 하는 유의수준에서의 Z값보다 크다면 귀무가설 Ho는 기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수량추세는 어떤 추세로 나타났는가? 만일 자료에 선형적인 추세가 존재한다면 단위시간당 변화(true slope)는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자료의 오류로 인하여 이상적으로 크거나 혹은 작은 값이 포함되어 있다면 단위시간당 변화는 크게 다른 값을 산정할 것이다.
Sen(1968)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는? 만일 자료에 선형적인 추세가 존재한다면 단위시간당 변화(true slope)는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자료의 오류로 인하여 이상적으로 크거나 혹은 작은 값이 포함되어 있다면 단위시간당 변화는 크게 다른 값을 산정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Sen(1968)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변화를 산정할 수 있다.
pan 증발량 추세의 원인으로 Brutsaert and Palange는 무엇을 주장하였는가? pan 증발량 추세의 원인으로 Brutsaert and Palange(1998)는 강수량의 증가는 실제증발량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일사량의 감소와 대기 중의 습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pan 증발량(잠재증발량)은 감소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이는 pan 증발량(잠재증발량)과 실제증발량 사이에 상호보완관계(complimentary relationship)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Lawrimore and Peterson, 2000; Golubev et al., 2001; Hobbin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utsaert, W. and Parange, M.B. (1998) Hydrological cycle explains the evaporation paradox. Nature, Vol. 396, pp. 30. 

  2. Chattopadhyay, N. and Hulme, M. (1997) Evapor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India under conditions of recent and future climate chang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87, pp. 55-74. 

  3. Cohen, S., Ianetz, A., and Stanhill, G. (2002) Evaporative climate changes at Bet Dagan, Israel, 1964-1998.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1, pp. 83-91. 

  4. Da Silva, V.P.R. (2004) On climate variability in northeast of brazil.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Vol. 58, pp. 575-596. 

  5. Golubev, Y.S., Lawrimore, J.H., Groisman, P.Y., Speranskaya, N.A., Zhuravin, S.A., Menne, M.J., Peterson, T.C., and Malone, R.M (2001) Evaporation changes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and the former USSR: A reassessment. Geophys. Res. Lett. Vol. 28, pp. 2665-2668. 

  6. Hobbins, M.T., Ramirez, J.A., and Brown, T.C. (2004) Trends in pan evaporation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across the conterminous U.S.: Paradoxical or complimentar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1, pp. 1-5. 

  7. IPCC (2001) Climate Change: Working Group 1, The Scientific Basis. 

  8. Jauregui, E. and Luyando, E. (1998) Long-term association between pan evaporation and the urban heat island in Mexico City. Atmosfera, Vol. 11, pp. 45-60. 

  9. Lawrimore, J.H. and Peterson, T.C. (2000) Pan evaporation trends in dry and humid regions of United States. J. Hydrometeorol., Vol. 1, pp. 543-546. 

  10. Liu, B., Xu, M., Henderson, M., and Gong, W. (2004) A spatial analysis of pan evaporation trends in China, 1955-2000. J.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9, No. D15: D15102, doi: 10.1029/2004JD004511. 

  11. Moonen, A.C., Ercoli, L., Mariotti, M., and Masoni, A. (2002) Climate change in Italy indicated by agrometeorological indices over 122 year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1, pp. 13-27. 

  12. Peterson, T.C., Golubev, V.S., and Groisman, P.Y. (1995) Evaporation losing its strength. Nature, Vol. 377, pp. 687-688. 

  13. Quintana-Gomes, R. (1997) Changes in evaporatiom patterns detected in northernmost south America. homogeneity testing. ln Proc.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Statistical Climatology. Whister, BC, Canada. 

  14.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2) The cause of decreased pan evaporation over the past 50 years. Science, Vol. 298, pp. 1410-1411. 

  15.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4) Changes in Australian pan evaporation from 1970 to 2002. Int. J. Climatol., Vol. 24, pp. 1077-1090. 

  16. Roderick, M.L. and Farquhar, GD. (2005) Changes in New Zealand pan evaporation since the 1970s. Int. J. Climatol., Vol. 25, pp. 2031-2039. 

  17. Sen, P.K. (1968) Estimat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Kendall's tau.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63, pp. 1379-1389. 

  18. Wang, Y., Jiang, T., Bothe, O., and Fraedrich, K. (2007) Changes of pan evaporation an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the Yangtze River basin. Theor. Appl. Climatol., Vol. 90, pp. 13-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